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 론 ─────────────────────── 1
Ⅱ. 본 론 ─────────────────────── 1
1. 문헌고찰 ────────────────────── 1
1) 원인, 병태생리, 증상 ──────────────── 1
2) 진단검사 ───────────────────── 3
3) 치료 ─────────────────────── 5
4) 간호 ─────────────────────── 6
2. 대상자 사정 ───────────────────── 6
1) 일반적 정보 ───────────────────── 6
2) 진단적 검사결과 ─────────────────── 8
3) 현재 복용 약물 ─────────────────── 9
3. 간호과정 ────────────────────── 11
Ⅲ. 결 론 ────────────────────── 12
Ⅳ. 참고문헌 ────────────────────── 12
Ⅰ. 서 론 ─────────────────────── 1
Ⅱ. 본 론 ─────────────────────── 1
1. 문헌고찰 ────────────────────── 1
1) 원인, 병태생리, 증상 ──────────────── 1
2) 진단검사 ───────────────────── 3
3) 치료 ─────────────────────── 5
4) 간호 ─────────────────────── 6
2. 대상자 사정 ───────────────────── 6
1) 일반적 정보 ───────────────────── 6
2) 진단적 검사결과 ─────────────────── 8
3) 현재 복용 약물 ─────────────────── 9
3. 간호과정 ────────────────────── 11
Ⅲ. 결 론 ────────────────────── 12
Ⅳ. 참고문헌 ────────────────────── 12
본문내용
청력 : 정상
3. 자아개념 : 보통
4. 의식 : 명료
H. 지식영역
질병에 관한 지각상태 : 질병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계시나 자세히 알지 못함
질병치료법에 관한 지식 정도 : 치료법에 대해 잘 알고 있음
I. 감정영역
1. 통증 명료
2. 정신사회적 상태 :
정서 : 안정
지남력 : 있음 (사람, 장소, 시간)
의식상태 : alert
동공크기 : 대칭 대광반사 : 왼쪽, 오른쪽 둘다 있음
2) 진단적 검사결과
(1) 혈액검사
검사항목
정상범위
임상수치결과
의미
WBC
3.9 - 10.6
16.93
▲
- 면역력이 떨어진 것을 의미하고, 각종 세균 이나 바이러스 등에 약해져서 감염이 쉽게 됨
- 감염 후에도 몸에서 효과적으로 충분한 자연
치유력이 발생되지 않음
RBC
4.32 - 5.9
many
▲
- 적혈구 수 및 혈액량이 증가하는 경우와
혈장용적의 감소로 상대적으로 적혈구의
수가 증가할 수 있음
(2) 임상화학검사 : 정상
(3) 소변검사
검사항목
정상범위
임상수치결과
의미
occult Blood
-
+++
- 소변의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이면 심한운동 이나 충격, 약물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혈뇨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자주 발생하는 경우 요로계통에 특정부위에 출혈이 있음을 의미
RBC
0 - 4/HPF
many
▲
3)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약물
용법
효능
메디소루주
IM
부신호르몬제
벤톨린
AE
진해거담제, 중증의 급성천식치료
아트로벤트
AE
진해거담제
염산브롬헥신주
IM
진해거담제
프라콩주
PO
항히스타민제
페니라민
PO
항히스타민제
엘도스
PO
진해거담제
쿠쿠시럽
PO
기관지염증
아벨록스
IV
호흡기감염치료
코데닝
PO
기침, 가래
네오베트
PO
소화성궤양용제
이토벨
PO
위장관조절제
에카렉스
PO
소화성궤양용제
타이레놀
PO
해열.진통.소염제
3. 간호과정
주객관적 자료
sputum이 있으며, coughing시 걸걸 거리는 소리 관찰
현재 천식을 앓고 있음, 호흡음 Wheezing 청진
Nebulizer(호흡기 치료) 사용 관찰
숨은 안차냐고 물어보자 대상자 왈 “숨이 차지, 기침도 너무 심해”
기침, 가래에 대해 물어보자 대상자 왈 “응”
간호진단
#1. 과도한 점액분비물, 천식으로 인한 기관지폐쇄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간호목표
- 대상자의 기도개방성이 증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대상자의 호흡양상(호흡수, 리듬, 호흡음, 기침, 가래)을 사정
한다.
대상자의 Chest PA 결과를 확인한다.
치료적
기도는 항상 청결한 상태로 개방되도록 한다.
먼지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필요시 처방된 거담제, 항생제를 투약한다.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를 투약한다.
대상자의 반좌위 상태로 유지시킨다.
적절한 수분 공급을 통해 객담 액화화,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약물의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충분한 수분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체위변경에 대해 교육한다.
평가
기도가 개방되어 있다.
