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스토리텔링, 태조왕건의 발자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획) 스토리텔링, 태조왕건의 발자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획안 요약(주제 및 소재, 기획의도, 구체적 내용 등)

코스별 행사 세부내용

본문내용

흩어진 곳으로 알려진 파계사로 넘 어가는 고개를 아랫파군재라 하고, 2차로 패한 동화사로 넘어가는 고개를 윗 파군재라 한다.
3. 불로초등학교 : 휴식시간
ㆍ간식 및 왕건 관련 지명 퀴즈대회
ㆍ대구와 왕건을 연계한 기념품 증정
4. 독암서당 : 왕건이 홀연단신으로 도주하여 자신의 부하들이 궤멸하는 것을 보 는 장소.
ㆍ왕건의 심정 표현하기 : 시
5. 파군재 : 윗파군재, 아랫파군재에서의 백제군 협공으로 실재 고려군이 궤멸 당한 장소.
ㆍ가족들이 모두 즐길 수 있는 꼬리 잡기
- 고려군, 백제군으로 두 팀으로 나누어 10명이 한 조.
- 왕건, 신숭겸, 김락, 견훤 등 당시 인물 잡는 쪽 승리.
6. 신숭겸장군 유적지
ㆍ가장한 왕건이 자신을 위해 목숨을 바친 신숭겸과 김락을 위해 그의 넋을 기린다.
ㆍ추모를 위한 도이장가 왕건을 온전하게 보위한 두 장군의 충성심이 하늘에 미친 것을 노래한 숭고미가 넘치는 작품이다.
부르기
ㆍ간단한 의식
ㆍ최종목적지
22일 : 시민이 직접 뛰는 왕건 발자취 구간 하프 마라톤대회
코스
신숭겸유적지 - 파군재 - 불로동 - 복현동 - 반월당 - 은적사
거리
20km(19.67km)




<하프마라톤 구간>
신숭겸유적지(하프마라톤 출발지) → 파군재 → 불로동 → 복현동 → 반월당 → 은적사(마라톤 코스 지명관련 전시)
ㆍ복현동
백제군이 고려군을 매복하여 공격하였다하여 생긴 지명.
ㆍ반월당
왕건이 반야월과 안심을 지나 현재의 대구 중심 네거리인 반월당에 도착했 을 때 달이 기울어 반달이 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반달이 떠 있을 때 이 곳에 당도하였고 하여 반월당이라고 한다.
ㆍ안일사
대구 앞산에 있는 절인데 왕건이 반월당을 거쳐 이곳 절에 이르렀는데, 이 곳의 승려가 왕건을 극진히 대접하고 옷을 갈아입히는 등 편안하게 모셨다. 왕건을 비로소 이곳에서 안일을 맛보았다고 하여 후에 이 절을 안일사로 개 명하였다고 한다.
 
ㆍ은적굴
은적사에 위치한 굴로 신숭겸의 지략으로 도주한 왕건은 이곳에서 3일 동 안 숨어 지냈고 안전하게 피신하여 지낸 태조는 후에 고승 영조대사에게 명 하여 자신이 숨어 생명을 건진 곳이라 하여 은적사라 한다.
◎ 기타사항
안심에서 신숭겸장군 유적지까지 6개 장소에 스탬프실을 설치하여 참가 시민에게 스탬프를 찍어서 완주 시 기념품 증정.
<기념품>
① 메달(대구+팔공산+왕건)
② 완주증(상장)
③ 완주한 시민에 한해 번호 추첨 → 상품증정
④ 완주 시 시원한 불로막걸리 (대구지역 상품 홍보)
<제 1코스>
ㆍ안심 → 파군재 (왕건 도주길)
<제 2코스>
ㆍ무태 → 파군재 (왕건 격돌길)
<제 3코스>
ㆍ계명 → 은적사 (앞산 왕건길)
▶ 총 3가지 코스 중 비교적 짧은 1코스를 선정하여 1회 걷기 행사에는 조금 부담 없이 가족단위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아이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내용위주의 교육적인 행사로 진행.
▶ 매년 정기적인 행사를 위해 3가지의 코스를 선정하여 각 코스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마다 번갈아 가면서 새로운 코스로 참가시민들에게 매번 새로움을 주려고 함.

키워드

기획안,   스토리텔링,   지명,   왕건,   홍보,   지역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2.20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9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