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초조, 불안, 오한, 발열, 관절통, 눈물, 콧물, 발한,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
- 반감기 짧은 약제: codein, hydrocodone, morphine, hydromorphone
금단증상 6~12시간 발현, 24~72시간에 절정
- 반감기 긴 약제: methadone, levorphanol, hransdermal fentanyl
금단증상 24시간 이후 발현, 경한 증상
② 내성: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 제거를 위한 약제의 요구량이 증가하는 것
=> 같은 용량으로 진통기간이 짧아짐, 병의 악화를 의미
c. 용량 조절
- Opioids 는 수용체의 친화도에 따라 작용 특성이 다르므로 여러 약제를 혼합사용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부작용 발현시 다른 약제로 대체하도록
① 투여간격의 조절
- 피하로 투여하는 fentanyl 이외의 작용제들은 천정효과가 없거나 최대 추천용량이 없음
- 규칙적인 시간간격을 두고 투여하여 안정된 혈중 농도를 유지하도록
- 통증이 심한 시간대에 높은 혈중 농도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정
- 새로운 약제 시작시에는 24~48시간 동안 필요할 때만 투여하여 하루 용량 결정
- 고령, 호흡기 질환 가진 환자, 전신쇠약이 있는 환자, 간/신장 기능 부전 환자는 부작용이 심할 수 있으므로 소량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량
- 1mg morphine 투여로 1시간 진통 효과를 얻은 경우 24시간동안 24mg/day 투여
② 지속 투여량의 조절
- 투여 다음날 진통효과를 판정 -> 다음날 하루 투여량 30~50% 증량
- 투여 횟수에 제한이 없으나 사용하는 약제의 제형에 따라 경과를 관찰하도록
주사약은 15~30min, 염산 모르핀 수용액은 1시간, 좌약은 1~2시간
- 하루에 사용했던 총 임시 추가 투여량을 다음날의 정기 투여량에 추가하여 새로운 정기투여량으로 함.
ex) 기본처방량: 30mg인 환자가 1회 5mg의 추가투여를 4회 받으면...
30mg + (5mg X 4회) = 50mg=> new 정기 투여량
- 감량방법: 처음 2일간은 하루 용량의 반을 투여, 다음 2일부터 25%씩 감량
하루 30mg 이 되면 2일간 투여후 중단
③ 투여방법
- 경구투여: 가장 편하고 경제적!!!
- 직장투여: 오심, 구토가 있거나 수술 전후 금식일 경우 사용, 경구용량과 같은 용량
- 피부투여: fentanyl이 유일한 피부투여용 제제(25, 50, 75, 100mcg)
Max: 300mcg/hr. (이 이상 투여시는 경구/피하 투여방법 이용)
72hr 동안 공급, 12~18시간 동안 혈중 농도 상승, 반감기:21hr
25mcg fentanyl patch는 하루 90mg 의 PO morphine과 같다.
- 비강내 투여: butorphanol(agonist-antagonist), fentanyl(경구점막 흡수)
- 정맥주사, 피하주사: 지속적인 오심, 구토환자, 삼키기 어려운 환자, 기도흡인 우려,
복용량이 많은 경우, 빨리 용량을 증가시켜야 할 때 효과적
Onset 빠르고, duration 짧다
- 경막하주입: 다른 방법으로의 약제 주입이 어렵거나 부작용 심한 경우
전신적 통증, 양측성/중심부의 통증, 체간/하지의 통증에 효과적
약제에 보존제가 첨가되지 않은 것을 사용(보존제, 산화제가 신경독성유발)
환자에 따라 용량 차이가 심함
친수성 약제: 뇌척수액에 오래 남아 뇌쪽으로 잘 퍼지고(Morphine)
지용성 약제: 부분적 피판통증(segmental analgesia)에 유리(fentanyl, sufentanil)
경구 -> 경막외 투여시: 경구 투여량의 10%로 투여
다른 opioids 쓰는 경우 morphine 근육 주사로 바꾼 후 근육 주사량 1/10 투여
경막외 용량의 1/10 용량을 척수강 내 용량으로 함
지속적/간헐적 주입 가능(초기 용량(loading dose) 주입후 지속적 주입이 좋다)
보조제 함께 투여시 효과 증강(국소마취제는 항 침해효과 및 wind-up 현상 방지)
- 뇌실내주입: 두경부 종양에 의한 통증에 효과 크다
소량(5mg/day)으로 조절 가능하며 내성, 호흡억제가 덜 나타남, 합병증: 감염
적응증: 완신경총 장애, 복/회음부 통증, 골반통, 심한 미만성 통증
- 지속적 주입장치: 경구, 정맥내, 피하, 경막외 등의 경로로 주입 가능
필요한 진통제 용량을 빨리 측정할 수 있음
d. 부작용의 치료
- 변비: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 장폐섹, 장폐쇄 등이 있거나 음식섭취량 감소시 심화
