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 론 -----------------------------------------
3
Ⅱ.
본 론 -----------------------------------------
3
1. 요정체 urinary retetnion --------------------------
3
2. 요실금 urinary incontinenece --------------------
6
3. 신경성 방광 neurogenic bladder dysfunction ---
10
4. 요역류 urinary reflux ------------------------------
12
5. 수신증 hydronephrosis ------------------------------
13
Ⅲ.
결 론 -----------------------------------------
14
Ⅳ.
의 학 용 어 -----------------------------------------
14
Ⅴ.
참 고 문 헌 ------------------------------------------
15
Ⅵ.
참 고 자 료 ----------------------------------------
15
Ⅰ.
서 론 -----------------------------------------
3
Ⅱ.
본 론 -----------------------------------------
3
1. 요정체 urinary retetnion --------------------------
3
2. 요실금 urinary incontinenece --------------------
6
3. 신경성 방광 neurogenic bladder dysfunction ---
10
4. 요역류 urinary reflux ------------------------------
12
5. 수신증 hydronephrosis ------------------------------
13
Ⅲ.
결 론 -----------------------------------------
14
Ⅳ.
의 학 용 어 -----------------------------------------
14
Ⅴ.
참 고 문 헌 ------------------------------------------
15
Ⅵ.
참 고 자 료 ----------------------------------------
15
본문내용
의 방법들로 치유가 되지 않을 시 시행
4. 요역류 urinary reflux
→방광요관 경계에 문제가 생겨서 요가 요관을 통해 신우내로 역류
1)원인
·선천성 기형이 가장 흔하며, 요도와 방광의 연결이 잘못된 경우에 생김
·감염으로 인해 요관과 요도에 부종과 유착이 생기면 판막기능이 방해되어 요역류가 발생할 수 있음
·신경근의 기능불량 : 방광경의 폐쇄→방광내 압력증가→요관괄약근의 저항력 저하→역류
2)병태생리
·주요 문제 : 요로감염, 방광손상
·방광 요관의 괄약근에 의해 상행성 감염으로부터 신장이 보호되지만, 요가 역류하면 방광 내에 있던 병원체들이 요관을 지나 신장으로 운반
·요관의 폐쇄나 요의 역류, 신장실질의 변화→소변축적→신우내의 압력 증가
→신피질의 위축, 신우확장증을 일으킴
·대개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상태로 신조직이 파괴되어 말기신질환이 초래
3)증상
·일반적으로 감염이 있을 경우에 증상이 나타남
·급성 감염이 동반된 경우 : 배뇨 시 작열감, 발열, 오한, 옆구리 통증
·만성 감염의 경우 : 증상이 없을 수 있어 환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역류가 진전되면 신장조직인 손상되어 만성신부전이 초래
4)진단검사
·배뇨 방광요도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로 진단가능
5)치료와 간호
(1)보존요법
·아동에서 사춘기까지는 방광의 긴장성이 증가하고 요관의 내벽 부분이 길어지므로 보존요법 처방
·회음부의 청결, 요로감염의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방광을 자주 비우게 함
·소변을 무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ampicilin, trimethoprim, sulfamethoxazol(Bactroim) 같은 항균제 투여
·혈중 약물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투약으로 인한 신손상 정도 사정
(2)수술요법
·요역류로 신장이 손상된 성인, 요관과 신우 경계의 폐쇄, 치료되지 않는 감염이나 성인이 되어서도 요의가 없는 경우에 적용
·방광요관성형술(vesicoureteroplasty)나 요관이식술(implantatiaon) : 요관기형 환자에게 적용
(3)요관카테터의 삽입
·목적 : 요관의 지지역할로 치유 촉진, 수술 후 부종으로 인한 폐쇄방지, 요를 배설하기 위함
·신우의 용적은 단지 5mL이므로 요관카테터가 막혀 신우의 압력이 상승하면 조직 손상이 초래되기 때문에 요관카테터의 개방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
5. 수신증, hydronephrosis
→정상적인 요의 흐름이 폐쇄되어 신우와 신배가 팽창된 상태
1)원인
·요관의 결석, 종양, 반흔조직, 염증 혹은 꼬임, 남자노인의 경우 전립샘 비대 등 요로의 폐색으로 인해 발생
2)병태생리
·신우벽에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장시간의 높은 압력→신우와 신배(renal calyces) 확장→신기능 손상
·요로의 폐쇄로 요가 정체되면 감염을 일으킴
3)증상과 징후
·측복부의 둔통이나 종류 등이며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소변이 정체되면 감염이나 결석이 발생되기 쉬우므로 이 같은 합병증은 발열이나 동통유발
4)진단검사
·초음파검사와 경정맥 요로조영술 : 폐색 부위와 폐색 원인 확인
·사구체여과율 측정 : 신기능 손상 정도 확인
5)치료와 간호
·폐색을 없애고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
·폐색을 제거한 직후에는 요로 차 있던 신실질의 압력이 갑자기 풀리게 되면서 반사적으로 이뇨가 나타나는데 계속되면 체액 부족 야기
·경피적으로 신장, 요관, 방광에 도관 삽입하여 배뇨 : 근본적으로 폐쇄를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항생제 체료 : 감염증과 폐쇄동반, 일반적인 요로 감염증과 달리 3~4주 동안 장기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음
·신장 절제술 :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요로 감염증과 폐쇄가 동반되어 신기능을 상실한 경우
Ⅲ. 결론
배뇨장애는 요정체, 요실금, 신경성 방광증, 요역류, 수신증 등으로 분류되어진다. 배뇨장애는 질환 자체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합병증의 형태로도 발생하기도 한다. 공통적으로 방광팽만 발열 빈뇨 불편감 지속적인 동통 등을 호소하며, 수술 후 합병증이나 카테터 등의 사용 요로기능의 저하로 인한 요 흐름의 폐쇄나 꼬임 등에 의해 발생하며 염증 발생 시 감염으로 이환될 수 있으며 심각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Evening duty로 xxx님을 방문하였을 때, xxx님이 으슬으슬 춥다고 하였으며 BT가 37.8℃ 미열이 있었다. 또한 ‘아랫배가 묵직하고 소화도 안되는것 같다’,‘소변보는 것도 힘들다’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는데 이러한 증상은 배뇨장애의 증상과 비슷하며, 수술 후 2일째 이며 Foley catheter를 제거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보아 비뇨기계 합병증일 가능성이 있다 고려된다.
