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동화의 내용전반에 걸쳐서 백성공주는 사냥꾼, 난쟁이, 왕자의 도움을 받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 자체는 좋은 동화의 내용이지만 여성은 남성에게 도움을 받는 존재로 그려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한다. 현대사회에서 여성은 남성에게 도움을 줄 수도 있고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성별에 관계없이 여성의 특성과 남성의 특성을 이용해 함께 풀어나가야 할 일이 많은데 여성은 도움을 받는 존재로만 그려지고 있다. 여성을 수동적 존재로만 그리게 되면 아이들에게 그런 인식이 자리 잡힐 것 이고 여아에게는 자신이 할 수도 있는 일을 타인에게 의존하려하게 되고 결국은 진취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여성이 진취적으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그려나가는 동화가 많이 나온다. 종이봉지 공주라는 동화를 읽고 그 속에 등장하는 종이봉지 공주는 자신의 삶에 주체성을 가진 인물이라고 생각했고, 종이봉지공주와 백설공주를 비교해 보았다.
종이봉지 공주라는 동화에서 종이봉지 공주는 확고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박진감 넘치게 길을 떠나게 된다. 종이봉지공주는 왕자를 용에게서 구하기 위한 목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주인공의 행동이 매우 중요한데, 처음에 길을 떠나기 전 옷이 없자 종이봉지를 주변에서 찾아내는 임기응변으로 박진감 넘치게 길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시련을 스스로 극복한다는 점에서 공주의 자기주도성을 엿볼 수 있고, 시련이 닥쳐도 이겨내는 여성상을 그려냈다.
공주는 용에게 자신이 대항 할 수 없음을 알자 꾀를 내어 용을 추켜세웠고, 용의 힘을 빼놓아 기진맥진 하게 만들었다. 이런 점에서 공주의 지혜를 엿볼 수 있고 백설공주와는 다른 부분을 찾을 수 있다. 종이봉지공주는 지적능력을 가진 긍정적인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는 점이다. 공주에게는 자신의 배우자를 찾아야 한다는 과제가 주어졌고 그것을 해결하려 노려하며 결국 배우자를 찾게 되었다.
하지만 왕자는 공주의 모습을 보고는 더럽고 찢어진 종이봉지를 걸치고 있다며 핀잔을 주었고, 진짜공주처럼 챙겨 입고 다시 오라고 말한다.
여기서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는 왕자의 면모가 아쉬웠으며, 공주가 로널드 왕자에게 넌 멋지지만 겉만 번지르르한 껍데기야 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공주는 사람의 내면을 볼 줄 알아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백설 공주에서 주는 메시지는 사람들 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제가 읽으면서 가장 초점을 둔 것은 ‘왜 항상 동화책에서는 왕자가 공주를 구하고 공주는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은가?’였다.
19세기 무렵 남성은 여성보다 강하고 용감하기 때문에 여자를 감싸고 보호해 주어야 한다는 관점이 깔려있었던 것 같다. 이처럼 모든 동화가 대부분 용감한 왕자가 가냘프고 아름다운 공주를 구하는 내용이었던 것이었다.
어린 시절 많은 아이들은 저처럼 백설 공주, 신데렐라 등의 동화를 읽으며 자랐을 것이다.
이 유명한 동화들은 대체로 미모가 빼어나게 아름다운 여성이 그 미모를 질투한 다른 악한 여성에 의해 위험에 빠지게 되고, 그 위험에 빠진 아름다운 여성을‘백마 탄 왕자’가 구해주어 둘은 결혼하게 된다는 기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유형의 이야기들은 비단 이 동화 뿐 아니라 여러 대중매체를 통한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신데렐라 스토리, 백설 공주 스토리 등으로 우리에게는 익숙한 소재다.
여기에서 무엇이 문제일까? 이 동화는 외모 지상주의의 문제,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여성상을 심어줄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용감한 공주가 왕자를 구하는 동화는 없을까?’라는 생각을 가지며 종이봉지공주라는 동화를 찾게 되었고 읽어 보았다. 종이봉지 공주는 다른 공주들처럼 긴 머리에 어여쁜 드레스를 입고 연약하고 가냘픈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공주와는 상반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용이 불태워 옷이 없자 종이봉투에 구멍을 뚫어 입었으며 짧게 잘린 머리와 강인하고 용감한 성격을 가진 공주의 이미지로 그려져 있다.
공주가 용과 싸움을 하여 상대를 물리친 것이 아닌 꾀를 내어 지혜롭게 용을 잠들게 하여 왕자를 구해낸다는 이야기였다.
결말엔 공주가 왕자를 구하지만 열심히 왕자를 구하러온 공주의 초라하고 지저분한 모습을 본 왕자는 면박을 주었다.
공주는 이때 왕자가 화려한 겉모습에만 치중하는 것에 실망하고 그것에 대해 일침을 놓으며, 결국 결혼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앞으로 많은 동화가 이렇게 올바른 여성상을 그려낼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며 이 과제를 마치려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한 성별에 관계없이 여성의 특성과 남성의 특성을 이용해 함께 풀어나가야 할 일이 많은데 여성은 도움을 받는 존재로만 그려지고 있다. 여성을 수동적 존재로만 그리게 되면 아이들에게 그런 인식이 자리 잡힐 것 이고 여아에게는 자신이 할 수도 있는 일을 타인에게 의존하려하게 되고 결국은 진취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여성이 진취적으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그려나가는 동화가 많이 나온다. 종이봉지 공주라는 동화를 읽고 그 속에 등장하는 종이봉지 공주는 자신의 삶에 주체성을 가진 인물이라고 생각했고, 종이봉지공주와 백설공주를 비교해 보았다.
