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세부특징통합론이란?
2. 세부특징 통합론의 기본요소
-분산주의
-초점주의
3. 세부특징 통합론에 대한 연구
-분산주의 연구
-초점주의 연구
-착각적 결합
4. 세부특징 통합론의 현재 위상
5. 동시설가설과의 관계
참고자료
1. 세부특징통합론이란?
2. 세부특징 통합론의 기본요소
-분산주의
-초점주의
3. 세부특징 통합론에 대한 연구
-분산주의 연구
-초점주의 연구
-착각적 결합
4. 세부특징 통합론의 현재 위상
5. 동시설가설과의 관계
참고자료
본문내용
특징 통합이론과 비교했을 때 동시성가설은 동일한 대상의 다른 속성-모양, 크기, 방향, 색상, 명도 등을 표상하는 시각 신경 세포들은 시간의 차이 없이 모두 동시에 활성화 된다는 이론인데, 이는 대뇌 피질의 다른 영역의 신경세포들이 동일한 대상에 대해 발화하면 그 신경세포들의 신경발화 패턴이 서로 동시화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방위에 따른 발화세포들은 기둥으로 되어 있고, 하나의 각도에 하나의 신경 세포가 발화를 한다. 그렇다면 여러 방위를 가진 대상은 각기 다른 방위 기둥에 위치하는 신경세포들의 발화에 의해 표상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동시성은 모든 신경세포들이 동일한 대상에 반응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가설은 세부특징 통합이론의 결합문제에 대한 한 해결로 제안되었다. 이렇게 되면 주의에 따른 응집된 세상을 지각하게 된다.
참고자료
책
E.Bruce Goldstein(2016), 인지심리학(마음, 연구, 일상경험 연결), 썬게이지 러닝, 3장
Eliot W. Eisner(2014), 인지와 교육과정 (읽기 쉽게 다시 번역한), 교육과학사, P91-101
논문
김청택(2012), 인지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 모형, 정보과학회지, P19-24
예를 들면 방위에 따른 발화세포들은 기둥으로 되어 있고, 하나의 각도에 하나의 신경 세포가 발화를 한다. 그렇다면 여러 방위를 가진 대상은 각기 다른 방위 기둥에 위치하는 신경세포들의 발화에 의해 표상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동시성은 모든 신경세포들이 동일한 대상에 반응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가설은 세부특징 통합이론의 결합문제에 대한 한 해결로 제안되었다. 이렇게 되면 주의에 따른 응집된 세상을 지각하게 된다.
참고자료
책
E.Bruce Goldstein(2016), 인지심리학(마음, 연구, 일상경험 연결), 썬게이지 러닝, 3장
Eliot W. Eisner(2014), 인지와 교육과정 (읽기 쉽게 다시 번역한), 교육과학사, P91-101
논문
김청택(2012), 인지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 모형, 정보과학회지, P19-2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