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tomach(위)
2. Enteral nutrition(경장영양)
3. Gastrostomy(위루술)
4. 위루술 대상자 간호
참고문헌
2. Enteral nutrition(경장영양)
3. Gastrostomy(위루술)
4. 위루술 대상자 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
간호진단 : 기도흡인 위험성
간호중재
환자에게 똑바로 앉거나 침상머리 부분은 30℃ 이상 올리도록 한다.
급식하는 동안 복부경련, 설사, 오심, 구토, 흡인, 발한, 불안 등 부적응 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부드럽게 흡인하여 위 내용물의 pH를 측
정한다.
매번 급식을 하기 전 또는 4~8시간마다 위의 내용물을 흡인하여 위의 잔여량을 측정한다.
주입세트의 튜브를 급식관에 연결시키고 펌프를 틀거나 튜브의 조절기를 풀어 급식을 시작
하는데 이때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복통이 발생하면 주입 속도를 줄이며, 지속적인 복통이 있으면 급식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투여시간과 급식의 양, 투여된 물의 양과 잔여량, 급식에 대한 반응 등을 기록한다.
간호진단 :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중재
피부의 긴장도, 활력징후, 섭취량과 배설량, 점막의 습도, 의식상태, 발열 및 지남력 등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환자의 전해질과 혈액요소 질소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검사하며 매일 체중도 측정한다.
간호진단 : 변비
간호중재
변비의 원인이 탈수이면 환자의 수분상태를 사정하고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능한 많이 걷도록 격려한다.
장음을 사정하여 감소하거나 소실된 경우에는 의사에게 알린다.
변비가 계속된다면 완화제를 처방하거나 섬유소가 풍부한 formula를 준다.
간호진단 : 설사
간호중재
설사로 인한 피부손상을 막기 위해 피부를 깨끗이 씻고 건조시키며 피부 보호제를 바른다.
설사가 지속되면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간호진단 : 지식부족(치료식이)
간호중재
환자와 가족에게 급식물의 적절한 보관방법과 주입 기구에 대한 관리, 튜브의 개방성을 유지하는 법,
관찰해야 할 합병증과 의사에게 연락할 시기 등에 대해 교육한다.
환자의 정신적 측면을 위해 씹는 것이 중요하다면 고형 음식을 씹도록 하며 씹은 내용물은 뱉어내야한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 7명(2014), 일곱번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412~413
송경애 외 11명(2014),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p356~359
김희경 외 9명(2011), 다섯째 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p306~307
조경숙 외 9명(2013),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346~350
간호진단 : 기도흡인 위험성
간호중재
환자에게 똑바로 앉거나 침상머리 부분은 30℃ 이상 올리도록 한다.
급식하는 동안 복부경련, 설사, 오심, 구토, 흡인, 발한, 불안 등 부적응 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부드럽게 흡인하여 위 내용물의 pH를 측
정한다.
매번 급식을 하기 전 또는 4~8시간마다 위의 내용물을 흡인하여 위의 잔여량을 측정한다.
주입세트의 튜브를 급식관에 연결시키고 펌프를 틀거나 튜브의 조절기를 풀어 급식을 시작
하는데 이때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복통이 발생하면 주입 속도를 줄이며, 지속적인 복통이 있으면 급식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투여시간과 급식의 양, 투여된 물의 양과 잔여량, 급식에 대한 반응 등을 기록한다.
간호진단 :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중재
피부의 긴장도, 활력징후, 섭취량과 배설량, 점막의 습도, 의식상태, 발열 및 지남력 등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환자의 전해질과 혈액요소 질소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검사하며 매일 체중도 측정한다.
간호진단 : 변비
간호중재
변비의 원인이 탈수이면 환자의 수분상태를 사정하고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능한 많이 걷도록 격려한다.
장음을 사정하여 감소하거나 소실된 경우에는 의사에게 알린다.
변비가 계속된다면 완화제를 처방하거나 섬유소가 풍부한 formula를 준다.
간호진단 : 설사
간호중재
설사로 인한 피부손상을 막기 위해 피부를 깨끗이 씻고 건조시키며 피부 보호제를 바른다.
설사가 지속되면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간호진단 : 지식부족(치료식이)
간호중재
환자와 가족에게 급식물의 적절한 보관방법과 주입 기구에 대한 관리, 튜브의 개방성을 유지하는 법,
관찰해야 할 합병증과 의사에게 연락할 시기 등에 대해 교육한다.
환자의 정신적 측면을 위해 씹는 것이 중요하다면 고형 음식을 씹도록 하며 씹은 내용물은 뱉어내야한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 7명(2014), 일곱번째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412~413
송경애 외 11명(2014),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p356~359
김희경 외 9명(2011), 다섯째 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p306~307
조경숙 외 9명(2013),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346~35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