종이봉지 공주라는 동화에서 종이봉지 공주는 확고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박진감 넘치게 길을 떠나게 된다. 종이봉지공주는 왕자를 용에게서 구하기 위한 목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주인공의 행동이 매우 중요한데, 처음에 길을 떠나기 전 옷이 없자 종이봉지를 주변에서 찾아내는 임기응변으로 박진감 넘치게 길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시련을 스스로 극복한다는 점에서 공주의 자기주도성을 엿볼 수 있고, 시련이 닥쳐도 이겨내는 여성상을 그려냈다.
공주는 용에게 자신이 대항 할 수 없음을 알자 꾀를 내어 용을 추켜세웠고, 용의 힘을 빼놓아 기진맥진 하게 만들었다. 이런 점에서 공주의 지혜를 엿볼 수 있고 백설공주와는 다른 부분을 찾을 수 있다. 종이봉지공주는 지적능력을 가진 긍정적인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는 점이다. 공주에게는 자신의 배우자를 찾아야 한다는 과제가 주어졌고 그것을 해결하려 노려하며 결국 배우자를 찾게 되었다.
하지만 왕자는 공주의 모습을 보고는 더럽고 찢어진 종이봉지를 걸치고 있다며 핀잔을 주었고, 진짜공주처럼 챙겨 입고 다시 오라고 말한다.
여기서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는 왕자의 면모가 아쉬웠으며, 공주가 로널드 왕자에게 넌 멋지지만 겉만 번지르르한 껍데기야 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공주는 사람의 내면을 볼 줄 알아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백설 공주에서 주는 메시지는 사람들 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제가 읽으면서 가장 초점을 둔 것은 ‘왜 항상 동화책에서는 왕자가 공주를 구하고 공주는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은가?’였다.
19세기 무렵 남성은 여성보다 강하고 용감하기 때문에 여자를 감싸고 보호해 주어야 한다는 관점이 깔려있었던 것 같다. 이처럼 모든 동화가 대부분 용감한 왕자가 가냘프고 아름다운 공주를 구하는 내용이었던 것이었다.
어린 시절 많은 아이들은 저처럼 백설 공주, 신데렐라 등의 동화를 읽으며 자랐을 것이다.
이 유명한 동화들은 대체로 미모가 빼어나게 아름다운 여성이 그 미모를 질투한 다른 악한 여성에 의해 위험에 빠지게 되고, 그 위험에 빠진 아름다운 여성을‘백마 탄 왕자’가 구해주어 둘은 결혼하게 된다는 기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유형의 이야기들은 비단 이 동화 뿐 아니라 여러 대중매체를 통한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신데렐라 스토리, 백설 공주 스토리 등으로 우리에게는 익숙한 소재다.
여기에서 무엇이 문제일까? 이 동화는 외모 지상주의의 문제,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여성상을 심어줄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용감한 공주가 왕자를 구하는 동화는 없을까?’라는 생각을 가지며 종이봉지공주라는 동화를 찾게 되었고 읽어 보았다. 종이봉지 공주는 다른 공주들처럼 긴 머리에 어여쁜 드레스를 입고 연약하고 가냘픈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공주와는 상반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용이 불태워 옷이 없자 종이봉투에 구멍을 뚫어 입었으며 짧게 잘린 머리와 강인하고 용감한 성격을 가진 공주의 이미지로 그려져 있다.
공주가 용과 싸움을 하여 상대를 물리친 것이 아닌 꾀를 내어 지혜롭게 용을 잠들게 하여 왕자를 구해낸다는 이야기였다.
결말엔 공주가 왕자를 구하지만 열심히 왕자를 구하러온 공주의 초라하고 지저분한 모습을 본 왕자는 면박을 주었다.
공주는 이때 왕자가 화려한 겉모습에만 치중하는 것에 실망하고 그것에 대해 일침을 놓으며, 결국 결혼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앞으로 많은 동화가 이렇게 올바른 여성상을 그려낼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며 이 과제를 마치려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유아교육]우리나라 유아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및 과제 분석(유아교육 현실,문제점, 유아기와...
학습장애의 정의,원인,체제, 학습장애아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 학습장애아의 부적응행동, ...
브레인스토밍의 정의, 브레인스토밍의 필요성, 브레인스토밍 원리, 브레인스토밍 절차, 브레...
[소리바다사건][소송일지][저작권법][소리바다사건의 해결]소리바다사건의 요지, 소리바다사...
[여론조사]여론조사의 의미, 여론조사의 유형, 여론조사의 의의, 여론조사의 접근방법, 여론...
[러시아노동, 환경, 정치성, 공동체의식]러시아노동의 환경, 러시아노동의 정치성, 러시아노...
[통일 후 북한토지소유권][통일][북한토지소유권][북한]통일 후 북한토지소유권의 통일토지기...
[국제정치와한국] 비교정치론의 역사적 관점 - 그리스의 철학과 과학(플라톤의 국가와 사회, ...
[영유아교수방법] 영유아보육프로그램 중 프로젝트접근법,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발도르프교...
인간과심리) 심리학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에 ...
[소규모 학교 통폐합] 소규모 학교 통폐합의 장단점 분석 ; 소규모 학교 통폐합의 관점과 찬반론
[사회보장론] 소득재분배정책으로서의 선별주의 복지인 공공부조와 보편주의 복지인 사회보험...
가족상담및치료_다양한 가족문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한 후 가족 상담 및 치료의 관점으로 사례...
[심리학 접근방법] 현대심리학의 접근법(신경생물학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지적 접근 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