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치질
2. 치열
3. 항문-직장 농양
4. 치루
5. 모소낭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Ⅱ. 본 론
1. 치질
2. 치열
3. 항문-직장 농양
4. 치루
5. 모소낭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련이 동반
· 환자는 배변을 회피하므로 상태가 더욱 악화
· 청결 및 변비 조절 등으로 치유되지 않는 다면 수술로 누관: 신체표면으로 통해 있는 비정상적인 통로. (여기서는 염증 때문에 좁아진 항문을 뜻 함)
누관(tract)을 절제
· 저절로 낫지 않으므로 수술
· 간호사는 환자에게
처방된 Metamucil, Mineraloil, Colace 등의 배변 완화제를 계속 복용하게 함.
매일 배변하도록 하게 함.
배변 후 따뜻한 물로 그 부위를 깨끗이 씻어 주도록 교육
좌욕은 치유를 촉진 시키고 통증을 완화 국소적 마취제가 들어있는
좌약이 변비를 완화 시킬 수 있음
3. 항문-직장 농양(anorectal abscess)
(1) 원인
· 직장 내 여러 위치에서 발생
· 대부분의 농양은 움와염(cryptitis)으로 시작하며 낭종을 형성하고
관을 따라 점막 밑 공간으로 퍼짐 또한 부분적인 조직의 찰과상을
입었을 때 균이 침입하거나 항문 성교로 인하여 발생
(2) 증상과 징후
· 환자는 앉거나 눕는 데도 불편을 느끼며 체신경 말단이 압박을 받아 국부적 압박감을 호소하며
열과 오한이 있음
· 일차적 증상은 통증으로 특히 배변이 심함
· 농양을 시진으로 확인할 수도 있으나 주로 촉진으로 느낄 수 있음
· 농양이 직장의 상부에 있으면 통증과 권태감, 골반 불편감이 나타남
· 농양이 있는 직장부위와 다른 신체부위, 특히 방광이나 질 사이에 누공이 형성
(3) 치료
· 항생제를 투여하고 절개와 배농을 시행
·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좌욕을 함.
· 대상자에게 좌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지지해주며, 무균적인 위생 실천을 강조
· 항문-직장의 감염성 질환은 수술이 필요
· 감염은 외상성 치열이나 치선이 감염되어 발생할 수 있음. 감염된 치선은 진전되어 급성 농양을
일으키며 더 나아가 누공을 형성
· 항문-직장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은 Crohn‘s병, 외상, 방사선 치료, 암 등
· 학문직장 감염의 경우 내과적 치료로 증상을 조절하지 못하면 외과적 중재가 필요
절개와 배농
(Incision & Drainage)
· 외과적으로 출구를 만들어 분비물 을 배액
· 농성분비물(Purulentsecretions)을
제거하여 치유를 촉진하고 압력
으로 인한 불편감을 감소
· 누공과 농양이 있을 때 흔히 사용
누공절개술 (Fistulotomy)
· 누공의 절개와 배농을 말함.
· 누공절제술보다 선호하는 수술방법
누공절제술 (Fistulectomy)
· 누공 주위 조직들을 외과적으로 절 제하는 수술
· 수술부위 상처의 재감염을 예방하 기 위해 세심한 간호가 필요
치열절제술 (Fissurectomy)
· 외과적으로 치열을 제거하는 수술
· 치열은 치루보다 표재성이므로
절제부위가 크지 않음
· 절제부위가 재감염되며 누공이나 농양이 생길수 있음
괄약근절개술 (Sphincterotomy)
· 괄약근을 확장하기 위해 절개하는 방법
· 치열의 치유를 증진하며 더 이상 열상되지 않도록 예방
(4) 수술 후 간호
·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국소마취제 연고를 바르거나 진통제를 투여
· 수술 부위에 직접적인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앉을 때 쿠션이 있는 패드나 도넛 모양 패드를 제공
· 좌욕이나 더운물 목욕은 절개부위의 통증을 완화하며 청결과 농성 분비물의 배액을 촉진
· 개방성 상처는 멸균 거즈로 심지를 박아 농성 분비물을 흡수
· 항균 작용이 있는 용액을 거즈에 적셔 병소를 덮을 수 도 있음
· 항문-직장 감염은 재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처 관리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
· 적절한 배설 기능은 고섬유소 식이, 수분섭취 증가, 용적완화제 투여로 증진
· 분변매복을 예방하기 위해 변을 원활히 해야 함
