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지도와 상담] 미술상담의 정의와 가치, 그림의 발달단계, 미술상담의 기법, 미술상담의 재료와 환경 및 시간, 미술상담의 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지도와 상담] 미술상담의 정의와 가치, 그림의 발달단계, 미술상담의 기법, 미술상담의 재료와 환경 및 시간, 미술상담의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술상담의 정의와 가치
2. 그림의 발달단계
1) 난화기(2-4세)
2) 전도식기(4-7세)
3) 도식기(7-9세)
4) 또래집단기(9-11세)
5) 의사실기(11-13세)
6) 결정기(13-17세)
3. 미술상담의 기법
1) 진단적 도구로서의 미술과 분석
2) 상담도구로서의 미술
4. 미술상담의 재료, 환경, 시간
5. 미술상담의 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아동의 작품을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미술상담의 횟수는 일반적으로 주 12회가 적당하며, 문제의 증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술상담의 시간은 통상 1회기에 6090분으로 하지만, 이 또한 문제의 증상에 따라 달라진다.
5. 미술상담의 과정
미술상담은 일반적으로 도입, 활동, 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도입 단계에서는 미술상담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안내를 한다. 활동 단계에서는 아동이 적극적으로 미술활동에 들어가는 단계로, 아동이 활동 자체에 몰입하여 깊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대화는 하지 않는다. 토론 단계에서는 먼저 아동이 만든 작품을 살펴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담자와 아동, 아동과 작품사이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이때 상담자와 아동의 관계가 안정되고 친밀할 때 작품으로부터 더 많은 정보와 느낌을 얻을 수 있다. 토론 시 유의할 점은 작품의 진단이나 분석을 삼가야 하는데, 이는 동이 다음 작품을 만들 때 부담과 불안을 느껴 자유로운 표현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토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작품을 시작할 때와 만들 때, 끝났을 때의 느낌은 어떠한가?
작품의 어떤 부분이 마음에 드는가?
만약 작품을 수정한다면 어느 부분을 수정하고 싶은가?
그림의 각 요소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9.29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0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