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최고
날숨유속변동률
예측값의 80% 이상
20~30%
치료
저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budes- onide<800mg/일 이상)
cromolyn, nedocromil, theophylline, leukotriene 완화제
· 선호되는 치료 : 저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
· 대체치료 : Cromolyn, 류코트리엔조절제, nedocromil 또는
장시간 지속형 theophylline을 5~15μg/ml의 농도로 주입함
3단계
중등도/ 지속성
증상
일상적인 증상 일일 상용량의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사용
증상 악화 시 제한적인 신체 활동
빈도
주간
매일
야간
1일/주 이상
1초 노력 날숨 폐활량
/ 강제 폐활량 최고
날숨유속변동률
예측값의 60~80%
30% 이상
치료
저용량-중간 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흡입용 β2-작용제
중간 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 또는 저용량~중간 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 및
theophylline 또는 leukotriene 완화제 중 하나 선택하여 병용 투여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중간 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흡입용 β2-흡용제
· 선호되는 치료 : 저~중간 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
장시간형 β-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
· 대체치료 : 중간 용량 내에서 흡입형 스테로이드 증가,
저~중간 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 류코트리엔 조절제,
theophylline추가
필요시(특히 심하게 악화된 환자의 경우)
· 선호되는 치료 :중간 용량 내에서 흡입형 스테로이드 증가,
장시간형 β-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 추가
· 대체치료 : 중간 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를 증가,
류코트리엔 조젤제 또는 theophylline 추가
4단계
중증/ 지속성
증상
제한적 신체 활동
잦은 증상 악화
빈도
주간
지속적
야간
자주
1초 노력 날숨 폐활량
/ 강제 폐활량 최고
날숨유속변동률
예측값의 60% 이하
30% 이상
치료
고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budesonide 800~2,000mg/일 이상)와 지속성 기관지 확장제인 theophylline 투여 및 경구 또는 흡입용 지속성 β2-작용제, 흡입용 항콜
린제
필요 시 경구용 스테로이드, 속효성 흡입용 β2-작용제
· 선호되는 치료 : 고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
장시간형 β-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
· 필요시 : 스테로이드 정제 또는 시럽을 장기적으로 투여
(2mg/kg/day, 전체적으로 60mg/day 넘지 않도록),
· 전신적인 스테로이드 사용 감소와 고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로
천식조절을 유지하기 위해 반복해서 사용함
응급간호
모든 대상자
치료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 증상에 따라 속효성 β2-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를 2~4회 흡입함
치료의 강도는 천식의 악화정도에 달려있음 :
20분 간격으로 3법까지 또는 1회의 네뷸라이저 치료가 요구됨,
체계적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치료가 필요함
간헐적인 천식에서 속효성 β2-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를 일주일에
3번 이상 사용하는 것(매일 사용하거나 지속적인 천식으로 점차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 경우)은 장기간 조절치료가 필요하다는 것
을 나타냄
단계하강
단계 상승
1~6개월마다 치료상태를 점검함
증상조절을 위해 가능하다면 최소의 약물
을 사용하면서 단계적으로 줄여나감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면 단계를 올림
단계를 올리기 전에 대상자의 흡입기구
사용법, 치료에 잘 따르는지,
환경을 잘 조절하는지에 대해 검토함
주해 ① 본문의 뜻을 주로 달아 알기 쉽게 풀이함 ② 뜻을 주로 달아 알기 쉽게 풀이하다
- 단계적인 접근은 대상자 개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임상적 의사 결정을 도움
하지만 의사 결정을 대신할 수는 없음
- 중등도 분류 : 환자에게 중증에 해당하는 어떠한 증상이라도 나타나면
(PEF 개인의 최고 %, FEV1은 추정치의 %) 중증 단계로 지정함
- 최대한 신속히 증상을 조절해줌(전신성 스테로이드의 짧은 경과를 고려함) 그리고 나서
조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필수 약물로 단계를 떨어뜨림
- 환자에게 자기관리와 천식을 악화시킬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 교육함
