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급성 관동맥 증후군의 초기관리
-정의
-일반적인 치료
빈맥성 부정맥
-동성빈맥
-심방세동
-다소성 심방빈맥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심실빈맥
-정의
-일반적인 치료
빈맥성 부정맥
-동성빈맥
-심방세동
-다소성 심방빈맥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심실빈맥
본문내용
협심증의 원인 및 증상
원인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그 외에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다.
증상
1.가슴의 통증 또는 가슴을 짓누르는 압박감: 협심증의 경우 휴식으로 인해
통증이 완화되나 심근 경색의 경우는 휴식과 관계없이 격렬한 통증을 호소 ,발한을 동반함.
2.방사통(가슴, 턱, 목, 왼쪽팔, 어깨사이 상복부등)
3.심근 경색증은 가슴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됨
4.부정맥, 급사
5.무증상 심근 경색(silent myocardial infarction): 흉통을 보이지 않는 심근
경색을 말하며 당뇨 환자에서 더 흔함
흉통의 완화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가장먼저 이루어져야 할 치료 중 하나이다. 이는 증상호전뿐 아니라 불안감으로 인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를 통한 원치 않는 산소요구량 증가를 막을 수 있다.
질산염제제(nitroglycerin)
5분간격으로 3회까지 사용함.
3번의 투여 후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모르핀(morphine)의 사
용을 고려한다.
정맥 내 질산염제제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금기) 우심실 경색의 경우(전부하를 유지해야 하는 상황)질산
염제제는 정맥확장을 유발시켜 전부하의 감소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사용을 피하거나 주의를 기울려야 한다.
또한 발기부전으로 인해 phosphodiesterase 억제제를 24시간
이내에 복용한 환자에서 저혈압의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모르핀(morphin)
질산염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흉통의 치료에 있어 가장먼저
선택되어지는 약제. 초기용량의 보통 4mg으로 정주하고 필요
시 5-10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한다.
이는 혈압강하를 유발할 수 있는데 교감신경의 활성을 떨어뜨
려 나타나는 효과로 이상반응이 아니다. 이때 수액공급을 통해
교정하며 혈압상승제 사용은 금기이다.
원인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그 외에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다.
증상
1.가슴의 통증 또는 가슴을 짓누르는 압박감: 협심증의 경우 휴식으로 인해
통증이 완화되나 심근 경색의 경우는 휴식과 관계없이 격렬한 통증을 호소 ,발한을 동반함.
2.방사통(가슴, 턱, 목, 왼쪽팔, 어깨사이 상복부등)
3.심근 경색증은 가슴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됨
4.부정맥, 급사
5.무증상 심근 경색(silent myocardial infarction): 흉통을 보이지 않는 심근
경색을 말하며 당뇨 환자에서 더 흔함
흉통의 완화
급성 관동맥 증후군에서 가장먼저 이루어져야 할 치료 중 하나이다. 이는 증상호전뿐 아니라 불안감으로 인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를 통한 원치 않는 산소요구량 증가를 막을 수 있다.
질산염제제(nitroglycerin)
5분간격으로 3회까지 사용함.
3번의 투여 후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모르핀(morphine)의 사
용을 고려한다.
정맥 내 질산염제제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금기) 우심실 경색의 경우(전부하를 유지해야 하는 상황)질산
염제제는 정맥확장을 유발시켜 전부하의 감소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사용을 피하거나 주의를 기울려야 한다.
또한 발기부전으로 인해 phosphodiesterase 억제제를 24시간
이내에 복용한 환자에서 저혈압의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모르핀(morphin)
질산염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흉통의 치료에 있어 가장먼저
선택되어지는 약제. 초기용량의 보통 4mg으로 정주하고 필요
시 5-10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한다.
이는 혈압강하를 유발할 수 있는데 교감신경의 활성을 떨어뜨
려 나타나는 효과로 이상반응이 아니다. 이때 수액공급을 통해
교정하며 혈압상승제 사용은 금기이다.
추천자료
심장질환에 대하여
판막질환
[간호학]관상동맥질환에 관하여(관상동맥질환문헌고찰,관상동맥질환치료,관상동맥질환간호,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 환자가 계속하여 증가하는 추세이다. 뇌졸중...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을 중심으로 한 과로사와 산재보상에 대한 연구
[순환계]순환계(순환기계)의 개념, 순환계(순환기계)의 과정, 순환계(순환기계)의 조절, 순환...
내분비계 질환 및 심폐질환
[심혈관계질환]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주요건강문제
[의학] 심장질환과 폐질환
노인 순환기계 질환 (고혈압, 뇌졸중, 심부전, 허혈성 심질환)
[기초관호과학 공통] 1. 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을 설명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
치주질환과 전신질환과의 관계
[A+] 비 감영성 질환 - 당뇨병, 심장질환, 고혈압, 심장마비, 뇌졸증, 당뇨병치료 10가지 수...
관상동맥질환(허혈성 심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과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