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옥상녹화이란?
2. 옥상녹화의 역사
1) 고대의 옥상녹화(Ancient roof gardens)
2) 2차 대전 이후의 옥상녹화
3) 현대의 옥상녹화
3. 옥상녹화시스템의 유형 및 특성
1)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Extensive Green Roof System)
2) 관리․중량형 옥상녹화시스템(Intensive Green Roof System)
3) 혼합형 시스템(Simple Intensive Green Roof System)
4. 옥상녹화의 구성 요소
1) 방수 및 배수
2) 토양
3) 식생
5. 옥상녹화의 효과
1) 도시환경의 개선
2) 주거환경의 개선
3) 경제적 개선
6. 옥상녹화의 지원관련법규 각국 비교
1) 일본
2) 독일
3) 우리나라
7. 옥상녹화의 사례
1) 해외의 사례
2) 우리나라의 사례
참고자료
2. 옥상녹화의 역사
1) 고대의 옥상녹화(Ancient roof gardens)
2) 2차 대전 이후의 옥상녹화
3) 현대의 옥상녹화
3. 옥상녹화시스템의 유형 및 특성
1)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Extensive Green Roof System)
2) 관리․중량형 옥상녹화시스템(Intensive Green Roof System)
3) 혼합형 시스템(Simple Intensive Green Roof System)
4. 옥상녹화의 구성 요소
1) 방수 및 배수
2) 토양
3) 식생
5. 옥상녹화의 효과
1) 도시환경의 개선
2) 주거환경의 개선
3) 경제적 개선
6. 옥상녹화의 지원관련법규 각국 비교
1) 일본
2) 독일
3) 우리나라
7. 옥상녹화의 사례
1) 해외의 사례
2) 우리나라의 사례
참고자료
본문내용
연스럽게 그늘이 생기는데 이곳에 음지식물들이 서식하는 공간으로 조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다(강전유 외, 2008).
서울시청 별관 초록뜰
(2) 부천시청사
부천시청사 옥상정원은 10층 청사건물의 4층 옥상에 조성한 총 600 의 넓은 정원으로 1997년 조성되었다. 잔디가 심겨진 부분에 나무와 돌 등으로 길을 만들어 넓은 면적을 2개의 파라솔과 파고라로 그늘공간을 만들었으며, 방풍벽 및 안전막 시설은 없고 보통 60~70cm의 난간으로만 되어있고 정원 앞 양쪽에 지붕형 파고라와 테이블을 마련하여 실외에서도 회의를 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조성하였다.
정원앞의 햇볕이 잘 드는 방향에는 라일락, 단풍나무, 쥐똥나무 등의 중형수목이 식재되어 있고 그 아래에 장미, 철쭉류, 애기 옥잠화 등이 심겨져 있다. 정원의 양옆쪽으로는 아이비 등의 지피식물 위주로 식재되어 있으며 건물의 뒤편에는 돌단 풍맥문동, 회양목, 애기 옥잠화, 철쭉류와 주목 등을 식재 하여 그늘에서 잘 자라는 수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2013년에는 흰뺨검둥오리 가족이 옥상정원에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천시청사 옥상정원
(3) 송죽동 녹색마을
경기도 수원시 송죽동 녹색마을은 국토해양부의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사업” 중 2007년 시범마을 대상지로 선정된 곳으로, “푸른 행복이 있는 초록생태마을 송죽만들기”란 사업이 진행된 곳이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송죽동의 푸른마을 가꾸기 사업이 진행되어, 단독주택 4곳의 옥상이 푸르름이 살아있는 녹색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옥상녹화를 조성한 주택들은 노후가 심하여 토심 10cm 이하의 저토심 경량형 옥상녹화유형을 적용하였고, 이러한 구조적 제한을 감안한 저토심·저관리를 위해 세덤류, 섬기린초 등을 주로 식재하였다. 편의시설로는 산책로, 파라솔 등으로 휴게공간을 조성하여, 녹지공간이 열악한 단독주택 거주환경에 의미 있는 녹색공간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송죽동 녹색마을 옥상정원
(4) 한국복합물류 아름누리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에 위치한 한국복합물류 옥상정원인 아름누리는 국내 최대 규모로 1,114 면적으로 2009년 조성되었다. 이곳에는 반딧불이와 맹꽁이가 서식하고 있는 2곳의 생태습지, 송사리, 도롱뇽, 산개구리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계류 등 크게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2곳의 생태습지는 동쪽과 서쪽에 위치한 핵심공간으로 조성되었으며, 그 사이에 조성된 계류는 완충·전이공간으로 조성되었다.