이에 따라 우리는 xxx 님의 증상을 확실히 하기 위해 더 자세한 검사를 위하여 신체검진을 통하여 배뇨기능과 관련된 부분을 더 사정하고, 배뇨기록을 통하여, I/O 확인하고, 도뇨를 통하여 소변양과 색을 확인하고, 제일 중요한 요로폐쇄 확인을 위한 방광경 검사, 방광초음파 검사, 요로조영술과 도뇨 이외에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방광을 스캔하여 확인하는 방법을 통하여 어떠한 질환인지 확인하는 것을 알려주었다.
용어
뜻
방광주(bladder trabeculae)
얇은 방광 벽과 비대된 방광근육의 상태
요도근 실조(urethral dyssynergia)
방광요도괄약근 부조(근실조)
신배 (renal calyces)
신동중에 있어 신반이 갈라져 나오며, 여기에서 신유두로부터의 뇨를 받아들인다.
시나리오
SG serum glucose
혈당
KET Keton
케톤체
BIL bilirubin
빌리루빈
BLD blood
혈액
URO urino(urine)
소변
NIT nitrite
아질산염
Turbidity
혼탁도
bact bacteria
세균
casts
원주
crystal
결정
yeast
효모균
Ⅳ. 의학용어
Ⅴ. 참고문헌
1. 김금순외(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p1507~1518
2. 조경숙외(2014).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pp179~191. p232
3. 유혜정(2015). 간호사 국가고시 핵심문제집 성인간호학1. 애듀팩토리. pp289 ~299
Ⅵ. 참고자료
4. 요역류 urinary reflux
→방광요관 경계에 문제가 생겨서 요가 요관을 통해 신우내로 역류
1)원인
·선천성 기형이 가장 흔하며, 요도와 방광의 연결이 잘못된 경우에 생김
·감염으로 인해 요관과 요도에 부종과 유착이 생기면 판막기능이 방해되어 요역류가 발생할 수 있음
·신경근의 기능불량 : 방광경의 폐쇄→방광내 압력증가→요관괄약근의 저항력 저하→역류
2)병태생리
·주요 문제 : 요로감염, 방광손상
·방광 요관의 괄약근에 의해 상행성 감염으로부터 신장이 보호되지만, 요가 역류하면 방광 내에 있던 병원체들이 요관을 지나 신장으로 운반
·요관의 폐쇄나 요의 역류, 신장실질의 변화→소변축적→신우내의 압력 증가
→신피질의 위축, 신우확장증을 일으킴
·대개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상태로 신조직이 파괴되어 말기신질환이 초래
3)증상
·일반적으로 감염이 있을 경우에 증상이 나타남
·급성 감염이 동반된 경우 : 배뇨 시 작열감, 발열, 오한, 옆구리 통증
·만성 감염의 경우 : 증상이 없을 수 있어 환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역류가 진전되면 신장조직인 손상되어 만성신부전이 초래
4)진단검사
·배뇨 방광요도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로 진단가능
5)치료와 간호
(1)보존요법
·아동에서 사춘기까지는 방광의 긴장성이 증가하고 요관의 내벽 부분이 길어지므로 보존요법 처방
·회음부의 청결, 요로감염의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방광을 자주 비우게 함
·소변을 무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ampicilin, trimethoprim, sulfamethoxazol(Bactroim) 같은 항균제 투여
·혈중 약물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투약으로 인한 신손상 정도 사정
(2)수술요법
·요역류로 신장이 손상된 성인, 요관과 신우 경계의 폐쇄, 치료되지 않는 감염이나 성인이 되어서도 요의가 없는 경우에 적용
·방광요관성형술(vesicoureteroplasty)나 요관이식술(implantatiaon) : 요관기형 환자에게 적용
(3)요관카테터의 삽입
·목적 : 요관의 지지역할로 치유 촉진, 수술 후 부종으로 인한 폐쇄방지, 요를 배설하기 위함
·신우의 용적은 단지 5mL이므로 요관카테터가 막혀 신우의 압력이 상승하면 조직 손상이 초래되기 때문에 요관카테터의 개방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
5. 수신증, hydronephrosis
→정상적인 요의 흐름이 폐쇄되어 신우와 신배가 팽창된 상태
1)원인
·요관의 결석, 종양, 반흔조직, 염증 혹은 꼬임, 남자노인의 경우 전립샘 비대 등 요로의 폐색으로 인해 발생
2)병태생리
·신우벽에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장시간의 높은 압력→신우와 신배(renal calyces) 확장→신기능 손상
·요로의 폐쇄로 요가 정체되면 감염을 일으킴
3)증상과 징후
