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p. 1
Ⅱ. 본론 --------------------------------- p. 1~5
1) 심폐소생술 시 사용되는 약제들
2) 항부정맥제
3) 제세동
Ⅲ. 결론 -------------------------------- p. 5
Ⅳ. 참고문헌 --------------------------- p. 5
Ⅱ. 본론 --------------------------------- p. 1~5
1) 심폐소생술 시 사용되는 약제들
2) 항부정맥제
3) 제세동
Ⅲ. 결론 -------------------------------- p. 5
Ⅳ. 참고문헌 --------------------------- p. 5
본문내용
④ 심장모니터를 계속 관찰하고 산증을 예방하기 위해 중탄산나트륨(NaHCO₃)
를 투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lidocaine을 정맥으로 주입
[표.2] 제세동 관리
2) 기타 제세동 방법
(1) 체외 자동 제세동기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심실세동이나 심실 빈맥의 특징적인 리듬을 분석하는 내부 microprocessor-based 감시장치가 이러한 리듬이 나타나면 시술자에게 전기쇼크를 가하도록 알려줌
구조자는 심정지가 온 대상자를 단단하고 평평한 표면위에 눕히고, 흉골과 심첨에 커다란 부착형 전극을 붙이고 CPR를 중지하고 대상자로부터 모두 물러나게 한 후 기계의 ‘분석’을 누르면 기계가 10초 이내 리듬분석 후 전기쇼크 필요 여부를 알려줌
쇼크는 맥박이 없는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에만 적용함
- AED사용전, 맥박이 없는지 확인
- 경련이나 CPR중에는 심전도 리듬분석을 멈춤
- 움직이는 차량 안에서는 심전도 리듬분석을 주의하여 관찰
- 효과적으로 전극을 부착하기 위해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상처가 없어야 함
- 정기적으로 유지보수하고 배터리 장착함
[표.3] AED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
[그림1. 체외 자동 제세동기] [그림2. 체내 자동 제세동기]
(2) 체내 자동 제세동기 (ICD, 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을 자동으로 감지해 치명적인 부정맥을 제거하는 기구
심근경색증과 연관되지 않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 또는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전기생리학적 검사에서 심실빈맥 출현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삽입
전극은 박동을 감지하고 박동수의 변화와 심전도 그래프상의 등전선(심장에 전기적 활동이 없음을 의미)에 반응
(3) 인공심박동기 설치 대상자의 제세동
가능하면 전후 형태의 유도판을 사용
전방유도판은 인공 심장박동기의 배터리나 전극으로부터 적어도 10~20cm 떨어진 곳에 둠
가능한 낮은 전류를 사용
다음 24시간 동안 인공심박동기의 기능 관찰
Ⅲ. 결론
이번 시나리오에서는 PCI 이후 mild chest pain을 호소하다가 v/s이 불안정해지면서 의식을 잃고 쓰러져 EKG 상에서 심실세동이 나타나 응급 상황에 처한 ooo님을 만나 보았다.
ooo 님에게 간호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 우리는 심폐소생술시 투여하는 약물들의 종류와 그 약물들의 작용기전과 금기사항, 또한 부정맥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물들의 작용기전과 종류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제세동의 관리 방법과 여러 제세동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이에 우리는 임상에서 응급 상황을 마주 하게 되었을 때 이번 과제를 통해서 더 나아진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현문사, pp.730~732
성명숙 외(2011), 응급간호학, 서울: 군자출판사, pp.498~499
대한간호협회(2010), 성인간호학 간호사 국가시험 대비 문제집, 서울: 대한간호협회
를 투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lidocaine을 정맥으로 주입
[표.2] 제세동 관리
2) 기타 제세동 방법
(1) 체외 자동 제세동기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심실세동이나 심실 빈맥의 특징적인 리듬을 분석하는 내부 microprocessor-based 감시장치가 이러한 리듬이 나타나면 시술자에게 전기쇼크를 가하도록 알려줌
구조자는 심정지가 온 대상자를 단단하고 평평한 표면위에 눕히고, 흉골과 심첨에 커다란 부착형 전극을 붙이고 CPR를 중지하고 대상자로부터 모두 물러나게 한 후 기계의 ‘분석’을 누르면 기계가 10초 이내 리듬분석 후 전기쇼크 필요 여부를 알려줌
쇼크는 맥박이 없는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에만 적용함
- AED사용전, 맥박이 없는지 확인
- 경련이나 CPR중에는 심전도 리듬분석을 멈춤
- 움직이는 차량 안에서는 심전도 리듬분석을 주의하여 관찰
- 효과적으로 전극을 부착하기 위해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상처가 없어야 함
- 정기적으로 유지보수하고 배터리 장착함
[표.3] AED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
[그림1. 체외 자동 제세동기] [그림2. 체내 자동 제세동기]
(2) 체내 자동 제세동기 (ICD, 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을 자동으로 감지해 치명적인 부정맥을 제거하는 기구
심근경색증과 연관되지 않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 또는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전기생리학적 검사에서 심실빈맥 출현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삽입
전극은 박동을 감지하고 박동수의 변화와 심전도 그래프상의 등전선(심장에 전기적 활동이 없음을 의미)에 반응
(3) 인공심박동기 설치 대상자의 제세동
가능하면 전후 형태의 유도판을 사용
전방유도판은 인공 심장박동기의 배터리나 전극으로부터 적어도 10~20cm 떨어진 곳에 둠
가능한 낮은 전류를 사용
다음 24시간 동안 인공심박동기의 기능 관찰
Ⅲ. 결론
이번 시나리오에서는 PCI 이후 mild chest pain을 호소하다가 v/s이 불안정해지면서 의식을 잃고 쓰러져 EKG 상에서 심실세동이 나타나 응급 상황에 처한 ooo님을 만나 보았다.
ooo 님에게 간호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 우리는 심폐소생술시 투여하는 약물들의 종류와 그 약물들의 작용기전과 금기사항, 또한 부정맥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물들의 작용기전과 종류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제세동의 관리 방법과 여러 제세동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이에 우리는 임상에서 응급 상황을 마주 하게 되었을 때 이번 과제를 통해서 더 나아진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현문사, pp.730~732
성명숙 외(2011), 응급간호학, 서울: 군자출판사, pp.498~499
대한간호협회(2010), 성인간호학 간호사 국가시험 대비 문제집, 서울: 대한간호협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