한반도의 지체구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반도의 지체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반도 지체구조의 특징
2. 지체구조구의 분활 및 특성
3. 선캄브리아대
4. 고생대
5. 중생대
6. 신생대
7. 함북 습곡대
8. 관모봉 육괴
9. 낭림육괴
10. 백두산화산대지
11. 해산-이원 둔지
12. 희천육괴
13. 삭주-구성 단중지리
14. 평남분지
15. 임진강습곡지대
16. 웅진분지

본문내용

한반도 지체구조의 특징
- 한반도의 지체구조는 크게 시생대와 원생대에 생성된 지각이 노출된 육괴와 과거 지질시시대의 지향사 또는 퇴적분지로 구성
- 육괴 : 평북 개마지괴, 경기지괴, 영남지괴- 편마암 복합체로 구성 고생대 이후 계속 육지로 남아 있는 부분으로, 한반도에서 가장 안정된 지역
- 퇴적분지 : 평남 분지, 옥천 지향사, 경상 분지
- 편마암류 중심의 지괴와 퇴적암 중심의 지괴가 교차되어 나타남.
우리나라의 기반암의 배열은 편마암류와 퇴적암 사이에 화강암 또는 화산암이 섞여 있음. (중생대에 대규모의 화강암 관입, 중생대 말 ~ 신생대 제4기의 화산활동)
- 기본 골격은 산맥들의 방향성이 지체구조의 특징을 잘 반영
- 지나방향(支那方向 : sinian direction) : 북동-남서 방향
옥천습곡대, 대보화강암의 분포방향, 묘향산맥, 차령산맥
- 요동방향(遼東方向 : Liaotung direction) : 동-서 방향
추가령지구대 이북지역에서의 지질구조선들 방향
- 한국방향(韓國方向 : Korean direction) : 북북서 방향
영흥만 남동부의 단조로운 동해안의 해안선과 일치
  • 가격1,9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6.06.04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003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