- 천식조절이 어렵거나 4단계 관리가 필요하면 천식전문가에게 의뢰함
환자의뢰는 3단계에서 고려해 볼 수도 있음
2) 천식지속상태의 치료
- 저산소혈증과 환기를 개선하고 적절한 약물의 고용량 투여가 필요함
- 이산화탄소 분압 상승과 허파꽈리의 과팽창으로 가슴공기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리필요
- 저산소혈증 개선을 위해 PaO2와 SaO2가 각각 최소한 60mmHg와 90%가 되도록 산소 공급을 하고, 호흡부전이 발생되면 기계환기를 적용함
- 수분의 불감상실이 증가되므로 수액요법을 실시하고 B2-작용제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theophylline을 투여하되 6~12시간 이후에 최고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에 유의함
- 혈압,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하고 치료반응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1초 노력날숨폐활량 또는 최고날숨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저하된 호흡음 증가와 쌕쌕거림의 감소상태를 확인함
- 당질코티코이드 정맥주사 용량을 줄여나가고 그에 상응하는 경구투여 용량으로 대치함
- 임상적으로 상태가 호전되면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하고, 기침을 통해 점액이 분비되면 호흡음이 개선됨
- 퇴원 전 경구용 기관지 확장제와 흡입용 B2-작용제로 바꿈
3) 운동과 활동
- 유산소 운동 : 심혈관 건강 유지, 골격근 힘 강조, 환기와 관류의 촉진 보조
- 발작을 유발하는 상태를 고려하여 환자에 따라 운동시간을 조절함
4) 산소요법
- 산소요법은 급성 천식발작 동안에 마스크나 비강 캐뉼러, 기관내관을 통해 적용함
- 고유통 속도나 고농도의 산소는 기관지 경련이 심하고 세기관지를 통한 산소의 흐름이
제한될 때 사용함
- Heliox(50%의 헤륨과 50%의 산소 혼합)은 기도저항을 감소시키고 폐포로 산소가
전달되도록 도움
참고문헌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pp590~593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상. 수문사. pp652~655
이영휘 외(2011). 서인간호학 3권. 정담미디어.
날숨유속변동률
예측값의 80% 이상
20~30%
치료
저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budes- onide<800mg/일 이상)
cromolyn, nedocromil, theophylline, leukotriene 완화제
· 선호되는 치료 : 저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
· 대체치료 : Cromolyn, 류코트리엔조절제, nedocromil 또는
장시간 지속형 theophylline을 5~15μg/ml의 농도로 주입함
3단계
중등도/ 지속성
증상
일상적인 증상 일일 상용량의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사용
증상 악화 시 제한적인 신체 활동
빈도
주간
매일
야간
1일/주 이상
1초 노력 날숨 폐활량
/ 강제 폐활량 최고
날숨유속변동률
예측값의 60~80%
30% 이상
치료
저용량-중간 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흡입용 β2-작용제
중간 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 또는 저용량~중간 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 및
theophylline 또는 leukotriene 완화제 중 하나 선택하여 병용 투여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중간 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흡입용 β2-흡용제
· 선호되는 치료 : 저~중간 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
장시간형 β-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
· 대체치료 : 중간 용량 내에서 흡입형 스테로이드 증가,
저~중간 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 류코트리엔 조절제,
theophylline추가
필요시(특히 심하게 악화된 환자의 경우)
· 선호되는 치료 :중간 용량 내에서 흡입형 스테로이드 증가,
장시간형 β-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 추가
· 대체치료 : 중간 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를 증가,
류코트리엔 조젤제 또는 theophylline 추가
4단계
중증/ 지속성
증상
제한적 신체 활동
잦은 증상 악화
빈도
주간
지속적
야간
자주
1초 노력 날숨 폐활량
/ 강제 폐활량 최고
날숨유속변동률
예측값의 60% 이하
30% 이상
치료
고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budesonide 800~2,000mg/일 이상)와 지속성 기관지 확장제인 theophylline 투여 및 경구 또는 흡입용 지속성 β2-작용제, 흡입용 항콜
린제
필요 시 경구용 스테로이드, 속효성 흡입용 β2-작용제
· 선호되는 치료 : 고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
장시간형 β-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