주객관적 자료
1/15 AM 7:10, BT 38℃ check AM 9:20 37.4 ℃ check
“너무 춥고 온몸도 아프고 열도 나는 것 같아”
간호진단
#2. 질병과정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대상자의 v/s을 자주 측정한다.
치료적
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
필요시 처방된 해열제, 항생제를 투약하고, 수액을 공급한다.
추위를 느끼면 담요를 덮여준다.
필요시 냉찜질이나 미온수 스펀지 목욕을 한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고체온에 대한 증상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수분섭취에 대해 교육한다.
(38℃ 넘으면 탈수초래)
평가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주객관적 자료
호흡 수(28회/분), 맥박 수 증가(102회/분)
목소리가 떨리며 안면홍조 관찰
숨차냐고 물어보자 대상자 왈 “당연히 숨차지!”
간호진단
#3.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 대상자가 정상범위의 호흡 수와 맥박 수를 유지한다.
- 대상자가 숨쉬기가 편하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v/s 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호흡수, 맥박수 중심)
Spo2를 측정한다.
치료적
대상자에게 확신감을 주기 위해 확신에 찬 태도로 대한다.
안전 도모와 공포를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와 같이 있어준다.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를 투약한다.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이완술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호흡법에 대해 교육한다.
평가
정상범위의 호흡 수(20회/분)와 맥박 수(88회/분)를 유지하신다.
아직도 숨이 찬다고 말하신다.
Ⅲ. 결론
이번 2주 동안 서귀포 의료원에서 실습을 했다. 그리고 처음으로 응급실에서 실습을 하게 되었다. 실습을 한 결과 간호사가 응급실에서 일을 하려면 정말 많은 지식과 대처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습을 하면서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응급실 약물과 기구, 대상자 처치수행방법 등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어 간호사가 된 후에 응급실에서 근무를 하게 되면 간호사로써 실력과 경험을 많이 쌓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2주간 정말 재미있게 실습을 한 것 같아서 나중에 병원에 들어가면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번에 케이스스터디를 한 대상자는 천식을 가지고 있는 환자였는데 진단명으로 불안과 기도개방유지불능, 고체온을 내려서 계획을 세워보았는데 응급실에서 실습하기 때문에 직접 병실로 가서 간호수행을 할 수 없어서 아쉬웠고 케이스스터디를 하면서 직적환자를 사정하고 간호진단도 내려 보고 계획까지 세워봄으로써 정말 간호사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내가 지금 공부하고 있는 간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것 같다.
Ⅳ. 참고 문헌
이향련(2010).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 593-601
김근순 외(2010).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서원미디어, p 500-509
곽성규 외(2010). 기초병리학, 정문각, p 237-238
3. 자아개념 : 보통
4. 의식 : 명료
H. 지식영역
질병에 관한 지각상태 : 질병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계시나 자세히 알지 못함
질병치료법에 관한 지식 정도 : 치료법에 대해 잘 알고 있음
I. 감정영역
1. 통증 명료
2. 정신사회적 상태 :
정서 : 안정
지남력 : 있음 (사람, 장소, 시간)
의식상태 : alert
동공크기 : 대칭 대광반사 : 왼쪽, 오른쪽 둘다 있음
2) 진단적 검사결과
(1) 혈액검사
검사항목
정상범위
임상수치결과
의미
WBC
3.9 - 10.6
16.93
▲
- 면역력이 떨어진 것을 의미하고, 각종 세균 이나 바이러스 등에 약해져서 감염이 쉽게 됨
- 감염 후에도 몸에서 효과적으로 충분한 자연
치유력이 발생되지 않음
RBC
4.32 - 5.9
many
▲
- 적혈구 수 및 혈액량이 증가하는 경우와
혈장용적의 감소로 상대적으로 적혈구의
수가 증가할 수 있음
(2) 임상화학검사 : 정상
(3) 소변검사
검사항목
정상범위
임상수치결과
의미
occult Blood
-
+++
- 소변의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이면 심한운동 이나 충격, 약물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혈뇨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자주 발생하는 경우 요로계통에 특정부위에 출혈이 있음을 의미
RBC
0 - 4/HPF
many
▲
3)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약물
용법
효능
메디소루주
IM
부신호르몬제
벤톨린
AE
진해거담제, 중증의 급성천식치료
아트로벤트
AE
진해거담제
염산브롬헥신주
IM
진해거담제
프라콩주
PO
항히스타민제
페니라민
PO
항히스타민제
엘도스
PO
진해거담제
쿠쿠시럽
PO
기관지염증
아벨록스
IV
호흡기감염치료
코데닝
PO
기침, 가래
네오베트
PO
소화성궤양용제
이토벨
PO
위장관조절제
에카렉스
PO
소화성궤양용제
타이레놀
PO
해열.진통.소염제
3. 간호과정
주객관적 자료
sputum이 있으며, coughing시 걸걸 거리는 소리 관찰
현재 천식을 앓고 있음, 호흡음 Wheezing 청진
Nebulizer(호흡기 치료) 사용 관찰
숨은 안차냐고 물어보자 대상자 왈 “숨이 차지, 기침도 너무 심해”
기침, 가래에 대해 물어보자 대상자 왈 “응”
간호진단
#1. 과도한 점액분비물, 천식으로 인한 기관지폐쇄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간호목표
- 대상자의 기도개방성이 증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대상자의 호흡양상(호흡수, 리듬, 호흡음, 기침, 가래)을 사정
한다.
