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방법
4. 결과
5. 고찰
2. 이론
3. 실험방법
4. 결과
5. 고찰
본문내용
0
0.7
2.1
6
4.3
0.69
2.967
12
7.7
0.66
5.082
거리가 50cm 일 때
저항(Ω)
전압(V)
전류(A)
전력(P)
2.4
1.5
0.57
0.855
3
1.9
0.57
1.083
4
2.5
0.57
1.425
6
3.7
0.57
2.109
12
6.6
0.57
3.762
2) Hot spot 발생 시 출력변화
30cm 일 때
저항
전압(V)
전류(A)
전력(P)
2.4
2.4
0.96
2.304
3
3.0
0.95
2.85
4
4.0
0.94
3.76
6
5.7
0.91
5.187
12
8.9
0.77
6.853
50cm 일 때
저항
전압(V)
전류(A)
전력(P)
2.4
1.8
0.72
1.296
3
2.3
0.71
1.633
4
3.1
0.71
2.201
6
4.4
0.71
3.124
12
7.9
0.68
5.372
고찰
결과값을 보면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압이 더 높게 측정되었고 동시에 전력도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태양전지의 각도가 42도일 때 보다 90도 즉 hot spot이 발생하는 점에서 더 전압이 더 높게 측정 되었다. 이 두 개의 실험 자료를 통해, 태양전지의 전력은 태양광의 거리에 반비례하며, 각도가 90도로 전부 태양광을 받아들일 때 높게 측정된걸 유추 할 수 있다. 그래서 보통 가정집들에 태양전지를 설치한 곳은 옥상이었고, 평평하고 하늘과 직각으로 설치된걸 종종 볼 수 있다. 태양전지에서 저항에 따라 전압이 변화, 즉 전압이 저항에 비례하는 모습이였지만, 전류는 저항이 변해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전력 생산은 전압에 따라 양이 결정된다 해도 봐도 될 것 같다.
전압이 저항에 완전이 비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런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를 실험과정중에 많이 찾을 수 있었다.
일단 태양전지가 정확히 각도가 일치 하지 않았다. 특히 hot spot이 발생해야하는 90도는 장치적 결함인지 비록 미세한 차이였지만 89.5차이였다.
(제각각의 각도인 램프)
그리고 램프가 모두 제각각 태양광을 쏘는 각도가 다르고, 어떤 건 빛의 강하고 약한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램프 모두가 태양전지가 90도일 때 평행하지 않았다. 램프의 위치가 태양전지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태양전지가 태양광을 일정하게 골고루 똑같이 받지 못했다.
태양전지는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해서 연료가 불필요하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이 없다. 발전부위가 반도체 소자이고 그 제어부가 전자 부품이어서 그런지, 진동이나 소음이 전혀 없었다. 이번에 처음 봤지만 태양에너지가 정말 미래 친환경적인 좋은 에너지가 될거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태양전지가 조교님께 정말 비싸다고 들었다. 그래서 사용전력에 비해 발전단가가 높을거란 생각이 든다. 또한 일사량에 따른 발전량 편차가 심하므로 일정한 전력을 얻어내기 어려울 것 같다. 그렇지만 비용적인 부분, 그리고 적은 태양광에너지로도 많은 전력을 발전시킬 수 있게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 차세대 최고 에너지 발전기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0.7
2.1
6
4.3
0.69
2.967
12
7.7
0.66
5.082
거리가 50cm 일 때
저항(Ω)
전압(V)
전류(A)
전력(P)
2.4
1.5
0.57
0.855
3
1.9
0.57
1.083
4
2.5
0.57
1.425
6
3.7
0.57
2.109
12
6.6
0.57
3.762
2) Hot spot 발생 시 출력변화
30cm 일 때
저항
전압(V)
전류(A)
전력(P)
2.4
2.4
0.96
2.304
3
3.0
0.95
2.85
4
4.0
0.94
3.76
