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금기어의 분석
1) 금기의 정의
2) 금기어의 특징
2. 여성 대상 금기어의 분류
1) 관계와 관련 있는 금기어
(1) 남편(남성)과의 관계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2) 가족과의 관계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2) 장소와 관련 있는 금기어
(1) 가정 내(內) 노동과 관련된 여성 금기어
(2) 가정 외(外) 노동과 관련된 여성 금기어
3) 특정 상황과 관련 있는 금기어
(1) 임신·출산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2) 세시풍속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4) 외모와 관련된 여성 금기어
참고문헌
1) 금기의 정의
2) 금기어의 특징
2. 여성 대상 금기어의 분류
1) 관계와 관련 있는 금기어
(1) 남편(남성)과의 관계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2) 가족과의 관계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2) 장소와 관련 있는 금기어
(1) 가정 내(內) 노동과 관련된 여성 금기어
(2) 가정 외(外) 노동과 관련된 여성 금기어
3) 특정 상황과 관련 있는 금기어
(1) 임신·출산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2) 세시풍속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4) 외모와 관련된 여성 금기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
임신한 여자가 밧줄을 넘으면 열두 달 만에 아이를 낳는다.
임신 중에 장독에 배를 대지 않는다.
임신 중에 닭고기 먹으면 애기 피부가 닭살이 된다.
임신 중에 오리 고기 먹으면 애기 손가락이 붙어 나온다.
임신 중에 닭 잡아먹지 않는다.
임신 중에 개고기를 먹으면 부정을 타서 단명 한다.
임신 중에 돼지고기를 먹으면 풍이 세어 종기가 잘난다.
임신 중에 자라고기를 먹으면 목이 자라처럼 움츠러든다.
임신 중에 제사음식을 먹으면 부정을 타 산모까지 좋지 않다.
임신 중에 계란을 먹으면 말을 더디 한다.
임신 중에 냉수를 많이 마시면 아이에게 열이 많이 생긴다.
출산과
관련된
여성 금기어
산모에게 처녀가 밥을 해주면 해롭다.
초하룻날 계집애를 낳으면 언짢다.
산고로 죽은 여자는 도중에 세변 내려놓지 않으면 나쁘다.
어린애 낳고 사흘 안에 동냥주지 않는다.
어린애 낳고 초상집에 가면 해롭다.
전통적인 금기 식품도 임신기에 가장 그 종류가 많다. 임신 중에는 섭생을 주의해야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금기어를 사용하였다. (바)~(하)처럼 식재료의 모양이나 특성에서 착안하여 부정성을 가진 음식을 먹지 못하도록 금한다. (가)~(마)의 금기어에는 임신부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을 언급하고 있다. 단순히 ‘~하면 안된다.’보다 태어날 아이에게 미칠 부정한 일을 주절에 제시함으로써 반드시 지키고자 하는 마음을 갖도록 하고 있다.
새 생명이 탄생하는 과정은 그 자체가 부정한 것이라기보다 그 시기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금기들은 임신부 및 태아와 영아가 부정을 접하지 않기 위해 각별히 신경 쓴 흔적이라 할 수 있다.
(2) 세시풍속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세시풍속은 예로부터 전해지는 농경사회의 풍속으로 농사력에 맞추어 행해지는 전승적 행사를 말한다. 음력의 월별 24절기로 구분되어 있으며 촌락마다 관행에 따라 전승되는 의식, 놀이이기 때문에 그 지역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세시풍속과
관련된
여성 금기어
정월 보름날 아침에 여자가 그릇 깨면 언짢은 일이 생긴다.
정월 초하룻날 놋그릇을 솥 안에 넣어두면 자기 남편이 일년 내 연장에 다친다.
정월 첫 토끼날 새벽에 여자가 먼저 불을 켜면 재수 없다.
칠월칠석날 딸이 논밭에 나가면 흉년이 든다.
정초에 여자가 먼저 방문하면 일 년 내내 재수가 없다.