· 합병증은 상처감염, 출혈, 협착, 배변곤란, 분변매복, 실변, 요정체 등
· Crohn 질환, 외상, 방사선 치료, 암 등은 감염을 재발시킬 수 있음
· 병소는 질로 퍼질 수 있으며 배농과 이상 성감증을 초래
· 최근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치유가 느림 따라서 대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결장루술을 하기도 함
· 변이나 농의 실금으로 당황하고 사기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회음부 패드가 필요
· 재발 가능성으로 인해 좌절하거나 낙담 할 수 있음
4. 치루(anal fistula)
· 항문 주변의 만성적인 농양이나 항문선의 염증으로
시작하여 고름이 배출되고 나면 항문선의 안쪽과 항문
바깥쪽 피부 사이에 터널이 생겨 바깥쪽 구멍을 통해
분비물이 나오는 현상
· 치루는 항문관에서 항문 밖 피부에 이르는 하나의 관 또는
직장 농양에서 항문관이나 항문 주위의 피부로 누공이
생기는 것
· 대개 농양의 결과로 생김 일시적으로 치료되었다가도
주기적으로 분비물이 계속해서 나옴
· 치루 절개술: 누관을 축을 따라 열어 배액되도록 하며,
자연히 살이 차올라 아물도록 하는 수술
·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 특히 배변 후에 좌욕을 하여 청결하게 함
5. 모소낭(pilonidal cyst)
· 젊은 남성에게 많이 발생
· 천골의 기저부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보통 모발을
가지고 있으며, 감염되어 농양을 형성하고 누관이 형성되는 질환
(1) 원인
· 모발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 누관을 형성하여 생김
· 만성자극(예: 의복에 의한)으로 털이 피부 속으로
들어가 감염이 생길 수 있음
(2) 증상
· 급성 통증, 부종과 분비물이 배설됨
(3) 치료
· 농양을 외과적으로 절제한 후 항생제를 투여
· 치유과정은 느리며, 감염에 의한 염증성 과정이 완전하게
치유되지 않으면 재발
Ⅲ. 결론
이번 과제를 통하여서 직장과 항문질환에서 치질 안에는 내치질·외치질이 있고, 항문주위 쪽 치열이 생기는 것과 항문-직장에 농양이 생기는 것, 치루, 모낭이 생기게 되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에 따른 치료와 합병증 그에 따른 간호를 알게 되었다.
Ⅳ. 국시문제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p.413~416
이향련 외(2008),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p.436~440
한국간호과학회 성인간호학회 편(2010), 간호사 국가시험대비 문제집 성인간호학, 서울: 대한간호협회, pp. 462~482
· 환자는 배변을 회피하므로 상태가 더욱 악화
· 청결 및 변비 조절 등으로 치유되지 않는 다면 수술로 누관: 신체표면으로 통해 있는 비정상적인 통로. (여기서는 염증 때문에 좁아진 항문을 뜻 함)
누관(tract)을 절제
· 저절로 낫지 않으므로 수술
· 간호사는 환자에게
처방된 Metamucil, Mineraloil, Colace 등의 배변 완화제를 계속 복용하게 함.
매일 배변하도록 하게 함.
배변 후 따뜻한 물로 그 부위를 깨끗이 씻어 주도록 교육
좌욕은 치유를 촉진 시키고 통증을 완화 국소적 마취제가 들어있는
좌약이 변비를 완화 시킬 수 있음
3. 항문-직장 농양(anorectal abscess)
(1) 원인
· 직장 내 여러 위치에서 발생
· 대부분의 농양은 움와염(cryptitis)으로 시작하며 낭종을 형성하고
관을 따라 점막 밑 공간으로 퍼짐 또한 부분적인 조직의 찰과상을
입었을 때 균이 침입하거나 항문 성교로 인하여 발생
(2) 증상과 징후
· 환자는 앉거나 눕는 데도 불편을 느끼며 체신경 말단이 압박을 받아 국부적 압박감을 호소하며
열과 오한이 있음
· 일차적 증상은 통증으로 특히 배변이 심함
· 농양을 시진으로 확인할 수도 있으나 주로 촉진으로 느낄 수 있음
· 농양이 직장의 상부에 있으면 통증과 권태감, 골반 불편감이 나타남
· 농양이 있는 직장부위와 다른 신체부위, 특히 방광이나 질 사이에 누공이 형성
(3) 치료
· 항생제를 투여하고 절개와 배농을 시행
·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좌욕을 함.