또한 생태습지 및 계류의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데크, 목교 등의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생태습지의 바닥은 인근의 논흙을 이용하고 개구리, 논달팽이, 논우렁, 송사리를 주변의 논과 저수지에서 채취하여 조성하였다. 또한 생태습지 및 계류에 필요한 물순환장치를 위해 300W급 태양광발전시스템과 400W급 풍력발전시스템을 갖추었으며, 빗물저장탱크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활용해 연못의 물을 공급하는 등 친환경에너지와 재활용을 통한 자연순환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아름누리는 옥상녹화를 통해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식물, 조류, 양서류, 곤충 등 다양한 생명들이 살아가는 서식처를 제공하고, 주변의 산과 하천을 연계해주는 생태네트워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한국복합물류 아름누리
(5) 부산시청사 하늘마당
하늘마당은 부산 연제구에 위치한 시청사 옥상에 조성된 공원이며, 총 2차에 걸쳐 2010년 완공되었다. 시청 4층 옥상 3,659 에 수목 36종 6,872그루, 야생 초화류 48종 13,314본이 식재되었으며, 허브원, 생태학습장, 새덤박스, 암석원, 논체험방, 휴게공간, 축제마당 등이 조성되었다. 또한 자연생태공간을 시민과 함께 나누고, 옥상정원의 보급활성화를 위해 시민 탐방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하늘마당을 적극 개방하고 있다.
부산시청사 하늘마당
(6) 과천시청사
2009년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에 위치한 시청 본관 2층 1,500 면적에 관리·중량형 옥상녹화가 조성되었다. 10~20㎝의 경량토양을 사용하여 이동 동선을 따라 다양한 지피식물, 관목과 교목을 식재하였고 파고라, 벤치, 폭포 등의 시설물을 설치하여 과천시 공무원은 물론 시청사를 방문하는 민원인들에게 쾌적한 휴게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남천, 파라칸사스, 자산홍, 낙상홍, 줄사철 등 관목 1,340그루와 옥잠화, 삼지구엽초, 애기원추리, 구절초, 금낭화, 매발톱꽃 등 야생화 3만 7,000여 그루가 계절 변화에 따라 자생하고 있다.
과천시청사 옥상정원
참고자료
강전유 외, 나무해충도감, 소담출판사, 2008.
국토해양부,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 2012.
김성무, 원예치료를 위한 옥상조경 설계, 2004.
김현수, 옥상 및 벽면녹화 신기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노한규, 국내 도심 옥상녹화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논문, 2010.
박기원, 옥상녹화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5.
박세진, 옥상정원의 식재 식물종의 현황과 이용자의 식물선호도에 관한 연구, 2001.
박현준,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인공지반 공간의 활용, 학술세미나자료집, 2002.
서울특별시청,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한?미?일의 옥상녹화 국제 심포지엄, 2003.
서울특별시, 건축물 옥상녹화 시스템 유형결정과 관리 메뉴얼, 2007.
심우경, 옥상정원(Roof Garden), 보문당, 2000.
오정은, 자연친화적 도시환경을 위한 옥상정원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논문, 2004.
윤국병, 조경배식학, 일조각, 1994.
이기덕,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1.
이은재정환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전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대전발전연구원, 2013.
임만택, 친환경 도시건축, 문운당, 2009.
정영선, 서양조경사, 명보문화사, 1979.
장중근, 도심의 공원녹지 확충을 위한 옥상녹화의 환경 및 경제적 효과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교 논문, 2004.
최희선, Garden Design, 산업대학원 강의교재, 2009.
한국조경학회, 조경식재설계론, 문운당, 1996.
서울시청 별관 초록뜰
(2) 부천시청사
부천시청사 옥상정원은 10층 청사건물의 4층 옥상에 조성한 총 600 의 넓은 정원으로 1997년 조성되었다. 잔디가 심겨진 부분에 나무와 돌 등으로 길을 만들어 넓은 면적을 2개의 파라솔과 파고라로 그늘공간을 만들었으며, 방풍벽 및 안전막 시설은 없고 보통 60~70cm의 난간으로만 되어있고 정원 앞 양쪽에 지붕형 파고라와 테이블을 마련하여 실외에서도 회의를 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조성하였다.
정원앞의 햇볕이 잘 드는 방향에는 라일락, 단풍나무, 쥐똥나무 등의 중형수목이 식재되어 있고 그 아래에 장미, 철쭉류, 애기 옥잠화 등이 심겨져 있다. 정원의 양옆쪽으로는 아이비 등의 지피식물 위주로 식재되어 있으며 건물의 뒤편에는 돌단 풍맥문동, 회양목, 애기 옥잠화, 철쭉류와 주목 등을 식재 하여 그늘에서 잘 자라는 수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2013년에는 흰뺨검둥오리 가족이 옥상정원에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천시청사 옥상정원
(3) 송죽동 녹색마을
경기도 수원시 송죽동 녹색마을은 국토해양부의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사업” 중 2007년 시범마을 대상지로 선정된 곳으로, “푸른 행복이 있는 초록생태마을 송죽만들기”란 사업이 진행된 곳이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송죽동의 푸른마을 가꾸기 사업이 진행되어, 단독주택 4곳의 옥상이 푸르름이 살아있는 녹색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옥상녹화를 조성한 주택들은 노후가 심하여 토심 10cm 이하의 저토심 경량형 옥상녹화유형을 적용하였고, 이러한 구조적 제한을 감안한 저토심·저관리를 위해 세덤류, 섬기린초 등을 주로 식재하였다. 편의시설로는 산책로, 파라솔 등으로 휴게공간을 조성하여, 녹지공간이 열악한 단독주택 거주환경에 의미 있는 녹색공간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송죽동 녹색마을 옥상정원
(4) 한국복합물류 아름누리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에 위치한 한국복합물류 옥상정원인 아름누리는 국내 최대 규모로 1,114 면적으로 2009년 조성되었다. 이곳에는 반딧불이와 맹꽁이가 서식하고 있는 2곳의 생태습지, 송사리, 도롱뇽, 산개구리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계류 등 크게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2곳의 생태습지는 동쪽과 서쪽에 위치한 핵심공간으로 조성되었으며, 그 사이에 조성된 계류는 완충·전이공간으로 조성되었다.