6
5.7
0.91
5.187
12
8.9
0.77
6.853
50cm 일 때
저항
전압(V)
전류(A)
전력(P)
2.4
1.8
0.72
1.296
3
2.3
0.71
1.633
4
3.1
0.71
2.201
6
4.4
0.71
3.124
12
7.9
0.68
5.372
고찰
결과값을 보면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압이 더 높게 측정되었고 동시에 전력도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태양전지의 각도가 42도일 때 보다 90도 즉 hot spot이 발생하는 점에서 더 전압이 더 높게 측정 되었다. 이 두 개의 실험 자료를 통해, 태양전지의 전력은 태양광의 거리에 반비례하며, 각도가 90도로 전부 태양광을 받아들일 때 높게 측정된걸 유추 할 수 있다. 그래서 보통 가정집들에 태양전지를 설치한 곳은 옥상이었고, 평평하고 하늘과 직각으로 설치된걸 종종 볼 수 있다. 태양전지에서 저항에 따라 전압이 변화, 즉 전압이 저항에 비례하는 모습이였지만, 전류는 저항이 변해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전력 생산은 전압에 따라 양이 결정된다 해도 봐도 될 것 같다.
전압이 저항에 완전이 비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런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를 실험과정중에 많이 찾을 수 있었다.
일단 태양전지가 정확히 각도가 일치 하지 않았다. 특히 hot spot이 발생해야하는 90도는 장치적 결함인지 비록 미세한 차이였지만 89.5차이였다.
(제각각의 각도인 램프)
그리고 램프가 모두 제각각 태양광을 쏘는 각도가 다르고, 어떤 건 빛의 강하고 약한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램프 모두가 태양전지가 90도일 때 평행하지 않았다. 램프의 위치가 태양전지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태양전지가 태양광을 일정하게 골고루 똑같이 받지 못했다.
태양전지는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해서 연료가 불필요하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이 없다. 발전부위가 반도체 소자이고 그 제어부가 전자 부품이어서 그런지, 진동이나 소음이 전혀 없었다. 이번에 처음 봤지만 태양에너지가 정말 미래 친환경적인 좋은 에너지가 될거란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태양전지가 조교님께 정말 비싸다고 들었다. 그래서 사용전력에 비해 발전단가가 높을거란 생각이 든다. 또한 일사량에 따른 발전량 편차가 심하므로 일정한 전력을 얻어내기 어려울 것 같다. 그렇지만 비용적인 부분, 그리고 적은 태양광에너지로도 많은 전력을 발전시킬 수 있게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 차세대 최고 에너지 발전기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추천자료
차세대 대체 에너지인 태양 에너지의 이용
빛의 속도(광속)측정 방법과 지구-태양-달의 크기,거리 측정방법
연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 및 원리와 이 기술의 향후 전망에 대하여
창의 공학설계 리포트 - 태양전지를 이용한 MP3충전기 만들기
[원자력발전][원자력사례][미국][루마니아][러시아][한국][원자력에너지]원자력발전의 기본원...
[발전][전기발전][수력발전][원자력발전][열병합발전][지열발전]발전(전기발전)의 원리와 수...
[친환경자동차]친환경자동차(Green Car)의 이해, 친환경(하이브리드, 수소연료전지, 태양광)...
아낌없이 주는 태양 - 지속 가능에너지
동기발전기 사전보고서 (3상 동기 발전기 유기 전압의 포화 곡선, 동기 발전기의 부하 특성, ...
6)과학-3. 계절의 변화 - 태양의 고도에 따른 그림자 길이변화와 온도변화의 관계(세안)
전기에너지 - 태양,풍력,전기설비
[인간과 지구환경] 대한민국과 외국의 지역에너지 사례소개 및 에너지 정책문제점 분석 [태양...
신소재 공학 - 태양전지의 원리 및 이용
창의 공학 설계 - 태양열 자동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