· 필요시 : 스테로이드 정제 또는 시럽을 장기적으로 투여
(2mg/kg/day, 전체적으로 60mg/day 넘지 않도록),
· 전신적인 스테로이드 사용 감소와 고용량 흡입형 스테로이드로
천식조절을 유지하기 위해 반복해서 사용함
응급간호
모든 대상자
치료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 : 증상에 따라 속효성 β2-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를 2~4회 흡입함
치료의 강도는 천식의 악화정도에 달려있음 :
20분 간격으로 3법까지 또는 1회의 네뷸라이저 치료가 요구됨,
체계적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치료가 필요함
간헐적인 천식에서 속효성 β2-교감신경 효능제 흡입제를 일주일에
3번 이상 사용하는 것(매일 사용하거나 지속적인 천식으로 점차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 경우)은 장기간 조절치료가 필요하다는 것
을 나타냄
단계하강
단계 상승
1~6개월마다 치료상태를 점검함
증상조절을 위해 가능하다면 최소의 약물
을 사용하면서 단계적으로 줄여나감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면 단계를 올림
단계를 올리기 전에 대상자의 흡입기구
사용법, 치료에 잘 따르는지,
환경을 잘 조절하는지에 대해 검토함
주해 ① 본문의 뜻을 주로 달아 알기 쉽게 풀이함 ② 뜻을 주로 달아 알기 쉽게 풀이하다
- 단계적인 접근은 대상자 개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임상적 의사 결정을 도움
하지만 의사 결정을 대신할 수는 없음
- 중등도 분류 : 환자에게 중증에 해당하는 어떠한 증상이라도 나타나면
(PEF 개인의 최고 %, FEV1은 추정치의 %) 중증 단계로 지정함
- 최대한 신속히 증상을 조절해줌(전신성 스테로이드의 짧은 경과를 고려함) 그리고 나서
조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필수 약물로 단계를 떨어뜨림
- 환자에게 자기관리와 천식을 악화시킬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 교육함
- 천식조절이 어렵거나 4단계 관리가 필요하면 천식전문가에게 의뢰함
환자의뢰는 3단계에서 고려해 볼 수도 있음
2) 천식지속상태의 치료
- 저산소혈증과 환기를 개선하고 적절한 약물의 고용량 투여가 필요함
- 이산화탄소 분압 상승과 허파꽈리의 과팽창으로 가슴공기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리필요
- 저산소혈증 개선을 위해 PaO2와 SaO2가 각각 최소한 60mmHg와 90%가 되도록 산소 공급을 하고, 호흡부전이 발생되면 기계환기를 적용함
- 수분의 불감상실이 증가되므로 수액요법을 실시하고 B2-작용제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theophylline을 투여하되 6~12시간 이후에 최고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에 유의함
- 혈압,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하고 치료반응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1초 노력날숨폐활량 또는 최고날숨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저하된 호흡음 증가와 쌕쌕거림의 감소상태를 확인함
- 당질코티코이드 정맥주사 용량을 줄여나가고 그에 상응하는 경구투여 용량으로 대치함
- 임상적으로 상태가 호전되면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하고, 기침을 통해 점액이 분비되면 호흡음이 개선됨
- 퇴원 전 경구용 기관지 확장제와 흡입용 B2-작용제로 바꿈
3) 운동과 활동
- 유산소 운동 : 심혈관 건강 유지, 골격근 힘 강조, 환기와 관류의 촉진 보조
- 발작을 유발하는 상태를 고려하여 환자에 따라 운동시간을 조절함
4) 산소요법
- 산소요법은 급성 천식발작 동안에 마스크나 비강 캐뉼러, 기관내관을 통해 적용함
- 고유통 속도나 고농도의 산소는 기관지 경련이 심하고 세기관지를 통한 산소의 흐름이
제한될 때 사용함
- Heliox(50%의 헤륨과 50%의 산소 혼합)은 기도저항을 감소시키고 폐포로 산소가
전달되도록 도움
참고문헌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pp590~593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상. 수문사. pp652~655
이영휘 외(2011). 서인간호학 3권. 정담미디어.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호흡기 장애
NHL, DM, R/O HF, R/O cardiac asthma 간호사례 연구
PED CASE 소아과 케이스
COPD 대상자 case study
아동의 주요질병
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case study - COPD
직업병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ase
건강사정
[아동간호학][APT][세기관지염]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Acute paryngotonsilli...
[간호학][검사정리][PFT][Chest CT][Thoracentesis][Abdomen sono][BFS][GFS]목적,방법 정리
아동 Asthma문헌고찰+간호과정적용
[지역사회간호학] 건강검진사후관리 및 건강관리실 운영 기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