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2. 학교에서 나타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부정적 측면
3. 학교에서 나타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부정적 측면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
2. 학교에서 나타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부정적 측면
3. 학교에서 나타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부정적 측면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
본문내용
원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학교에서 나타나는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통제함으로써 나타나는 학생들의 창의성 말살현상은 교사가 밝은 학급 분위기를 조장하고 또한 수업의 도중에 발산적 질문을 하거나 학습자에게 문제에 대한 다양한 사고를 촉진하는 자료를 제시해 줄 경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사회문제에 관한 질문을 하는 것은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능력을 계발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들은 학교에서 나타나는 여러 잠재적 교육과정에 따른 부정적인 측면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하여 교사는 전통적으로 학생들에게 무의식적으로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잠재적 교육과정이 무엇인지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고안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과정의 개발유형과 장단점 - 합리적 교육과정, 실제적 교육과정,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종류와 특성,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의의, 특별활동교육과정의 내용, 특별...
국가수준교육과정의 개념, 국가수준교육과정의 필요성, 국가수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국가...
미술과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개정 중점, 미술과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미술과교육과정의 편...
수준별교육과정의 목적과 필요성, 수준별교육과정의 도입 취지, 수준별교육과정의 기본 방침,...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학교교육과정의 성격, 학교교육과정의 기본방향, 학교교육과정의 편성...
교육과정 지역화(지역화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 지역화(지역화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제7차교육과정의 실태, 제7차교육과정의 ...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수업학습)의 개념, 목적, 유형,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수업학습)의 수...
과학교육과정(과학과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과학교육과정(과학과교육과정)의 학습 유형과 ...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정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의 동향,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과목구성, 선택중심...
특별활동교육과정의 목표와 연간지도계획,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지도핵심과 편성운영, 특별활...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가치와 과목구분,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기본원칙,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