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의 날][국군의 날의 연혁][국군의 날의 유래][국군의 날의 의의][국군의 날과 국군편성][국군][군인][군대]국군의 날의 연혁, 국군의 날의 유래, 국군의 날의 의의, 국군의 날과 국군편성 분석(국군의 날, 국군, 군인, 군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군의 날][국군의 날의 연혁][국군의 날의 유래][국군의 날의 의의][국군의 날과 국군편성][국군][군인][군대]국군의 날의 연혁, 국군의 날의 유래, 국군의 날의 의의, 국군의 날과 국군편성 분석(국군의 날, 국군, 군인, 군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국군의 날의 연혁

Ⅲ. 국군의 날의 유래

Ⅳ. 국군의 날의 의의

Ⅴ. 국군의 날과 국군편성
1. 1946년 1월 15일
2. 1948년 9월 1일
3. 1948년 9월 5일
4. 1949년 10월 1일
5. 1950년 6월 25일
6. 1953년 7월 27일
7. 1956년 9월 21일
8. 1976년부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후 국군은 막강한 60만 대군으로 성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1992년 12월 지상구성군 사령부에 대한 지휘권을 비롯하여 1994년 12월에는 평시 작전 통제권이 한국군에 이양(移讓)되었으며, 2000년대까지는 전시작전 통제권도 한국군에 이양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렇게 되면 광복 이래 미군이 가졌던 한국의 작전권은 완전히 한국군에 넘어오게 되는 것이다.
1. 1946년 1월 15일
청년의 열성으로 ‘국방 경비대’ 3개 대대 창설
2. 1948년 9월 1일
국방 경비대가 ‘육군’으로 발족
3. 1948년 9월 5일
부산의 ‘해안 경비대’가 해군으로 발족
4. 1949년 10월 1일
육군 항공대에서 공군으로 독립
5. 1950년 6월 25일
북괴 공산당의 남침으로 625사변 발발
6.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으로 38선이 휴전선으로 바뀜
7. 1956년 9월 21일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제정
8. 1976년부터
국군의 날을 공휴일로 제정 ※ 법정공휴일에서 제외(\'90.11. 5)
참고문헌
ⅰ. 배영복(1996), 누가 군을 매도하는가 : 국군의 날에 생각한다, 한국자유총연맹
ⅱ. 이용천(2007), 국군의 날 군 관련 보도성향 연구 : 조선일보 보도내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ⅲ. 이선호(1994), 국군의 날은 현행대로 10월1일 존속, 한국군사학회
ⅳ. 평화재향군인회(2007), 국군의 날 개정 :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국방정책
ⅴ. 편집부(2007), 국군의 날 59주년 기념식 거행, 북한연구소
ⅵ. 한용원(1994), 국군의 날 개정논의에 관한소고, 한국군사학회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8.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