-> 섬유성 성분섭취, 우유, 마그네슘 제공, 약물투여 (경구용은 취침전, 직장용은 아침에 투여)
- 진정: 일시적. 혼수상태까지 갈수도
계속되는 경우 용량 감소, 횟수 증량(총량은 유지, 혈중 최고농도는 감소)
다른 아편양 제제 고려, 중추신경 제극제 투여
내성이 생기며 임종 일주일 전 섬망과 함께 오며 임종 48시간 전 흔히 발생
- 구역, 구토: 아편양 제제가 원인인 경우 항구토제 투여
- 호흡억제: 호흡억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 장기간 사용시 거의 없음
갑자기 통증 소실시 진정작용과 함께 나타남
naloxone 사용은 신중히 고려 (0.4mg+NS 10cc => 0.5ml/min투여)
=> 소량씩 주어 진통작용은 유지하고 호흡억제만 반전
아급성 호흡곤란: 진정작용이 먼저 오면서 서서히 호흡수 감소, 환기장애
=> 호흡수의 감소보다는 진정되는 정도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
- 보조제: 아편양 제제의 진통작용을 강화하거나 부작용 치료, 다른 증상의 치료 위해 투여
-> 스테로이드: 기분상승, 항염작용, 항구토 작용, 식욕 촉진
뇌, 척수의 부종 감소, 신경주위 부종으로 인한 통증 감소
삶의 질은 향상되나 생명은 단축시킨다
-> 항경련제: 신경병증성 통증에 사용
(삼차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 사지절단후 신경통,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
-> 항우울제: 암성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중추성 통증, 구심로 차단성 통증
아편제제의 상승작용, 자체로서의 진통작용
작용기전: 하행성 억제로의 활성화에 의함
-> 신경이완제: 중추신경이나 고위 중추에 작용하여 근이완 효과
근연축을 동반하여 더 많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근이완제 같이 사용
- 반감기 짧은 약제: codein, hydrocodone, morphine, hydromorphone
금단증상 6~12시간 발현, 24~72시간에 절정
- 반감기 긴 약제: methadone, levorphanol, hransdermal fentanyl
금단증상 24시간 이후 발현, 경한 증상
② 내성: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 제거를 위한 약제의 요구량이 증가하는 것
=> 같은 용량으로 진통기간이 짧아짐, 병의 악화를 의미
c. 용량 조절
- Opioids 는 수용체의 친화도에 따라 작용 특성이 다르므로 여러 약제를 혼합사용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부작용 발현시 다른 약제로 대체하도록
① 투여간격의 조절
- 피하로 투여하는 fentanyl 이외의 작용제들은 천정효과가 없거나 최대 추천용량이 없음
- 규칙적인 시간간격을 두고 투여하여 안정된 혈중 농도를 유지하도록
- 통증이 심한 시간대에 높은 혈중 농도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정
- 새로운 약제 시작시에는 24~48시간 동안 필요할 때만 투여하여 하루 용량 결정
- 고령, 호흡기 질환 가진 환자, 전신쇠약이 있는 환자, 간/신장 기능 부전 환자는 부작용이 심할 수 있으므로 소량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량
- 1mg morphine 투여로 1시간 진통 효과를 얻은 경우 24시간동안 24mg/day 투여
② 지속 투여량의 조절
- 투여 다음날 진통효과를 판정 -> 다음날 하루 투여량 30~50% 증량
- 투여 횟수에 제한이 없으나 사용하는 약제의 제형에 따라 경과를 관찰하도록
주사약은 15~30min, 염산 모르핀 수용액은 1시간, 좌약은 1~2시간
- 하루에 사용했던 총 임시 추가 투여량을 다음날의 정기 투여량에 추가하여 새로운 정기투여량으로 함.
ex) 기본처방량: 30mg인 환자가 1회 5mg의 추가투여를 4회 받으면...
30mg + (5mg X 4회) = 50mg=> new 정기 투여량
- 감량방법: 처음 2일간은 하루 용량의 반을 투여, 다음 2일부터 25%씩 감량
하루 30mg 이 되면 2일간 투여후 중단
③ 투여방법
- 경구투여: 가장 편하고 경제적!!!
- 직장투여: 오심, 구토가 있거나 수술 전후 금식일 경우 사용, 경구용량과 같은 용량
- 피부투여: fentanyl이 유일한 피부투여용 제제(25, 50, 75, 100mcg)
Max: 300mcg/hr. (이 이상 투여시는 경구/피하 투여방법 이용)
72hr 동안 공급, 12~18시간 동안 혈중 농도 상승, 반감기:21hr
25mcg fentanyl patch는 하루 90mg 의 PO morphine과 같다.
