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공기업과 공공기관에게 있어서의 마케팅 필요성
2.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할 수 있는 마케팅 방안-① 마케팅의 본질은 제품
3.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할 수 있는 마케팅 방안- ②마케팅은 인식의 싸움이다.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공기업과 공공기관에게 있어서의 마케팅 필요성
2.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할 수 있는 마케팅 방안-① 마케팅의 본질은 제품
3.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할 수 있는 마케팅 방안- ②마케팅은 인식의 싸움이다.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식을 높인다고 해서 재정적 이윤이 창출된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국민에게 제대로 홍보가 됨으로써 우선은 다른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고, 또 살아남았음에 대한 정당성이 부여되며 결과적으로는 공기업 자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자꾸만 재정지원을 줄이려고 하는 정부에게도 재정지원을 요구할 수 있는 당위성을 부여해주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사기업과 같은 효과가 아니더라도 마케팅적 효과는 낼 수 있음이 분명하다.
결론
사실 공기업 및 공공기관은 규제 속에 있기 때문에 사기업과 같은 마케팅 전략을 취하기 어렵기도 하다. 그러나 문제는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 가지고 있는 마케팅에 대한 안일함이며 무엇보다 아직까지 국민을 고객으로 인식하지 않는 데에 있다. 우정사업본부가 품질과 인식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첫째,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했기 때문이고, 둘째, 국민을 고객으로 여기고 아예 마케팅팀을 운영했기 때문이다. 관광공사들이 지지부진인 이유는 비관광전문가들로 가득 찬 ‘관광기업’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재정이 부족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비관광전문가들로 인해 본인들도 인지하지 못하는 질 낮은 관광서비스를 내놓기 때문이다. 대전마케팅공사는 훌륭한 제품을 가지고도 홍보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부산경찰이나 고양시는 특별한 업적이 없더라도 단순 SNS 홍보만으로 충분히 공공기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국민이라는 고객을 확보하였다. 이 같은 전략이 대전마케팅공사에게 필요한 것이다.
또한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 제대로 된 마케팅 전략을 취하기 위해서는 공무원들의 공기업 및 공공기관 마케팅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여전히 공무원들은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마케팅 필요성에 대해 모르고 있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공기업과 공공기관에 마케팅 인력을 충원시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마케팅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무원의 인식제고도 필요하다. 그렇게 해야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사장 선정에 있어서 마케팅 전문가,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을 뽑게 하고 공기업 및 공공기관에 마케팅 교육을 실시하게 만들 수 있다.
참고문헌
송무호, 공기업 고객만족을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정보학회, <창업정보학회지> 7권3호 (2004), pp.45-66
김영신, 허원제, 지방공기업 남설과 부실화-지자체 재정지원과 중앙정부 교부세를 중심으로
결론
사실 공기업 및 공공기관은 규제 속에 있기 때문에 사기업과 같은 마케팅 전략을 취하기 어렵기도 하다. 그러나 문제는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 가지고 있는 마케팅에 대한 안일함이며 무엇보다 아직까지 국민을 고객으로 인식하지 않는 데에 있다. 우정사업본부가 품질과 인식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첫째,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했기 때문이고, 둘째, 국민을 고객으로 여기고 아예 마케팅팀을 운영했기 때문이다. 관광공사들이 지지부진인 이유는 비관광전문가들로 가득 찬 ‘관광기업’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재정이 부족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비관광전문가들로 인해 본인들도 인지하지 못하는 질 낮은 관광서비스를 내놓기 때문이다. 대전마케팅공사는 훌륭한 제품을 가지고도 홍보를 하지 못하고 있다. 부산경찰이나 고양시는 특별한 업적이 없더라도 단순 SNS 홍보만으로 충분히 공공기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줌으로써 국민이라는 고객을 확보하였다. 이 같은 전략이 대전마케팅공사에게 필요한 것이다.
또한 공기업 및 공공기관이 제대로 된 마케팅 전략을 취하기 위해서는 공무원들의 공기업 및 공공기관 마케팅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여전히 공무원들은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마케팅 필요성에 대해 모르고 있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공기업과 공공기관에 마케팅 인력을 충원시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마케팅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무원의 인식제고도 필요하다. 그렇게 해야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사장 선정에 있어서 마케팅 전문가,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을 뽑게 하고 공기업 및 공공기관에 마케팅 교육을 실시하게 만들 수 있다.
참고문헌
송무호, 공기업 고객만족을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정보학회, <창업정보학회지> 7권3호 (2004), pp.45-66
김영신, 허원제, 지방공기업 남설과 부실화-지자체 재정지원과 중앙정부 교부세를 중심으로
추천자료
지방공기업 운영 효율화 방안
공기업 민영화의 문제점과 발전방안(A+자료)
공기업 팀제에 관한 연구 - 한국전력공사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를 중심으로
공기업의 민영화 현황과 외국 공기업 민영화사례를 통한 경제사적 교훈
공기업의 이론적 고찰
공기업 효율화 방안
공기업 민영화 반대 사유
공기업 법률[1] PPT자료
공기업 한국관광공사 기업분석,한국관광공사재무관리,한국관광공사경영평가와감독,공기업분석...
공기업민영화,공기업민영화사례,민영화사례,인천공항민영화,인청공항민영화논란,민영화논란
공기업분석,국민연금공단분석,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공무원연금공단,연금공단분석
공기업에 대한 사회의 인식.PPT자료
공기업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