대상자의 Chest PA 결과를 확인한다.
치료적
기도는 항상 청결한 상태로 개방되도록 한다.
먼지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필요시 처방된 거담제, 항생제를 투약한다.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를 투약한다.
대상자의 반좌위 상태로 유지시킨다.
적절한 수분 공급을 통해 객담 액화화,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약물의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충분한 수분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체위변경에 대해 교육한다.
평가
기도가 개방되어 있다.
주객관적 자료
1/15 AM 7:10, BT 38℃ check AM 9:20 37.4 ℃ check
“너무 춥고 온몸도 아프고 열도 나는 것 같아”
간호진단
#2. 질병과정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대상자의 v/s을 자주 측정한다.
치료적
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
필요시 처방된 해열제, 항생제를 투약하고, 수액을 공급한다.
추위를 느끼면 담요를 덮여준다.
필요시 냉찜질이나 미온수 스펀지 목욕을 한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고체온에 대한 증상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수분섭취에 대해 교육한다.
(38℃ 넘으면 탈수초래)
평가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주객관적 자료
호흡 수(28회/분), 맥박 수 증가(102회/분)
목소리가 떨리며 안면홍조 관찰
숨차냐고 물어보자 대상자 왈 “당연히 숨차지!”
간호진단
#3.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 대상자가 정상범위의 호흡 수와 맥박 수를 유지한다.
- 대상자가 숨쉬기가 편하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v/s 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호흡수, 맥박수 중심)
Spo2를 측정한다.
치료적
대상자에게 확신감을 주기 위해 확신에 찬 태도로 대한다.
안전 도모와 공포를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와 같이 있어준다.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를 투약한다.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이완술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호흡법에 대해 교육한다.
평가
정상범위의 호흡 수(20회/분)와 맥박 수(88회/분)를 유지하신다.
아직도 숨이 찬다고 말하신다.
Ⅲ. 결론
이번 2주 동안 서귀포 의료원에서 실습을 했다. 그리고 처음으로 응급실에서 실습을 하게 되었다. 실습을 한 결과 간호사가 응급실에서 일을 하려면 정말 많은 지식과 대처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습을 하면서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응급실 약물과 기구, 대상자 처치수행방법 등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어 간호사가 된 후에 응급실에서 근무를 하게 되면 간호사로써 실력과 경험을 많이 쌓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2주간 정말 재미있게 실습을 한 것 같아서 나중에 병원에 들어가면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번에 케이스스터디를 한 대상자는 천식을 가지고 있는 환자였는데 진단명으로 불안과 기도개방유지불능, 고체온을 내려서 계획을 세워보았는데 응급실에서 실습하기 때문에 직접 병실로 가서 간호수행을 할 수 없어서 아쉬웠고 케이스스터디를 하면서 직적환자를 사정하고 간호진단도 내려 보고 계획까지 세워봄으로써 정말 간호사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내가 지금 공부하고 있는 간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것 같다.
Ⅳ. 참고 문헌
이향련(2010).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 593-601
김근순 외(2010).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서원미디어, p 500-509
곽성규 외(2010). 기초병리학, 정문각, p 237-238
추천자료
천식 간호사례 연구
기관지 천식
[천식][천식 정의][천식 원인][천식 증상][천식 진단][천식 예방법][천식 치료][천식 응급처...
만성 폐쇄성 폐질환 case
기관지천식 최강 ppt
기관지 천식
경대 COPD (Chronic Obst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case study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간호사례연구 case study
[질환별 물리치료] 천식 (Asthma).ppt
천식 asthma 병태 생리
천식 asthma 간호과정 3개 병태생리 정의 치료 간호 증상 등등
★ 국제보건론 - 천식 (Asthma)( 정의, 원인, 증상, 진단, 검사, 치료, 예방법 )
울혈성심부전 케이스스터디
기관지천식(병태생리, 임상증상, 약물치료,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