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탈출증(척추간판탈출증) Herniated cervical disc 케이스 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추간판탈출증(척추간판탈출증) Herniated cervical disc 케이스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본문내용


<장기목표>
입원기간동안 대상자는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 12/10까지 대상자는 V/S을 정상 범위로 유지한다.
② 12/10까지 대상자는 WBC를 정상 범위로 유지한다.
③ 대상자는 배액관 주변의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① 6회/일 V/S을 측정한다.
② 6회/일 배액관 주변 감염 여부를 사정한다(발적 부종 작열감 등).
③ 1회/일 혈액검사를 통해 WBC 수치를 비교하여 f/u 한다.
④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⑤ 발열 시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⑥ 발열 시 적절한 간호를 수행한다.
⑦ 배액관 교환 시 철저한 무균법을 적용한다.
1. V/S은 대상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지표이다.
3. WBC 수치: 감염 연관, 혈액 질환이 있는 경우/면역과 관련
6. 린넨은 정리하여 벗도록 한다.
얼음백을 이용하여 양쪽 액와에 20분간 냉찜질을 실시한다.
액와에 큰 혈관이
교통하므로 냉찜질
적용 시 체온 변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손수건을 적셔 대상자의 몸을 닦도록 한다.
미지근한 물 이용하여 지나친 체온 감소를 예방한다.
활동을 제한하고 필요 시 산소를 제공한다. 수분섭취 증가를 격려시킨다.
① 6회/일 V/S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op. 이후
BP BT PR RR
대개 정상범위 유지
12/6~7 간헐적인
체온 증가 보였다.
(37.4 이상 2번)
② 6회/일 배액관 주변 감염 여부를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op. 후 몸이 부은 느낌을 호소하나 피부를 비롯하여 배액관에는 이상이 없었다.
③ 1회/일 혈액검사를 통해 WBC 수치를 비교하여 f/u 하였다.
12/7: 12.77
12/8: 11.40
감염의 징후에 대한 신중한 관찰이 필요하다.
④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bearcef 1T bid. po. 투여
⑤ 발열 시 해열제는 처방되지 않았다.
⑥ 발열 시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였다.
보호자에게 교육
린넨은 정리하여 벗도록한다.
얼음백을 이용하여 양쪽 액와에 20분간 냉찜질을 실시한다.
손수건을 적셔 대상자의 몸을 닦도록 한다.
(미지근한 물 이용)
⑦ 배액관 교환 시 철저한 무균법을 적용하였다.
손씻기
poly glove 사용
대상자와 무균적인 거리 유지
① 대상자는 V/S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지 못하였다.
12/6~7 간헐적인
체온 증가 보였다.
(37.4 이상 2번)
12/8 PR 115,
BT 37.5
불필요한 린넨 제거와
냉찜질 40분 후 BT
36.8로 감소
② 대상자는 WBC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지 못하였다.
12/7: 12.77
12/8: 11.40
③ 대상자는 배액관 주변의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배액관은 무균적으로 관리되었으며 배액관 주변의 피부에서 woozing, edema는 관찰되지 않았다.
#2. 침상 안정과 관련된 피부 손상의 위험성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① 2015-12-06
Arthrodesis of
spine-cervical ant. spine others op. 시행 후 침상 안정 중
② mental alert
지남력 intact
③ 근력: 4
④ 보호자 동반 시
ambulation 가능
(지지하여 앉기,
휠체어 타기 등)
⑤ 2015-12-06~7
NPO 유지
<장기목표>
대상자의 피부는 손상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근육의 강도와 관절운동범위를 유지한다.
② 대상자는 정상적인 피부 색을 유지한다.
③ 대상자는 정상적인 피부 탄력을 유지한다.
④ 대상자는 원활한 혈액순환을 한다.
① 2시간마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③ 4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한다.
④ 2회/일 이상 수동적인 관절운동을 실시한다.
⑤ 필요에 따라 예방적 피부 간호를 제공한다.
⑥ 피부를 청결/건조하게 유지한다.
⑦ 시트를 청결/건조하게 유지한다(주름없이).
⑧ 미지근한 물과 순한 세정제로 피부를 닦는다.
⑨ 병실 내 적절한 온/습도를 유지한다.
⑩ 체위변경 시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손상/돌출부위를 공기에 노출시킨다.
① 피부시진을 통해 위험을 감소시키는 간호수행을 설계할 수 있고 결과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알 수 있다.
② 체위변경은 편하게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근육수축을 방지한다. 특정 부위의 지속적인 압박은 피부를 손상시킨다.
③ back care는 배액을 촉진시키며 욕창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④ 순환과 감각신경말단을 자극하고 관절의 기동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근육 탄력성 상실을 최소화하고 관절경축을 예방한다.
⑤ 압력을 감소시키는 기구(공기침요, 물침대, 베개, 패드 등)의 사용으로 욕창의 발생률 및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⑥ 피부를 청결히 하고 건조시켜 악취와 피부 자극을 예방한다.
⑦ 시트의 주름은 대상자를 불편하게 하는 원인이다.
⑧ 뜨거운 물과 비누는 피부를 자극시킨다.
⑨ 습도가 40%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피부는손상 위험성이 증가한다.
① 2시간마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건조하며 op. site의 미세한 woozing 관찰
②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하였다.
③ 4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였다.
tapping cupping
마사지 실시
④ 2회/일 이상 수동적인 관절운동을 실시하였다.
⑤ 필요에 따라 예방적 피부 간호를 제공하였다; 공기침요
⑥ 피부를 청결/건조하게 유지하였다.
보호자에게 교육
⑦ 시트를 청결/건조하게 유지하였다(주름없이).
back care와 동시 bed making을 실시
⑧ 미지근한 물과 순한 세정제로 피부를 닦는다.
보호자에게 교육
; 물티슈로 닦고 공기에 노출시키도록
⑨ 병실 내 적절한 온/습도를 유지한다.
병실 내 온도 ck.
⑩ 체위변경 시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손상/돌출부위를 공기에 노출시켰다.
보호자에게 교육
① 대상자는 1회/일 이상 ambulation(수동적) 실시하였으나 op. site 통증으로 오래 유지하지 못하였다.
② 대상자는 정상적인 피부 색을 유지하였다.
③ 대상자는 정상적인 피부 탄력을 유지하였다.
④ 대상자는 원활한 혈액순환을 하였다.
12/7 말단에 청색증의 징후 보이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욕창은 발생하지 않았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7.01.23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