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두통(headache)
1. 편두통(Migraine)
2. 집락성 두통(Cluster headache)
■ 뇌졸중
1. 병태생리
2. 종 류
3. 증상
4. 간호
■ 추간판 탈출증
1. 병태생리
2. 원 인
3. 간호
■ 치매(알츠하이머병)
1. 병태생리
2. 원 인
3. 간호
1. 편두통(Migraine)
2. 집락성 두통(Cluster headache)
■ 뇌졸중
1. 병태생리
2. 종 류
3. 증상
4. 간호
■ 추간판 탈출증
1. 병태생리
2. 원 인
3. 간호
■ 치매(알츠하이머병)
1. 병태생리
2. 원 인
3. 간호
본문내용
. 간호
(1) 만성적 정신혼란(Chronic confusion)
①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인지 치료의 목적은 원하지 않는 인지 기능을 감소시키고 원하는 인지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② 환경 재정비(Structuring the environment)
건강관리팀은 상호 협력하여 대상자의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환경을 어떻게 바꾸어야 할지 논의한다. 알츠하이머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간호는 과다한 자극의 예방과 환경 정돈 및 체계화이다.
③ 과다한 자극 예방
대상자가 입원하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도록 가능한 출입구로부터 멀고 조용한 방을 제공한다. 대상자가 배회하거나 초조해하면 독실을 배정한다. 텔레비전은 대상자가 요구하기 전까지 꺼두도록 한다.
소음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에는 수면장애 외에 영양섭취 감소, 혈압 및 맥박 변화, 스트레스와 불안감 증가 등이 있다. 알츠하이머 대상자는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므로 가능한 소음을 줄여야 한다. 피로는 초조, 공격적 행동, 혼동을 증가시킨다.
간호사는 대상자 방에 부착한 그림을 대상자가 자기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이나 동물로 잘못 해석하는지 사정한다. 또한 조명이 적절한지, 조명으로 인해 두려움을 느끼거나 잘못 인식할 수 있는 그림자가 있는지 사정한다.
④ 일관성 제공
간호계획은 대상자에게 일관성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수립한다. 예를 들면, 가구, 빗, 안경과 같은 물건을 항상 제자리에 둔다. 계획을 세우고 매일 그 계획에 따라 간호한다. 일과와 지남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방의 게시판에 요일, 달, 년과 같은 것을 기록해 둔다. 대상자에게 익숙한 사진을 붙여둔다.
⑤ 지남력과 타당성 치료
일상적인 일과에 변동이 생기면 일과가 시작되기 전에 즉시 반복적으로 설명한다. 발병 초기 날짜에 대한 지남력을 유지시키는 데 시계와 일일 달력(single date calendar)이 유용하다. 또 현실 오리엔테이션도 적절하다. 가족과 건강관리요원은 환경에 대해 자주 재오리엔테이션을 시킨다.
⑥ 일상생활활동에서 독립성 증진
가정에서 옷입기를 잘 할 수 있도록 입고 벗기 쉬운 옷을 제공한다. 옷은 상의, 바지, 내의, 양말을 모두 한 옷걸이에 걸어두어 대상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가능하다면 대상자를 음식 준비에 참여시키고 쇼핑이나 다른 가사일에도 참여시킨다.
샤워기나 샤워장의 손잡이, 좌변기, 식사 보조기구와 같은 보조기는 몸단장하기, 용변 보기, 옷입기 등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⑦ 배뇨, 배변 조절 능력 증진
적어도 2시간 간격으로(밤에는 덜 자주) 화장실에 가든지 혹은 변기를 사용해 배뇨와 배변을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⑧ 대면 인식 돕기(Assisting with facial recognition)
질병과정에서 얼굴 실인증(prosopagnosia)을 경험하는 대상자는 자신과 가족의 얼굴을 기억할 수 없다. 가족과 친구들의 사진에 이름을 써서 붙이도록 가족을 격려한다. 또 가족들이 대상자와 함께 과거에 즐거웠던 기억을 회상하도록 한다.
⑨ 의사소통 증진
주의가 산만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대상자에게 직접적으로 천천히 분명한 어조로 말하고, 문장은 분명하고 짧게 한다. 대상자는 한 번에 1가지 일을 하도록 하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일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하게 할 수 있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대상자는 업무를 잘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간호사는 수행에 무엇이 필요한지를 보여주고, 어떻게 하는지 대상자가 기억할 수 있도록 단서를 제공하거나 시범을 보여준다.
