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썰전’ 분석] 보수와 진보가 한자리 앉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JTBC ‘썰전’ 분석] 보수와 진보가 한자리 앉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JTBC 썰전 소개
2. 새로운 패널 구성 (전원책 vs. 유시민)
3. 보수와 진보가 한자리에 앉다
4. 썰전의 사회적 메시지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경험하고 있다. 그리고 주요 갈등들의 경우 정치 이슈화되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커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정치란 사회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갈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우리사회에서 정치권은 자신들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왔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권의 무능력한 모습은 국민들로 하여금 정치무관심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들을 바라보며 나는 정치권이 치열하게 다투는 이유가 정말 국민들을 위해서인가? 라는 의문을 갖기도 하였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이해관계자들 간의 충분한 대화가 필요하다. 서로가 가지고 있었던 오해를 풀고 서로 일정부분을 양보하지 않는다면 문제는 결코 해결될 수 없을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썰전은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을 한자리에 앉혀놓고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나누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우리사회의 문제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서로 다른 의견을 주장한다고 하여 귀를 막을 것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며 공감대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우리사회의 문제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결해낼 수 있다는 모습을 축약하여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해나가고 다시금 서로에 대한 신뢰를 회복함에 있어 정치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정치권에서 서로 대화하여 풀어나갈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 타협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국민들 또한 디시금 정치권을 신뢰할 것임에 틀림없다.
Ⅲ. 결 론 (해결방안)
지금까지 JTBC 프로그램인 ‘썰전’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다. 썰전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에서부터 출연진(패널)의 특성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기회를 가졌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썰전이 오락비평프로그램으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했던 부분이다.
보수와 진보가 한 자리에 앉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는 현재 썰전의 포맷은 앞으로도 한동안은 유효하리라 생각된다. 시청자들에게 재미와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림으로써 썰전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썰전을 통해 우리사회에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는 기회를 가졌다. 더 이상 갈등만하는 정치권이 아니길 바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령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서로간의 생각을 공유하는 문화가 정치권이 자리 잡길 진심으로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JTBC 홈페이지 ‘썰전’
(http://home.jtbc.joins.com/Cast/CastIntro.aspx?prog_id=PR10010189&menu_id=PM10017235)
썰전, 또 자체최고 시청률 경신 ‘4% 넘었다’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602191049543510)
[네이버 인물정보] (강용석, 유시민, 전원책, 이준석, 이철희)
[네이버 지식백과] 정보피로증후군 [情報疲勞症候群] (두산백과)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3.02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9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