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성’(聖)과 ‘속’(俗)
2.방법론적 난점
3. 히에로파니의 종류
4. 히에로파니의 다양성
5. 히에로파니의 변증법
6. 터부와 성의 양면성
7. 마나
8. 히에로파니의 구조
9. 히에로파니의 재평가
10. ‘원시’종교의 복합성
2.방법론적 난점
3. 히에로파니의 종류
4. 히에로파니의 다양성
5. 히에로파니의 변증법
6. 터부와 성의 양면성
7. 마나
8. 히에로파니의 구조
9. 히에로파니의 재평가
10. ‘원시’종교의 복합성
본문내용
러 차원의 존재를 낳았다. 어떤 히에로파니라도 모순적 본질, 즉 성과 속, 정신과 물질, 영원과 영원하지 않은 것 등의 공존을 표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물질 속에서 성을 표명한다는 이 히에로파니의 변증법이 중세의 신학과 같이 복잡한 신학에서조차 하나의 연구대상이었다는 것은 어느 종교에서나 이것이 항상 주요 문제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10. ‘원시’종교의 복합성
1) 성은 속과 질적으로 다르다. 그러나 성은 어떤 방법으로든 속세의 세계에서 자신을 표명한다.
2) 성의 변증법은 아마 ‘원시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에 다 적용될 것이다. 그것은 돌이나 나무 숭배에서도 나타난다.
3) 기본적인 히에로파니는 어디에서나 발견되며 나아가 진화론자들이 고등하다고 지칭하는 종교형태의 흔적에서도 발견된다.
4) 우리는 어느 곳에서나 고도의 종교형태의 흔적과는 거리가 먼 것에서조차 기본적인 히에로파니에 적합한 체계를 발견할 수 있다.
후에 살피겠지만 의례는 항상 선조나 신들이 역사가 시작하기 이전 ‘아득한 그때’에 행했던 원형적 행위의 반복이며, 사람들은 히에로파니를 통하여 가장 통상적이고 일상적인 행위에까지도 존재를 부여하려고 노력한다.
10. ‘원시’종교의 복합성
1) 성은 속과 질적으로 다르다. 그러나 성은 어떤 방법으로든 속세의 세계에서 자신을 표명한다.
2) 성의 변증법은 아마 ‘원시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에 다 적용될 것이다. 그것은 돌이나 나무 숭배에서도 나타난다.
3) 기본적인 히에로파니는 어디에서나 발견되며 나아가 진화론자들이 고등하다고 지칭하는 종교형태의 흔적에서도 발견된다.
4) 우리는 어느 곳에서나 고도의 종교형태의 흔적과는 거리가 먼 것에서조차 기본적인 히에로파니에 적합한 체계를 발견할 수 있다.
후에 살피겠지만 의례는 항상 선조나 신들이 역사가 시작하기 이전 ‘아득한 그때’에 행했던 원형적 행위의 반복이며, 사람들은 히에로파니를 통하여 가장 통상적이고 일상적인 행위에까지도 존재를 부여하려고 노력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