⑩ 약물요법
Galantamine(Reminyl), donepezil(Aricept), rivastig-mine(Exelon)과 같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억제제를 알츠하이머병의 증상 치료에 사용한다.
⑪ 보완-대체요법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거나 발병을 늦추거나 질병의 진행을 느리게 하기 위한 많은 보완 대체요법이 있으며 약물로는 비타민 E와 selegiline(항산화제), ibuprofen, estrogen, melatonin, nicotine patch가 있다.
미술, 마사지, 무용, 음악치료를 종종 사용하고 있다. 마사지는 언어적 감정 동요에 별 영향을 못 미치지만 배회, 걷기, 저항 행위 등은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2) 손상 위험성(Risk for injury)
① 불안정과 배회 대처 방안
간호사는 대상자가 항상 팔찌나 배지를 착용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어떤 곳이든 대상자가 능동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도록 계획한다. 질병 단계에 따라 적절하게 개별 혹은 집단 활동이나 레크리에이션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퍼즐, 보드 게임, 미술활동 등이 적절할 수 있다. 음악요법과 미술요법은 급성기와 장기 간호에 흔히 사용한다.
예방용 조끼, 노인용 의자와 같은 신체 억제대는 불안정과 감정 동요를 악화시키므로 사용을 자제하고 마지막 대안으로 사용한다.
② 안전 확보(Ensuring safety)
잠재적으로 위험을 줄 수 있는 모든 물건(전기장치, 독성 물질, 더운물, 칼, 바늘, 세제)을 제거하거나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가정에 대상자가 있다면 문과 창문을 단단히 잠그고 위험한 물건을 치운다. 대상자가 집 밖으로 나갈 때는 전화번호와 주소가 적힌 이름표를 꼭 착용하도록 한다.
③ 감정 동요의 최소화(Minimize agitation)
감정 동요가 나타나면 조용하고 부드럽게 말하고 긍정적인 활동으로 관심을 전환시킨다. 대상자가 격앙 상태에 있다면 안전한지 확인한 다음 나중에 다시 올 것이라고 설명한 후 방을 떠나며, 대상자의 상태를 눈으로 자주 확인할 필요가 있다.
(3) 가족 대응/간호 제공자 역할 긴장의 대안 확보: 휴식간호, 기관소개
(4) 수면 양상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일반적으로 개인위생을 행하고, 소음을 제거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등 마사지나 소량의 간식은 수면에 도움이 된다.
간호사는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치료와 투약 스케줄을 조절한다. 이상의 노력으로 잠을 자지 못하면 가벼운 항불안제제나 수면제를 처방해 준다.
(1) 만성적 정신혼란(Chronic confusion)
①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인지 치료의 목적은 원하지 않는 인지 기능을 감소시키고 원하는 인지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② 환경 재정비(Structuring the environment)
건강관리팀은 상호 협력하여 대상자의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환경을 어떻게 바꾸어야 할지 논의한다. 알츠하이머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간호는 과다한 자극의 예방과 환경 정돈 및 체계화이다.
③ 과다한 자극 예방
대상자가 입원하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도록 가능한 출입구로부터 멀고 조용한 방을 제공한다. 대상자가 배회하거나 초조해하면 독실을 배정한다. 텔레비전은 대상자가 요구하기 전까지 꺼두도록 한다.
소음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에는 수면장애 외에 영양섭취 감소, 혈압 및 맥박 변화, 스트레스와 불안감 증가 등이 있다. 알츠하이머 대상자는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므로 가능한 소음을 줄여야 한다. 피로는 초조, 공격적 행동, 혼동을 증가시킨다.
간호사는 대상자 방에 부착한 그림을 대상자가 자기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이나 동물로 잘못 해석하는지 사정한다. 또한 조명이 적절한지, 조명으로 인해 두려움을 느끼거나 잘못 인식할 수 있는 그림자가 있는지 사정한다.
④ 일관성 제공
간호계획은 대상자에게 일관성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수립한다. 예를 들면, 가구, 빗, 안경과 같은 물건을 항상 제자리에 둔다. 계획을 세우고 매일 그 계획에 따라 간호한다. 일과와 지남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방의 게시판에 요일, 달, 년과 같은 것을 기록해 둔다. 대상자에게 익숙한 사진을 붙여둔다.
