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주요 정당조직과 그 역할(미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의 주요 정당조직과 그 역할(미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미국의 주요 정당 2

1. 미국 정당의 역사 2

2. 미국의 주요 정당 3
(1) 민주당 3
(2) 공화당 3
(3) 제 3당 및 군소정당 4

3. 양당 체제의 이유 4
(1) 역사적 요인 4
(2) 지리적 요인 5
(3) 양당에 대한 전통적 충성심 5
(4) 그 밖의 요인들 5

Ⅲ. 미국 정당의 조직구조 5

1. 전국적인 정당조직과 기구 5
(1) 전당대회 5
(2) 전국위원회 6
(3) 상,하 양원 선거위원회 6
(4) 정책위원회 6

2. 주와 지방정당의 조직과 기구 7
(1) 주의 정당조직 7
(2) 시, 군의 정당조직 7
(3) 선거구의 정당조직 7

Ⅳ. 미국의 주요 정당의 역할 7

Ⅴ. 결론 9

본문내용

지로 종합하는 이익집약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한쪽 끝은 사회를, 다른 한쪽 끝은 국가를 향해 뻗어 있는 교량인 것이다. 이명남, 현대정당론(서울 : 문원, 1997), p. 24-25.
이런 기능을 통해 미국의 정당은 미국 사회에 잠재되어 있는 각종 이익집단과 시민단체 그리고 국민의 이익을 큰 몇 개의 정당들이 표출시키고 하나의 정책으로 통합하여 그들을 대표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집단 이기주의 지역이기주의로 인한 각종 사회적 갈등도 정당의 역할을 통해 조정 완화시키고 있다. 윤용희, 현대 미국정당정치론(서울 : 청림, 2006), p. 415.
2. 정치지도자의 충원 및 선출기능
정당은 대통령, 총리, 각료 등 정치시스템 내의 여러 가지 역할과 구조에 개인을 취임시킨다. 선거라는 여과과정을 통과하는 것이 권력획득의 조건인 시스템에 있어서는 자격시험에 의해서 보충되는 직책과 지명에 의한 직책 이외의 정치적 지위를 획득하려는 자에게 정당은 필수불가결한 수단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당은 권력에의 등용문이라 할 수 있다. 이명남, 전게서, p.26.
정당은 이런 공직선거에 자당의 후보자를 공천하여 당선되도록 적극적으로 돕는 기능을 하며, 정당은 공직후보의 공천과 당선을 통해 공직에 정치엘리트를 충원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윤용희, 전게서, p. 416.
이 역할은 선거공직의 수가 증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오늘날,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명남, 전게서, p. 26.
3. 국민들의 정치사회화와 정치참여의 촉구
정당은 국민들의 선거참여와 민주주의 발전, 그리고 국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그들의 홍보와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국민들이 민주시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치사회화 시키고 국민들을 선거와 정치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윤용희, 전게서, p. 416.
즉 정당은 국민대중을 정치의 세계로 유도하므로서 정치에 관한 일반적 견해, 지식, 의견을 시민 특히 정치의 장에 대한 신규참여자를 학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선거캠페인 등을 통해서 정당은 시민의 정치적 정보원이 되어 선거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방대한 정치정보들이 국민들에게 쏟아지는 요즘, 정당은 시민이 의견을 형성하고 판단을 내리는데 유요한 도움을 주는 일종의 준거집단의 역할 까지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정책설명 팜플렛을 배포하는 활동이 있다. 이명남, 현대정당론(서울 : 문원, 1997), p. 27-29.
4. 건전한 국정비판기능과 대안제시 기능
민주당과 공화당 두 개 당은 서로 경쟁하며 국정운영에 대해 항상 관심을 가지고 정부가 국정운영에 잘못이 있을 때는 건전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해준다. 윤용희, 현대 미국정당정치론(서울 : 청림, 2006), p. 416.
즉, 여당은 정부를 구성해 국민의 의사를 집약하고 생산적인 정책결정을 수행하며 권력의 정당화와 유지에 힘쓰는 반면, 반대야당은 건설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며 정부를 견제, 비판한다. 또한 정당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선거에서 표명된 민의의 결과에 따라 정부를 조직 내지 통제함으로서 주권자인 국민의 여론과 정부기구를 서로 결부시키는 매개역할을 한다. 심지연,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서울 : 백산서당, 2003), p. 137-138.
5. 사회통합과 민주주의 발전
정당의 기능 중 가장 목적 지향적인 기능이 사회통합과 민주주의 발전(soci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democracy)기능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사회통합 기능이란 계급간, 지역간, 문화간, 신분간, 세대간의 갈등등을 조정하고 완화하는 기능을 말하며, 민주주의 발전기능은 권위주의 체제로부터 민주화로의 이행과 공고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이른다. 일반적으로 정당의 사회통합 기능은 먼저 사회갈등의 성격을 파악하고 여론의 동향을 조사한 다음, 선거에서 해소정책을 제시, 승리하여 정권을 담당한 후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을 밟는다. 이 과정에서 정당은 대립되는 갈등을 위임받아 정당체제에서 처리하게 된다. 상게서, p. 141-142.
Ⅴ. 결론
우리나라는 지구당이 폐지되었고 현재 중앙당만이 남아 중앙당에서 시작된 영향력이 지방에 까지 뻗친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이와는 반대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서는 시, 군 정당조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방의 정당 조직이 근간이 되어 민주당과 공화당의 양당을 구성한다. 즉 군위원회가 근간이 되어 있어서 정당의 주 조직은 군위원회의 연합이고 또 전국전인 정당의 조직도 주의 연합이며, 먼저 ‘주’의 권한이 우선이고, 화폐나 우주개발과 같이 ‘주’가 맡기 어려운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서만 연방이 권한을 가져간다. 또한 이는 지방행정의 권한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현으로 나타난다. 지방의 정당조직이 발달하면 그 지역 주민들의 요구나 불만과 같은 의견들을 수렴하고 이것을 중앙당으로 보내 실현시키는 것이 구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미국의 정당 정치는 대한민국의 정당 정치와 다른 모습을 띄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민주주의체제에서는 국민이 국가의 주인이고, 실제로 이를 실현 할 수 있는 것이 미국의 정당 조직 체계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미국의 정당 정치 체제는 타국의 모범이 될 만 하며 이를 본받으며 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6968&cid=479&categoryId=479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6967&cid=479&categoryId=479
윤용희, 현대 미국정당정치론(서울 : 청림, 2006)
한상우, 2012년 비교지방정부론 교수편집본(한양대학교, 2012), 제3장.
미국의 지방정부
심지연,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 서울 : 백산서당, 2003)
윤용희, 미국 양당정치의 형성과 발전 요인(한국동북아농촌, 2001), p. 25-69
이명남, 현대정당론(서울 : 문원, 1997)
주명룡, 미국 정치에서 배워라(서울 : 두리, 1998)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11.30
  • 저작시기201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4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