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혜석의 일대기,강명화의 자살,자유연애사상 사랑관,나혜석 연애사상,여성인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혜석의 일대기,강명화의 자살,자유연애사상 사랑관,나혜석 연애사상,여성인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대기


2. 작품소개

-사랑관

-모성애

-여성인권

-사회개혁

-그 외


3. 토론

본문내용

나혜석의 일대기

1896년 4월 18일 경기도 수원에서 나주 나씨 나기정과 수성 최씨 최시의의
5남매 중 넷째, 딸로서는 둘째로 태어남

1917년 3월 학지광에 <잡감> 발표 필명으로 정월이라는 호를 씀
7월 <잡감-K언니에게 여함> 발표


1918년 3월 <여자계> 2호에 단편소설 경희 발표
4월 모교인 진명여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나 8월 경에 건강이 안 좋아
그만두고 집에서 그림공부를 함
9월 <여자계> 3호에 단편소설 <회생한 손녀에게> 발표

1920년 4월 <신여자> 제 2호에 판화 <저것이 무엇인고> 발표
정동 예배당에서 김필수 목사의 주례로 김우영과 결혼
6월 김우영과의 약혼시대를 회상한 <4년 전 일기 중에서>를
신여자 제4호에 발표

1921년 1월 <폐허>에 시 <사> <냇물> 발표
3월 19~20일 경성일보사 내청각에서 유화 개인전람회를 열었음

1923년 1월 <모된 감상기>를 발표
3월 백결생이 <모된 감상기>를 비판하는 <관념의 남루를 벗은 비애>
를 발표하자 이에 반박하는 글 <백결생에게 답함>을 발표
11월 <신여성>에 <부처간의 문답> 발표

1924년 7월 <만주의 여름> <1년 만에 본 경성의 잡감> 발표
8월 <나를 잊지 않는 행복> 발표 이해 말엽에 첫 아들 선 낳음

1926년 1월 자신의 육아 경험을 <내가 어린애 기른 경험> 발표
4월 소설 <원한> 발표
6월 <내 남편은 이러하외다> 발표
12월 둘째 아들 진 낳음

1927-1929년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세계여행을 함
29년 6월에는 셋째 아들 건을 낳음

1930년 1월 아기가 아파서 병간호에 정신이 없다는 말을 <애아 병간호>에 씀
9월 김우영과 이혼

1934년 8~9월 <이혼 고백장>을 발표

1935년 2월 <신생활에 들면서>를 발표
3월 시 <아껴 무엇하리 청춘을> 발표
10월 첫 아들 선, 폐렴으로 열두살의 나이로 요절

1937년 12월 자신의 연애관을 담은 <영이냐, 육이냐, 영육이냐>를 삼천리에 발표

1938년 5월 나혜석의 글 <영이냐, 육이냐, 영육이냐>에 대한 비판인
안덕근의 <모윤숙 나혜석씨 의 연애관 비판>이라는 글이 삼천리에 실림
8월 <해인사의 풍광> 발표

1948년 12월 10일 원효로 시립 자제원에서 사망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16.09.26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009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