·측복부의 둔통이나 종류 등이며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소변이 정체되면 감염이나 결석이 발생되기 쉬우므로 이 같은 합병증은 발열이나 동통유발
4)진단검사
·초음파검사와 경정맥 요로조영술 : 폐색 부위와 폐색 원인 확인
·사구체여과율 측정 : 신기능 손상 정도 확인
5)치료와 간호
·폐색을 없애고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
·폐색을 제거한 직후에는 요로 차 있던 신실질의 압력이 갑자기 풀리게 되면서 반사적으로 이뇨가 나타나는데 계속되면 체액 부족 야기
·경피적으로 신장, 요관, 방광에 도관 삽입하여 배뇨 : 근본적으로 폐쇄를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항생제 체료 : 감염증과 폐쇄동반, 일반적인 요로 감염증과 달리 3~4주 동안 장기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음
·신장 절제술 :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요로 감염증과 폐쇄가 동반되어 신기능을 상실한 경우
Ⅲ. 결론
배뇨장애는 요정체, 요실금, 신경성 방광증, 요역류, 수신증 등으로 분류되어진다. 배뇨장애는 질환 자체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합병증의 형태로도 발생하기도 한다. 공통적으로 방광팽만 발열 빈뇨 불편감 지속적인 동통 등을 호소하며, 수술 후 합병증이나 카테터 등의 사용 요로기능의 저하로 인한 요 흐름의 폐쇄나 꼬임 등에 의해 발생하며 염증 발생 시 감염으로 이환될 수 있으며 심각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Evening duty로 xxx님을 방문하였을 때, xxx님이 으슬으슬 춥다고 하였으며 BT가 37.8℃ 미열이 있었다. 또한 ‘아랫배가 묵직하고 소화도 안되는것 같다’,‘소변보는 것도 힘들다’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는데 이러한 증상은 배뇨장애의 증상과 비슷하며, 수술 후 2일째 이며 Foley catheter를 제거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보아 비뇨기계 합병증일 가능성이 있다 고려된다.
이에 따라 우리는 xxx 님의 증상을 확실히 하기 위해 더 자세한 검사를 위하여 신체검진을 통하여 배뇨기능과 관련된 부분을 더 사정하고, 배뇨기록을 통하여, I/O 확인하고, 도뇨를 통하여 소변양과 색을 확인하고, 제일 중요한 요로폐쇄 확인을 위한 방광경 검사, 방광초음파 검사, 요로조영술과 도뇨 이외에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방광을 스캔하여 확인하는 방법을 통하여 어떠한 질환인지 확인하는 것을 알려주었다.
용어
뜻
방광주(bladder trabeculae)
얇은 방광 벽과 비대된 방광근육의 상태
요도근 실조(urethral dyssynergia)
방광요도괄약근 부조(근실조)
신배 (renal calyces)
신동중에 있어 신반이 갈라져 나오며, 여기에서 신유두로부터의 뇨를 받아들인다.
시나리오
SG serum glucose
혈당
KET Keton
케톤체
BIL bilirubin
빌리루빈
BLD blood
혈액
URO urino(urine)
소변
NIT nitrite
아질산염
Turbidity
혼탁도
bact bacteria
세균
casts
원주
crystal
결정
yeast
효모균
Ⅳ. 의학용어
Ⅴ. 참고문헌
1. 김금순외(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p1507~1518
2. 조경숙외(2014).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pp179~191. p232
3. 유혜정(2015). 간호사 국가고시 핵심문제집 성인간호학1. 애듀팩토리. pp289 ~299
Ⅵ. 참고자료
추천자료
의식장애 간호사정
수면장애와 간호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OMD 기질성 정신장애 및 인격장애) 케이스
인격장애・충동조절 및 적응장애 간호
[정신간호학] 기분장애 간호
[간호사례][심장수술환자][심근경색증환자][쇼크환자][안수술환자][위암수술환자][신장장애환...
청각장애대상자 간호
-노인-배설장애와 간호
정신간호학 성장애
정신간호학 인격장애 자료 (의존성, 강박성, 수동공격성)
[간호학과, 4학년 공통] 장기간 의식장애가 있는 환자의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심...
신체증상관련장애 간호와 예상문제
인격장애와 간호과정
[모성간호학]출산기 건강장애과 간호-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