⑤ 지남력과 타당성 치료
일상적인 일과에 변동이 생기면 일과가 시작되기 전에 즉시 반복적으로 설명한다. 발병 초기 날짜에 대한 지남력을 유지시키는 데 시계와 일일 달력(single date calendar)이 유용하다. 또 현실 오리엔테이션도 적절하다. 가족과 건강관리요원은 환경에 대해 자주 재오리엔테이션을 시킨다.
⑥ 일상생활활동에서 독립성 증진
가정에서 옷입기를 잘 할 수 있도록 입고 벗기 쉬운 옷을 제공한다. 옷은 상의, 바지, 내의, 양말을 모두 한 옷걸이에 걸어두어 대상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가능하다면 대상자를 음식 준비에 참여시키고 쇼핑이나 다른 가사일에도 참여시킨다.
샤워기나 샤워장의 손잡이, 좌변기, 식사 보조기구와 같은 보조기는 몸단장하기, 용변 보기, 옷입기 등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⑦ 배뇨, 배변 조절 능력 증진
적어도 2시간 간격으로(밤에는 덜 자주) 화장실에 가든지 혹은 변기를 사용해 배뇨와 배변을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⑧ 대면 인식 돕기(Assisting with facial recognition)
질병과정에서 얼굴 실인증(prosopagnosia)을 경험하는 대상자는 자신과 가족의 얼굴을 기억할 수 없다. 가족과 친구들의 사진에 이름을 써서 붙이도록 가족을 격려한다. 또 가족들이 대상자와 함께 과거에 즐거웠던 기억을 회상하도록 한다.
⑨ 의사소통 증진
주의가 산만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대상자에게 직접적으로 천천히 분명한 어조로 말하고, 문장은 분명하고 짧게 한다. 대상자는 한 번에 1가지 일을 하도록 하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일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하게 할 수 있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대상자는 업무를 잘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간호사는 수행에 무엇이 필요한지를 보여주고, 어떻게 하는지 대상자가 기억할 수 있도록 단서를 제공하거나 시범을 보여준다.
⑩ 약물요법
Galantamine(Reminyl), donepezil(Aricept), rivastig-mine(Exelon)과 같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억제제를 알츠하이머병의 증상 치료에 사용한다.
⑪ 보완-대체요법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거나 발병을 늦추거나 질병의 진행을 느리게 하기 위한 많은 보완 대체요법이 있으며 약물로는 비타민 E와 selegiline(항산화제), ibuprofen, estrogen, melatonin, nicotine patch가 있다.
미술, 마사지, 무용, 음악치료를 종종 사용하고 있다. 마사지는 언어적 감정 동요에 별 영향을 못 미치지만 배회, 걷기, 저항 행위 등은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2) 손상 위험성(Risk for injury)
① 불안정과 배회 대처 방안
간호사는 대상자가 항상 팔찌나 배지를 착용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어떤 곳이든 대상자가 능동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도록 계획한다. 질병 단계에 따라 적절하게 개별 혹은 집단 활동이나 레크리에이션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퍼즐, 보드 게임, 미술활동 등이 적절할 수 있다. 음악요법과 미술요법은 급성기와 장기 간호에 흔히 사용한다.
예방용 조끼, 노인용 의자와 같은 신체 억제대는 불안정과 감정 동요를 악화시키므로 사용을 자제하고 마지막 대안으로 사용한다.
② 안전 확보(Ensuring safety)
잠재적으로 위험을 줄 수 있는 모든 물건(전기장치, 독성 물질, 더운물, 칼, 바늘, 세제)을 제거하거나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가정에 대상자가 있다면 문과 창문을 단단히 잠그고 위험한 물건을 치운다. 대상자가 집 밖으로 나갈 때는 전화번호와 주소가 적힌 이름표를 꼭 착용하도록 한다.
③ 감정 동요의 최소화(Minimize agitation)
감정 동요가 나타나면 조용하고 부드럽게 말하고 긍정적인 활동으로 관심을 전환시킨다. 대상자가 격앙 상태에 있다면 안전한지 확인한 다음 나중에 다시 올 것이라고 설명한 후 방을 떠나며, 대상자의 상태를 눈으로 자주 확인할 필요가 있다.
(3) 가족 대응/간호 제공자 역할 긴장의 대안 확보: 휴식간호, 기관소개
(4) 수면 양상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일반적으로 개인위생을 행하고, 소음을 제거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등 마사지나 소량의 간식은 수면에 도움이 된다.
간호사는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치료와 투약 스케줄을 조절한다. 이상의 노력으로 잠을 자지 못하면 가벼운 항불안제제나 수면제를 처방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