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간호) 치료적 의사소통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건강간호) 치료적 의사소통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P. 1


Ⅱ. 본론 ------------------------------------P. 1~8


Ⅲ. 결론 ------------------------------------P. 8


Ⅳ. 간호진단 --------------------------------P. 8~9


Ⅴ. 참고문헌 --------------------------------P. 9


Ⅵ. 용어정리 --------------------------------P. 9~10

본문내용

에서 필요하지만 특히 처음 시작하는 단계에서 유용
▶ 구체적인 목적
① 대상자가 느낌을 표출하고 이미 표현된 느낌들을 보다 분명히 하도록 함
② 대상자가 더욱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하도록 함
③ 대화하는 동안 대화의 주도권을 대상자에게 주어 적극적으로 대화하도록 격려, 간접적 인도와 직접적 인도로 구분할 수 있다.
13) 질문
▶ 간호사는 치료적 의사소통 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질문을 자주 사용한다. 그러나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행동의 이유를 물을 때 대상자는 방어적이거나 지적으로 대응할지를 모른다.
▶ 개방식 질문은 대상자에 행동에 대해 언제, 어떻게, 무엇을, 어디서 등과 같은 내용을 이끌어 내는데 도움이 된다.
“자세히 말씀해 보시겠습니까?” “예를 하나 들어 주시겠습니까?” “제가 이해한 것이 정확합니까?” 등과 같은 반응들이다.
▶ 네, 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것과 조사하고 심문하는 듯 한 질문은 피하는 것이 좋다.
[예]
간호사 : ○○씨는 말씀해 보시죠.
대상자 : 제 남편이 지난 밤에 전화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잘해보려 노력했고 남편이 여행을 함께 가자고 했지만…
간호사 : 계속해 보세요.
14) 요약
▶ 대화가 끝난 다음 그동안 나눈 대화의 느낌과 사고들을 정리해 주는 기술
▶ 대상자에게 특별히 관련된 중요한 초점이나 진행상 강조해야 하는 상호작용의 어떤 시기에라도 사용할 수 있다.
▶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을 요약할 때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
특별한 용어로서 상호작용을 재고
대상자의 반응을 기다리고 경청
잘못 이해한 것을 설명
Ⅲ. 결론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하여 치료적 의사소통 중에 치료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자세히 알 수 있었는데 치료적 커뮤니케이션에는 개방적 질문, 경청, 느낌의 명료화, 반영, 내용설명, 직면, 지각확인, 자기노출, 정보제공, 침묵, 안내, 인도, 질문, 요약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XXX님에게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정신과 실습에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Ⅳ. 간호진단
간호 진단
1. 정신적 장애와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간호 사정
사정
주관적
- “내 몸에 환사가 있어요.”
- “내 몸 안에 녹색 뱀이 나를 조정하고 있어요.”
객관적
- 말이 진부하고 일관성 없음
- 자기만의 언어를 만들어 말함
- 질문 시 대답을 않거나 한참 지나야 대답함
- 질문과 전혀 관계없는 대답을 함
- 망상적 사고가 있음
계 획
진단적
- 상담을 통해 대상자의 사고과정을 파악한다.
- 망상의 내용, 강도, 빈도, 주기 등을 사정한다.
- 대상자의 기분상태를 파악한다.
치료적
- 대상자의 망상을 부정하지 않는다.
- 대상자가 언어화하도록 격려한다.
- 대상자에게 ‘직면’의 치료적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해 정직하고 직접적으로 현실을 인지시켜 준다.
- 대상자의 말을 무비판적 태도로 평가한다.
교육적
간호 진단
2. 인지기능 장애와 관련된 언어소통 장애
간호 사정
사정
주관적
- “약을 먹어서 멍청해 졌어요.”
- “물어보면서 가라고요?”
- “왜요? 잘 모르겠습니다.”
- “입원할 이유가 없는데 여기에 왔습니다. 깨어나 보니 여기였 습니다.”
객관적
- 질문 시 오랜 시간 대답을 하지 않음
- 상징적 표현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문자 그대로 해석함
- 의사결정시 우유부단하고 회피함
- 병식이 없음
계 획
진단적
- 상담을 통해 대상자의 인지기능에 대해 정확히 파악한다.
치료적
- 대상자가 질문에 대답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무표정으 로 차분히 기다린다.
- 대상자가 이해하기 쉬운 단어와 표현을 사용해 대화를 진행 한다.
- 대상자의 말을 경청한다.
- 대상자의 말이 이해하기 힘들더라도 표정에서 드러내지 않고 공감해준다.
교육적
Ⅴ. 참고문헌
- 이정숙 외(2010),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pp. 213~234
Ⅵ. 용어정리(약물, order)
용어
해석
Tolerable Diet
허용가능 (환자가 원하는 식이)
VDRL(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매독선별검사
약물명
효능/효과
용법/용량
Ativan
신경증에서의 불안ㆍ긴장ㆍ우울, 정신신체장애(자율신경 실조증, 심장신경증)에서의 불안ㆍ긴장ㆍ우울, 마취전 투약
성인 : 로라제팜으로서 1일 1-4㎎을 2-3회 분할 경구투여. 중증인 경우 1일 20㎎까지 투여 가능.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haloperidol
정신분열증, 조증, 정신병적 장애의 증상, 투렛증후군, 구토, 딸꾹질
14세 이상 : 초회량 1일 1-15mg을 2-3회 분복, 중증시 최대 100mg까지, 유지량 1일 2-8mg.
chlorpromazine
정신분열증, 기타의 정신병, 조증, 구역, 구토, 딸꾹질, 인공동면, 정싱병적 장애에서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불안, 긴장, 흥분
성인 : 1일 30-100mg, 정신과영역에서는 50-450mg를 분복(최대 1g)
소아 : 0.5mg/kg/day을 3-4회
procyclidine
뇌염후, 동맥경화성, 특발성 파킨슨병 : 진전, 강직, 피로, 무력증, 나태 등/항정신병약으로 인한 추체외로증상 : 근긴장이상, 운동이상, 정좌불능 등.
1. 파킨슨병 : 타 약물요법을 받지 않았던 자 : 초기 1회 2.5mg, 1일 3회
lorazepam
신경증 및 정신신체장애에서의 불안, 긴장, 우울, 마취전 투약
성인 1일 1-4mg을 2-3회 분복, 중증 환자의 경우 1일 20mg까지 투여가능
zolpidem
불면증
성인, 일일권장량 10mg, 취침직전. 장기간 사용은 권장되지 않으며, 1회 치료기간은 4주를 넘지 않도록 함.
abilify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급성 조증 및 혼재 삽화의 치료, 주요우울장애 치료의 부가요법제
정신분열병 : 성인 : 초회 1일 1회 10mg 또는 15mg. 1일 10-30mg 내에서 조정. 항정상태 도달을 위해 2주 전에 증량하지 말 것. 13-17세 : 1일 10mg
magnesium oxide
육체피로, 임신, 수유기, 병중 체력저하시, 발육기. 철결핍성 빈혈의 예방 및 치료
만 12세 이상 : 1일 1회 1정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11.15
  • 저작시기201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3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