또한 생태습지 및 계류의 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데크, 목교 등의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다. 생태습지의 바닥은 인근의 논흙을 이용하고 개구리, 논달팽이, 논우렁, 송사리를 주변의 논과 저수지에서 채취하여 조성하였다. 또한 생태습지 및 계류에 필요한 물순환장치를 위해 300W급 태양광발전시스템과 400W급 풍력발전시스템을 갖추었으며, 빗물저장탱크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활용해 연못의 물을 공급하는 등 친환경에너지와 재활용을 통한 자연순환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아름누리는 옥상녹화를 통해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식물, 조류, 양서류, 곤충 등 다양한 생명들이 살아가는 서식처를 제공하고, 주변의 산과 하천을 연계해주는 생태네트워크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한국복합물류 아름누리
(5) 부산시청사 하늘마당
하늘마당은 부산 연제구에 위치한 시청사 옥상에 조성된 공원이며, 총 2차에 걸쳐 2010년 완공되었다. 시청 4층 옥상 3,659 에 수목 36종 6,872그루, 야생 초화류 48종 13,314본이 식재되었으며, 허브원, 생태학습장, 새덤박스, 암석원, 논체험방, 휴게공간, 축제마당 등이 조성되었다. 또한 자연생태공간을 시민과 함께 나누고, 옥상정원의 보급활성화를 위해 시민 탐방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하늘마당을 적극 개방하고 있다.
부산시청사 하늘마당
(6) 과천시청사
2009년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에 위치한 시청 본관 2층 1,500 면적에 관리·중량형 옥상녹화가 조성되었다. 10~20㎝의 경량토양을 사용하여 이동 동선을 따라 다양한 지피식물, 관목과 교목을 식재하였고 파고라, 벤치, 폭포 등의 시설물을 설치하여 과천시 공무원은 물론 시청사를 방문하는 민원인들에게 쾌적한 휴게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남천, 파라칸사스, 자산홍, 낙상홍, 줄사철 등 관목 1,340그루와 옥잠화, 삼지구엽초, 애기원추리, 구절초, 금낭화, 매발톱꽃 등 야생화 3만 7,000여 그루가 계절 변화에 따라 자생하고 있다.
과천시청사 옥상정원
참고자료
강전유 외, 나무해충도감, 소담출판사, 2008.
국토해양부,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 2012.
김성무, 원예치료를 위한 옥상조경 설계, 2004.
김현수, 옥상 및 벽면녹화 신기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노한규, 국내 도심 옥상녹화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논문, 2010.
박기원, 옥상녹화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5.
박세진, 옥상정원의 식재 식물종의 현황과 이용자의 식물선호도에 관한 연구, 2001.
박현준,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인공지반 공간의 활용, 학술세미나자료집, 2002.
서울특별시청,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한?미?일의 옥상녹화 국제 심포지엄, 2003.
서울특별시, 건축물 옥상녹화 시스템 유형결정과 관리 메뉴얼, 2007.
심우경, 옥상정원(Roof Garden), 보문당, 2000.
오정은, 자연친화적 도시환경을 위한 옥상정원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논문, 2004.
윤국병, 조경배식학, 일조각, 1994.
이기덕,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1.
이은재정환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전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대전발전연구원, 2013.
임만택, 친환경 도시건축, 문운당, 2009.
정영선, 서양조경사, 명보문화사, 1979.
장중근, 도심의 공원녹지 확충을 위한 옥상녹화의 환경 및 경제적 효과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교 논문, 2004.
최희선, Garden Design, 산업대학원 강의교재, 2009.
한국조경학회, 조경식재설계론, 문운당, 1996.
추천자료
수업관찰 및 분석방법 -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전자장비에 의한 근로감시관찰(전자노동감시)의 유형과 한계
TV를 통한 역사 쓰기
범용cctv사용확대찬반논거
인터넷 시대의 글쓰기와 문화
일본 애니메이션
국어과 7차 교육과정과 7차 개정 교육과정 해설 및 비교분석(10학년 말하기)
친환경 전원주택 설계 건축 판넬
(수업개선)비디오와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수업개선방안
저작도구-렉토라(1-24)교재
[EBS교육방송][EBS][교육방송] EBS교육방송의 정의, EBS교육방송의 효율성, EBS교육방송의 기...
[음악 저작인접권, 음악 저작인접권 개념, 음악 저작인접권 정보화, 음악 저작인접권 창작자 ...
[정보접근권][정보][접근권][정보접근권 의미][정보접근권 문화적 권리][정보불평등][정보접...
영상문화 repor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