· 대상자에게 좌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지지해주며, 무균적인 위생 실천을 강조
· 항문-직장의 감염성 질환은 수술이 필요
· 감염은 외상성 치열이나 치선이 감염되어 발생할 수 있음. 감염된 치선은 진전되어 급성 농양을
일으키며 더 나아가 누공을 형성
· 항문-직장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은 Crohn‘s병, 외상, 방사선 치료, 암 등
· 학문직장 감염의 경우 내과적 치료로 증상을 조절하지 못하면 외과적 중재가 필요
절개와 배농
(Incision & Drainage)
· 외과적으로 출구를 만들어 분비물 을 배액
· 농성분비물(Purulentsecretions)을
제거하여 치유를 촉진하고 압력
으로 인한 불편감을 감소
· 누공과 농양이 있을 때 흔히 사용
누공절개술 (Fistulotomy)
· 누공의 절개와 배농을 말함.
· 누공절제술보다 선호하는 수술방법
누공절제술 (Fistulectomy)
· 누공 주위 조직들을 외과적으로 절 제하는 수술
· 수술부위 상처의 재감염을 예방하 기 위해 세심한 간호가 필요
치열절제술 (Fissurectomy)
· 외과적으로 치열을 제거하는 수술
· 치열은 치루보다 표재성이므로
절제부위가 크지 않음
· 절제부위가 재감염되며 누공이나 농양이 생길수 있음
괄약근절개술 (Sphincterotomy)
· 괄약근을 확장하기 위해 절개하는 방법
· 치열의 치유를 증진하며 더 이상 열상되지 않도록 예방
(4) 수술 후 간호
·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국소마취제 연고를 바르거나 진통제를 투여
· 수술 부위에 직접적인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앉을 때 쿠션이 있는 패드나 도넛 모양 패드를 제공
· 좌욕이나 더운물 목욕은 절개부위의 통증을 완화하며 청결과 농성 분비물의 배액을 촉진
· 개방성 상처는 멸균 거즈로 심지를 박아 농성 분비물을 흡수
· 항균 작용이 있는 용액을 거즈에 적셔 병소를 덮을 수 도 있음
· 항문-직장 감염은 재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처 관리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
· 적절한 배설 기능은 고섬유소 식이, 수분섭취 증가, 용적완화제 투여로 증진
· 분변매복을 예방하기 위해 변을 원활히 해야 함
· 합병증은 상처감염, 출혈, 협착, 배변곤란, 분변매복, 실변, 요정체 등
· Crohn 질환, 외상, 방사선 치료, 암 등은 감염을 재발시킬 수 있음
· 병소는 질로 퍼질 수 있으며 배농과 이상 성감증을 초래
· 최근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치유가 느림 따라서 대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결장루술을 하기도 함
· 변이나 농의 실금으로 당황하고 사기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회음부 패드가 필요
· 재발 가능성으로 인해 좌절하거나 낙담 할 수 있음
4. 치루(anal fistula)
· 항문 주변의 만성적인 농양이나 항문선의 염증으로
시작하여 고름이 배출되고 나면 항문선의 안쪽과 항문
바깥쪽 피부 사이에 터널이 생겨 바깥쪽 구멍을 통해
분비물이 나오는 현상
· 치루는 항문관에서 항문 밖 피부에 이르는 하나의 관 또는
직장 농양에서 항문관이나 항문 주위의 피부로 누공이
생기는 것
· 대개 농양의 결과로 생김 일시적으로 치료되었다가도
주기적으로 분비물이 계속해서 나옴
· 치루 절개술: 누관을 축을 따라 열어 배액되도록 하며,
자연히 살이 차올라 아물도록 하는 수술
· 상처를 보호하기 위해 특히 배변 후에 좌욕을 하여 청결하게 함
5. 모소낭(pilonidal cyst)
· 젊은 남성에게 많이 발생
· 천골의 기저부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보통 모발을
가지고 있으며, 감염되어 농양을 형성하고 누관이 형성되는 질환
(1) 원인
· 모발이 피부를 뚫고 들어가 누관을 형성하여 생김
· 만성자극(예: 의복에 의한)으로 털이 피부 속으로
들어가 감염이 생길 수 있음
(2) 증상
· 급성 통증, 부종과 분비물이 배설됨
(3) 치료
· 농양을 외과적으로 절제한 후 항생제를 투여
· 치유과정은 느리며, 감염에 의한 염증성 과정이 완전하게
치유되지 않으면 재발
Ⅲ. 결론
이번 과제를 통하여서 직장과 항문질환에서 치질 안에는 내치질·외치질이 있고, 항문주위 쪽 치열이 생기는 것과 항문-직장에 농양이 생기는 것, 치루, 모낭이 생기게 되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에 따른 치료와 합병증 그에 따른 간호를 알게 되었다.
Ⅳ. 국시문제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p.413~416
이향련 외(2008),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p.436~440
한국간호과학회 성인간호학회 편(2010), 간호사 국가시험대비 문제집 성인간호학, 서울: 대한간호협회, pp. 462~48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