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편에도 문맥이 있는가
1.서론
2.과거의 시편 해석
3.시편 해석에서의 변화들
4.문맥을 따라 각시편 해석하기
5.문맥 속에서의 시편 연구를 기대하며
6.이 글의 논지와 정보
예배와 시편
1.서론
2.시편
3.시편의 문학적 유형
4.공중 예배 때의 시편
5.개인 예배 때의 시편
6.신앙 인물들의 시편 사용
7.정보
1.서론
2.과거의 시편 해석
3.시편 해석에서의 변화들
4.문맥을 따라 각시편 해석하기
5.문맥 속에서의 시편 연구를 기대하며
6.이 글의 논지와 정보
예배와 시편
1.서론
2.시편
3.시편의 문학적 유형
4.공중 예배 때의 시편
5.개인 예배 때의 시편
6.신앙 인물들의 시편 사용
7.정보
본문내용
더불어 시편의 해석은 각 시편과 주위의 시편들과 시편전체의 문맥 그리고 구약 전체와 성경 전체의 문맥도 고려해 해석해야 온전한 해석과 설교로 이어질 수 있다.
6.이 글의 논지와 정보
이 글의 논지를 개인적으로 얘기하자면, 이 글은 시편해석에 대해 문맥 속에서 시편 연구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시편 해석에 대한 다양한 방법과 현대적, 전통적인 방법이 있는 방면에 이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닌 보완 하는 것으로 시편에서의 공통적인 부분들 중에 특히 문맥상으로 이어지는 이야기적인 흐름을 찾아내고 그 의미를 이해할 때 진짜 시편의 모습과 시편의 의도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방법들과 공통적인 부분과 그룹화하여 그들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야기로 풀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명-김성수
학술지명-목회와 신학
권호사항-vol-no.189
수록면-184-190
연도-2005
예배와 시편
1.서론
지난 1986년 4월에 나온 미국 프린스톤 신학교 학보에 마침 예배에 대한 특집이 나와 있다. 그의 예배의식에대해 세가지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나는 에배의식에 대한 우파이다. 의식문 예배문으로 진행하는 편이다. 또한 보편적인 경향이 있고, 중간파의 경향이 있다.
2.시편
150개의 시편으로 다섯권으로 되어 있고 종교시로서 시인,성전 가수등 예배의식에서 사용된다.공동 에배와 개인 예배에서 만들어지기도 하고 사용되기도 했다
3.시편의 문학적 유형
성서학자들 중 특별히 양식사적인 비평학자들이 문학적 유형으로 나누었다. 독일의 궁켈등이 시편의 문학적 유형을 나눴는데 7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1)H-찬양시
H-Hymns 찬양시로 대게 할렐루야로 시작하고 할렐루야로 마치는 시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시들이다.
H(M)-유일신적 찬양시 또는 대관시로 하나님이 통치하시니 라는 말이 나온다.
H(Z)-시온의 노래로 시온은 하나님을 모시고 있는 예배 성소이다.
H(P)-순례의 노래로 나라를 잃고 유랑하는 이스라엘 민족이 다시 예루살렘으로 올 때 순례자의 심정으로 예루살렘에 들어가는 노래이다.
2)L-탄원시
L(C)-공동 탄원시로 탄식, 탄원자의 주체가 우리 또는 민족공동체이다.
L(I)-개인 탄원시로 탄식, 탄원의 주체가 개인 나이다.
3)C-신뢰의 시 CC-공동 신뢰시 CI-개인 신뢰시
4)감사시 T(C)-공동 감사시 T(I)-개인 감사시
5)R-제왕시로 전쟁이나 결혼식등 그것을 위해 찬양하는 시를 말한다.
6)WD-지혜와 교훈시로 두 가지 반대 되는 것을 대비시켜 말하는 것이다.
4.공중 예배 때의 시편
1)성전 순례자의 노래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특별 절기 때 고향 땅으로 돌어와서 성전을 향해 가면서 부른 것이다. 감사시이자 탄원시 이고 찬양시도 된다.
2)성전 안으로 행진 하는 노래 예루살렘 성전 앞에 와서 예배 처소 안으로 들어가면서 부르는 찬송이다.
3)그외에 축제 때의 찬송, 자연 송가, 승리의 찬송, 신앙 찬송, 제왕시가 있다.
5.개인 예배 때의 시편
1)감사찬송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 찬송을 활용할수 있다.
2)무죄항변과 탄원의 노래는 인권 유린, 그 밖의 강자 때문에 약자의 피해 등으로 인한 자신의 무죄탄원 등의 노래다.
