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 들머리
1.1 연구대상
1.2 문제제기
2. 민간 모형의 기본 개념
2.1 인지 모형과 문화 모형
2.2 민간 모형과 전문 모형의 대조
3. 민간 모형의 양상
3.1 감각표현
3.2 감정표현
3.3 속담 및 속언
4. 민간 모형의 의의
4.1 민간 모형의 인지언어학적 평가
4.2 민간 모형의 설명력
4.3 민간 모형의 사실성
4.4 민간 모형의 친숙성
4.5 민간 모형의 예측력
5. 마무리
-참고문헌
1.1 연구대상
1.2 문제제기
2. 민간 모형의 기본 개념
2.1 인지 모형과 문화 모형
2.2 민간 모형과 전문 모형의 대조
3. 민간 모형의 양상
3.1 감각표현
3.2 감정표현
3.3 속담 및 속언
4. 민간 모형의 의의
4.1 민간 모형의 인지언어학적 평가
4.2 민간 모형의 설명력
4.3 민간 모형의 사실성
4.4 민간 모형의 친숙성
4.5 민간 모형의 예측력
5. 마무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머리
인지 모형 가운데 '민간 모형'을 중심으로 그 의미 특성을 밝히는 데 뜻이 있다. 본문을 통해 전통적인 언어문화 양식을 새롭게 환기하고 의미를 부여할 뿐 아니라, 전문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예1) 가. '고래(鯨)'- 전문 모형: '포유류 동물';
민간 모형: '물고기’
나. '박쥐'- 전문 모형: ‘익수목’;
민간 모형: '새'나 '쥐’
2. 민간 모형의 기본 개념
인지 모형(cognitive model)
어떤 분야를 중심으로 저장된 지식 토대의 인지적•심리적 견해이다. 인지 모형은 제한이 없고 선택적이라는 점에서 '불완전성', 고립된 실체가 아니라는 점에서 '연결망을 형성하는 ‘경향성', 모든 범주화 행위에서 의식적으로 언급된다는 점에서 '편재성'을 갖는다.
문화 모형(cultural model)
한 사회 집단이나 하위 집단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인지 모형이다.
예4) '용(龍)'의 인지모형:
〈중동, 서양, 기독교 문화권권〉:
부정적인 힘의 상징, 영웅이 물리칠 대상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 문화권〉: 긍정적인 힘의 상징, 악을 물리치는 수호신
민간 모형(folk model)
어떤 문화권의 언중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얻은 경험과 직관을 통해 형성해 온 상식적인 세계관을 말한다. 소박한 모형(naive model)이나 민간 이론(folk theory)이라기도 한다.
전문 모형(expert model)
기존 학문 분야에서 실험 및 사례 분석과 논증을 통하여 검증된 객관적이며 엄격한 모형을 말한다. 과학적 모형(scientific model)이나 전문 이론(expert theory)이라기도 한다.
인지 모형 가운데 '민간 모형'을 중심으로 그 의미 특성을 밝히는 데 뜻이 있다. 본문을 통해 전통적인 언어문화 양식을 새롭게 환기하고 의미를 부여할 뿐 아니라, 전문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예1) 가. '고래(鯨)'- 전문 모형: '포유류 동물';
민간 모형: '물고기’
나. '박쥐'- 전문 모형: ‘익수목’;
민간 모형: '새'나 '쥐’
2. 민간 모형의 기본 개념
인지 모형(cognitive model)
어떤 분야를 중심으로 저장된 지식 토대의 인지적•심리적 견해이다. 인지 모형은 제한이 없고 선택적이라는 점에서 '불완전성', 고립된 실체가 아니라는 점에서 '연결망을 형성하는 ‘경향성', 모든 범주화 행위에서 의식적으로 언급된다는 점에서 '편재성'을 갖는다.
문화 모형(cultural model)
한 사회 집단이나 하위 집단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인지 모형이다.
예4) '용(龍)'의 인지모형:
〈중동, 서양, 기독교 문화권권〉:
부정적인 힘의 상징, 영웅이 물리칠 대상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 문화권〉: 긍정적인 힘의 상징, 악을 물리치는 수호신
민간 모형(folk model)
어떤 문화권의 언중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얻은 경험과 직관을 통해 형성해 온 상식적인 세계관을 말한다. 소박한 모형(naive model)이나 민간 이론(folk theory)이라기도 한다.
전문 모형(expert model)
기존 학문 분야에서 실험 및 사례 분석과 논증을 통하여 검증된 객관적이며 엄격한 모형을 말한다. 과학적 모형(scientific model)이나 전문 이론(expert theory)이라기도 한다.
추천자료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 국악(전통음악) 관련 학술행사, 초...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의,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편...
[언어지식]언어지식학습(언어지식수업)의 기본방향, 언어지식학습(언어지식수업)의 필요성, ...
[수학과교육][측정영역]수학과(수학교육) 측정영역학습지도 개념과 배경, 수학과(수학교육) ...
쓰기지도(쓰기교육, 쓰기학습) 개념과 중요성, 쓰기지도(쓰기교육, 쓰기학습) 원리,과정, 쓰...
[TBL]과제중심학습(TBL, 과업중심학습)의 개념과 성격, 과제중심학습(TBL, 과업중심학습)의 ...
수학교육(학습, 수학수업) 기본 방향, 수학교육(학습, 수학수업) 재구성, 수학교육(학습, 수...
전환교육(직업, 특수교육)의 개념, 전환교육(직업, 특수교육)의 중요성, 전환교육(직업, 특수...
신문활용수업(NIE, 신문활용교육)의 필요성과 기본활동, 신문활용수업(NIE, 신문활용교육)의 ...
구성주의교육이론(구성주의학습)의 의의와 제 관점, 구성주의교육이론(구성주의학습)의 기본...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기본이해,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의의,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핵...
[미술치료][미술치료기법]미술치료의 특성, 미술치료의 분류, 미술치료의 역사, 미술치료의 ...
사회복지의 모형과 사회복지 관련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