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쿠슐라라는 아이
2. 본론 (1) 쿠슐라의 부모
3. 본론 (2) 독서의 힘
4.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1) 쿠슐라의 부모
3. 본론 (2) 독서의 힘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유로 책읽기에 온 정성을 쏟은 것이다. 그러한 쿠슐라의 부모의 노력은 아주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연구 논문임에도 불구하고 쿠슐라가 정상적인 생활을 하게 되었다는 결론에 기분이 좋아졌다.
쿠슐라가 장애인이기에 이러한 부모의 노력이 필요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정상적인 아이더라도 세상과의 단절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으며, 그림책은 분명 아주 어린 아이들에게 보다 넓은 세계를 알려주고, 보다 상상력을 뛰어나게 만들어주며,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만들어주는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책은 정말이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좋은 도구이며 독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옮긴이는 요즘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으면 머리가 좋아진다거나,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등으로 수치에만 관심을 가지고 지식만을 배우게 하는 데에 힘 쏟는 현실에 대해서 일침을 가하고 있다. “지능보다 아이의 삶을 어떻게 풍요롭게 해 줄 것인가 생각해야 한다.”는 그의 말에 나도 동의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아이에게 책을 읽도록 하게 하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겠지만, 거기에 아이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그런 사랑을 담았으면 한다.
그밖에 이 책에서 알려주고 있는 그림책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은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에게 좋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그림책을 펴내는 저자나 편집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대부분의 엄마들은 책을 읽어주고, 아이가 잘 읽는 책, 내용이 좋은 책, 정도로 모호한 판단을 내릴 뿐 어떻게 좋은지,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해서는 간과하기 쉽기 때문이다. 아이가 좋아하는 책을 읽어주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나서의 반응까지, 어떤 점에서 좋았는지에 대한 것을 아는 것은 보다 더 중요한 일인 듯하다. 그것이 바로 부모와 아이와의 상호작용이기 때문이고, 오늘날과 같이 소통이 부족한 시대에는 더더욱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기 때문이다.
책을 읽기 전 쿠슐라가 어떤 아이인지 알지 못했다. 표지의 책을 안고 밝은 표정을 짓고 있는 사진을 보며, 장애아일거라고는 상상도 못하였다. 다 읽고 난 지금 그 사진을 보니, 쿠슐라의 부모의 희생과 사랑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표지의 쿠슐라의 밝은 표정을 보면서 그들이 얼마나 행복했을지를 상상하며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쿠슐라와 그림책 이야기 원제 Cushla and her books 도로시 버틀러 저 김중철 역 보림 2003.03.25.
쿠슐라가 장애인이기에 이러한 부모의 노력이 필요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정상적인 아이더라도 세상과의 단절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으며, 그림책은 분명 아주 어린 아이들에게 보다 넓은 세계를 알려주고, 보다 상상력을 뛰어나게 만들어주며,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만들어주는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책은 정말이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좋은 도구이며 독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옮긴이는 요즘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으면 머리가 좋아진다거나,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등으로 수치에만 관심을 가지고 지식만을 배우게 하는 데에 힘 쏟는 현실에 대해서 일침을 가하고 있다. “지능보다 아이의 삶을 어떻게 풍요롭게 해 줄 것인가 생각해야 한다.”는 그의 말에 나도 동의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아이에게 책을 읽도록 하게 하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겠지만, 거기에 아이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그런 사랑을 담았으면 한다.
그밖에 이 책에서 알려주고 있는 그림책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은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에게 좋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그림책을 펴내는 저자나 편집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대부분의 엄마들은 책을 읽어주고, 아이가 잘 읽는 책, 내용이 좋은 책, 정도로 모호한 판단을 내릴 뿐 어떻게 좋은지,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해서는 간과하기 쉽기 때문이다. 아이가 좋아하는 책을 읽어주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나서의 반응까지, 어떤 점에서 좋았는지에 대한 것을 아는 것은 보다 더 중요한 일인 듯하다. 그것이 바로 부모와 아이와의 상호작용이기 때문이고, 오늘날과 같이 소통이 부족한 시대에는 더더욱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기 때문이다.
책을 읽기 전 쿠슐라가 어떤 아이인지 알지 못했다. 표지의 책을 안고 밝은 표정을 짓고 있는 사진을 보며, 장애아일거라고는 상상도 못하였다. 다 읽고 난 지금 그 사진을 보니, 쿠슐라의 부모의 희생과 사랑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표지의 쿠슐라의 밝은 표정을 보면서 그들이 얼마나 행복했을지를 상상하며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쿠슐라와 그림책 이야기 원제 Cushla and her books 도로시 버틀러 저 김중철 역 보림 2003.03.25.
키워드
추천자료
유아문학의 정의와 교육적 가치를 설명하시고, 연령별로 독서지도를 위한 책의 특성과 그에 ...
유아문학의 정의와 교육적 가치를 설명하시고, 연령별로 독서지도를 위한 책의 특성과 그에 ...
만4세) (아동음악과 동작) <모의수업계획안> 음악듣고 감정이야기하기, 그림표현하기 - 생활...
아동 문학작품 감상 및 책읽기 지도
아동의 연령별 언어 발달 특성에 따라 적합한 책의 특성을 기술하고, 언어발달과 문학 경험...
아동의 연령별 언어발달 특성에 따라 적합한 책의 특성을 기술하고 언어발달과 문학 경험과의...
문학을 통한 아동수학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수학교육을 위한 이야기책의 활용법에 대해 토론...
읽기지도방법 중 (책옹알이, 그림으로 발현적 읽기 시작하기, 이야기 재현하기, 짝지어 읽...
[문학과 아동수학교육] 문학을 통한 아동수학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수학교육을 위한 이야기책...
아동미술활동관련 동화책목록(아동미술, 그림동화책, 동화책모음, 동화책소개)
[애착장애 진단의 평가] 낯선상황절차(SPP, 낯선상황실험), 성인애착면접(AAI), 놀이를 통한 ...
[아동문학의 가치] 아동문학의 정의에 대해 기술하고 유아기에 좋은 문학을 경험했을 때의 가...
영유아와 교사의 이야기를 주제로 한 도서를 읽고 A4 반 페이지 정도의 짧은 스토리 정리와 ...
[문학과 인간탐구] 아동 문학에 나타난 인간상 분석 - 권대웅 글『마리 이야기』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