3)질병고통에서 탄원하는 노래로 시편 6편은 병이나 어려움을 당하면 자신의 죄를 돌아보고 회개하면서 도와달라고 호소하는 것을 말한다.
4)성전 밖에서 개인 예배의 찬송
6.신앙 인물들의 시편 사용
어거스틴, 테오도시우스,암부로스 감독,칼빈,위샤트,마르틴 루터,요한 웨슬레, 김정준등이 시편을 사용하였다.
7.정보
저자명-김찬국
학술지명-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권호사항-vol-no.6
수록면-229-243p
발행연도-1986년
6.이 글의 논지와 정보
이 글의 논지를 개인적으로 얘기하자면, 이 글은 시편해석에 대해 문맥 속에서 시편 연구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시편 해석에 대한 다양한 방법과 현대적, 전통적인 방법이 있는 방면에 이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닌 보완 하는 것으로 시편에서의 공통적인 부분들 중에 특히 문맥상으로 이어지는 이야기적인 흐름을 찾아내고 그 의미를 이해할 때 진짜 시편의 모습과 시편의 의도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방법들과 공통적인 부분과 그룹화하여 그들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야기로 풀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명-김성수
학술지명-목회와 신학
권호사항-vol-no.189
수록면-184-190
연도-2005
예배와 시편
1.서론
지난 1986년 4월에 나온 미국 프린스톤 신학교 학보에 마침 예배에 대한 특집이 나와 있다. 그의 예배의식에대해 세가지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나는 에배의식에 대한 우파이다. 의식문 예배문으로 진행하는 편이다. 또한 보편적인 경향이 있고, 중간파의 경향이 있다.
2.시편
150개의 시편으로 다섯권으로 되어 있고 종교시로서 시인,성전 가수등 예배의식에서 사용된다.공동 에배와 개인 예배에서 만들어지기도 하고 사용되기도 했다
3.시편의 문학적 유형
성서학자들 중 특별히 양식사적인 비평학자들이 문학적 유형으로 나누었다. 독일의 궁켈등이 시편의 문학적 유형을 나눴는데 7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1)H-찬양시
H-Hymns 찬양시로 대게 할렐루야로 시작하고 할렐루야로 마치는 시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시들이다.
H(M)-유일신적 찬양시 또는 대관시로 하나님이 통치하시니 라는 말이 나온다.
H(Z)-시온의 노래로 시온은 하나님을 모시고 있는 예배 성소이다.
H(P)-순례의 노래로 나라를 잃고 유랑하는 이스라엘 민족이 다시 예루살렘으로 올 때 순례자의 심정으로 예루살렘에 들어가는 노래이다.
2)L-탄원시
L(C)-공동 탄원시로 탄식, 탄원자의 주체가 우리 또는 민족공동체이다.
L(I)-개인 탄원시로 탄식, 탄원의 주체가 개인 나이다.
3)C-신뢰의 시 CC-공동 신뢰시 CI-개인 신뢰시
4)감사시 T(C)-공동 감사시 T(I)-개인 감사시
5)R-제왕시로 전쟁이나 결혼식등 그것을 위해 찬양하는 시를 말한다.
6)WD-지혜와 교훈시로 두 가지 반대 되는 것을 대비시켜 말하는 것이다.
4.공중 예배 때의 시편
1)성전 순례자의 노래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특별 절기 때 고향 땅으로 돌어와서 성전을 향해 가면서 부른 것이다. 감사시이자 탄원시 이고 찬양시도 된다.
2)성전 안으로 행진 하는 노래 예루살렘 성전 앞에 와서 예배 처소 안으로 들어가면서 부르는 찬송이다.
3)그외에 축제 때의 찬송, 자연 송가, 승리의 찬송, 신앙 찬송, 제왕시가 있다.
5.개인 예배 때의 시편
1)감사찬송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 찬송을 활용할수 있다.
2)무죄항변과 탄원의 노래는 인권 유린, 그 밖의 강자 때문에 약자의 피해 등으로 인한 자신의 무죄탄원 등의 노래다.
3)질병고통에서 탄원하는 노래로 시편 6편은 병이나 어려움을 당하면 자신의 죄를 돌아보고 회개하면서 도와달라고 호소하는 것을 말한다.
4)성전 밖에서 개인 예배의 찬송
6.신앙 인물들의 시편 사용
어거스틴, 테오도시우스,암부로스 감독,칼빈,위샤트,마르틴 루터,요한 웨슬레, 김정준등이 시편을 사용하였다.
7.정보
저자명-김찬국
학술지명-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권호사항-vol-no.6
수록면-229-243p
발행연도-1986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