- 비강내 투여: butorphanol(agonist-antagonist), fentanyl(경구점막 흡수)
- 정맥주사, 피하주사: 지속적인 오심, 구토환자, 삼키기 어려운 환자, 기도흡인 우려,
복용량이 많은 경우, 빨리 용량을 증가시켜야 할 때 효과적
Onset 빠르고, duration 짧다
- 경막하주입: 다른 방법으로의 약제 주입이 어렵거나 부작용 심한 경우
전신적 통증, 양측성/중심부의 통증, 체간/하지의 통증에 효과적
약제에 보존제가 첨가되지 않은 것을 사용(보존제, 산화제가 신경독성유발)
환자에 따라 용량 차이가 심함
친수성 약제: 뇌척수액에 오래 남아 뇌쪽으로 잘 퍼지고(Morphine)
지용성 약제: 부분적 피판통증(segmental analgesia)에 유리(fentanyl, sufentanil)
경구 -> 경막외 투여시: 경구 투여량의 10%로 투여
다른 opioids 쓰는 경우 morphine 근육 주사로 바꾼 후 근육 주사량 1/10 투여
경막외 용량의 1/10 용량을 척수강 내 용량으로 함
지속적/간헐적 주입 가능(초기 용량(loading dose) 주입후 지속적 주입이 좋다)
보조제 함께 투여시 효과 증강(국소마취제는 항 침해효과 및 wind-up 현상 방지)
- 뇌실내주입: 두경부 종양에 의한 통증에 효과 크다
소량(5mg/day)으로 조절 가능하며 내성, 호흡억제가 덜 나타남, 합병증: 감염
적응증: 완신경총 장애, 복/회음부 통증, 골반통, 심한 미만성 통증
- 지속적 주입장치: 경구, 정맥내, 피하, 경막외 등의 경로로 주입 가능
필요한 진통제 용량을 빨리 측정할 수 있음
d. 부작용의 치료
- 변비: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 장폐섹, 장폐쇄 등이 있거나 음식섭취량 감소시 심화
-> 섬유성 성분섭취, 우유, 마그네슘 제공, 약물투여 (경구용은 취침전, 직장용은 아침에 투여)
- 진정: 일시적. 혼수상태까지 갈수도
계속되는 경우 용량 감소, 횟수 증량(총량은 유지, 혈중 최고농도는 감소)
다른 아편양 제제 고려, 중추신경 제극제 투여
내성이 생기며 임종 일주일 전 섬망과 함께 오며 임종 48시간 전 흔히 발생
- 구역, 구토: 아편양 제제가 원인인 경우 항구토제 투여
- 호흡억제: 호흡억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 장기간 사용시 거의 없음
갑자기 통증 소실시 진정작용과 함께 나타남
naloxone 사용은 신중히 고려 (0.4mg+NS 10cc => 0.5ml/min투여)
=> 소량씩 주어 진통작용은 유지하고 호흡억제만 반전
아급성 호흡곤란: 진정작용이 먼저 오면서 서서히 호흡수 감소, 환기장애
=> 호흡수의 감소보다는 진정되는 정도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
- 보조제: 아편양 제제의 진통작용을 강화하거나 부작용 치료, 다른 증상의 치료 위해 투여
-> 스테로이드: 기분상승, 항염작용, 항구토 작용, 식욕 촉진
뇌, 척수의 부종 감소, 신경주위 부종으로 인한 통증 감소
삶의 질은 향상되나 생명은 단축시킨다
-> 항경련제: 신경병증성 통증에 사용
(삼차신경통, 대상포진 후 신경통, 사지절단후 신경통,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
-> 항우울제: 암성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중추성 통증, 구심로 차단성 통증
아편제제의 상승작용, 자체로서의 진통작용
작용기전: 하행성 억제로의 활성화에 의함
-> 신경이완제: 중추신경이나 고위 중추에 작용하여 근이완 효과
근연축을 동반하여 더 많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근이완제 같이 사용
추천자료
화상(burn)의 간호진단 (#1 통증, #2 잠재성체액부족, #3 잠재성감염)
[간호학]기본간호학 -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증상관리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를 이용한 통증관리
신체형장애발표 - 신체화 장애, 전환장애, 통증장애, 건강염려증, 신체변형장애
[기초치료학] Myofascial Pain Syndrome 근막 통증 증후군
(영어,회화) 임상영어, 간호사영어, 회화 - <통증 사정> pain assessment <과거력 사정> hist...
오십견 재활 운동 (Adhesive capsulitis, 1단계 통증 경감 시기, 2단계 적극적 가동범위 회복...
간호과정 02 - 석고 붕대와 관련된 활동장애 & 외상으로 인한 통증
장게실염(Diverticulitis) 케이스 & 문헌고찰, 급성통증, 체액과다, 지식부족 간호과정, ...
베체트병(Bechet's disease) 문헌고찰 & 케이스, 임산부 급성통증, 변비, 고체온 간호과...
경막외혈종케이스(간호과정:두개내 혈종과 관련된 뇌조직관류장애,두통과 관련된 통증,수술과...
고위험 아동의 영양/ 발달 간호/ 비외상성간호 - 통증
모성간호학케이스, 여성간호학케이스 - 자궁경부 이형성증(Dysplasia of cervix) - cervix dy...
[간호학] 고위험 아동의 영양 - 발달간호 (& 비외상성 간호-통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