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신체사정, 귀신체사정, 코신체사정, 입신체사정, 인후신체사정, 가슴신체사정, 폐신체사정, 심장신체사정, 정상심잡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의신체사정, 귀신체사정, 코신체사정, 입신체사정, 인후신체사정, 가슴신체사정, 폐신체사정, 심장신체사정, 정상심잡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귀신체사정
(1) 외부구조의 시진
(2) 내부구조의 시진 , 이경검진
(3) 청력검진

2.. 코신체사정
(1) 외부구조의 시진
(2) 내부구조의 시진

3. 입과 인후신체사정

4. 가슴신체사정

5. 폐신체사정
(1) 청진

6. 심장신체사정
(1) 청진
(2) 정상심잡음의구분
(3) 심잡음 강도의 단계

본문내용

1. 귀신체사정
(1)외부구조의 시진
- 외부에서 전체적으로 보이는 귀 부분을 귓바퀴 , 머리의 양 옆에 위치한다.
귓바퀴의 높이 정렬은 눈의 바깥쪽 안와에서 후두, 즉 머리뼈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 상상선을 그어 측정한다. 이때, 귓바퀴의 상단이 이 선과 만나거나 위로 넘어서야 한다.
- 정상은 수직선에 대해 10‘ 이내의 각도를 이룬다.
- 상상선 아래에 있는 경우 신장 이상이나 정신지체와 관련.
- 정상적으로 신생아를 제외하고 귓바퀴는 머리뼈에서 외부로 약간 도출해 있다.
- 영아에서 납작귀는 자주 옆으로 눕는 자세로 있었음을 의미
- 귀주변의 피부를 시진, 작은 구멍이나 귀젖, 굴이 있는지 살펴본다. 왜? 굴이 있는 경우 목이나 귀의 어떤 부위로 연결된 누공이 있을 수 있으므로 기록한다.
- 귀의 위생상태 사정. 귀지는 외이도의 바깥 부분에 위치 귀지샘에서 만들어지는 노랗고 부드러운 밀랍 같은 물질. 이경으로 그 색과 냄새를 기록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6.08.25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007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