시작을 뜻하는 정월에 대한 금기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시기에 따라 적절한 일을 할 수 있도록 조심해야할 내용들을 금기로 제시하고 있다. 주로 시작하는 정월에 여성이 소란스럽거나 부정한 일을 하지 않도록 행동에 제약을 두고 있다.
4) 외모와 관련된 여성 금기어
배우자로서 이상적 남성상은 추상적이며 전체적인 측면으로 파악되는 반면 여성상은 구체적 실제적 측면에서 파악된다. 남성에게는 전반적인 기운이나 분위기가 긍정적인가 여부가 중요하다면 여성에게는 구체적인 외향적 특징이나 기술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바보 신랑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만 바보 며느리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없다는 것으로 검증된다.
외모와
관련된
여성 금기어
여자가 입술이 파랗거나 보라색을 좋아하면 일찍 죽는다.
여자 입술이 푸르거나 자색이면 초년 과부가 된다.
눈물 흐르는 줄기 밑에 점이 있으면 어머니가 빨리 돌아가신다.
전통 혼례에서 혼담이 오고가면 ‘간선’이라 하여 신붓감을 선보는 풍속이 있었다. 중매를 통해 신붓감과 신부 집안의 내력은 알 수 있었지만, 신붓감의 인품과 관상은 직접 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위장을 하면서까지 관상을 보고자 한 것은 여성의 외모에 따라 관계된 남성의 건강상태가 달라질 수 있고, 다산의 여부를 알 수 있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정성희, 「조선의 섹슈얼리티:개정판」, 가람기획, 2009, 37면
(가), (나)에서 입술은 성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자색’은 성적인 측면에서 환상적인 느낌을 준다. 여성이 성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중시하게 되면 좋지 못한 결과를 얻을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참고문헌
박정열, 최상진, 「금기어(禁忌語)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심층심리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2, 2003
심재숙, 「금기어(禁忌語)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국학연구 23, 2013
박정열, 최상진, 「금기어(禁忌語)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심층심리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2, 2003
이인혜, 「어촌 여성금기의 변화와 지속」, 한국문화인류학 45-2, 2012
정성희, 「조선의 섹슈얼리티:개정판」, 가람기획, 2009, 37면
임신한 여자가 밧줄을 넘으면 열두 달 만에 아이를 낳는다.
임신 중에 장독에 배를 대지 않는다.
임신 중에 닭고기 먹으면 애기 피부가 닭살이 된다.
임신 중에 오리 고기 먹으면 애기 손가락이 붙어 나온다.
임신 중에 닭 잡아먹지 않는다.
임신 중에 개고기를 먹으면 부정을 타서 단명 한다.
임신 중에 돼지고기를 먹으면 풍이 세어 종기가 잘난다.
임신 중에 자라고기를 먹으면 목이 자라처럼 움츠러든다.
임신 중에 제사음식을 먹으면 부정을 타 산모까지 좋지 않다.
임신 중에 계란을 먹으면 말을 더디 한다.
임신 중에 냉수를 많이 마시면 아이에게 열이 많이 생긴다.
출산과
관련된
여성 금기어
산모에게 처녀가 밥을 해주면 해롭다.
초하룻날 계집애를 낳으면 언짢다.
산고로 죽은 여자는 도중에 세변 내려놓지 않으면 나쁘다.
어린애 낳고 사흘 안에 동냥주지 않는다.
어린애 낳고 초상집에 가면 해롭다.
전통적인 금기 식품도 임신기에 가장 그 종류가 많다. 임신 중에는 섭생을 주의해야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금기어를 사용하였다. (바)~(하)처럼 식재료의 모양이나 특성에서 착안하여 부정성을 가진 음식을 먹지 못하도록 금한다. (가)~(마)의 금기어에는 임신부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을 언급하고 있다. 단순히 ‘~하면 안된다.’보다 태어날 아이에게 미칠 부정한 일을 주절에 제시함으로써 반드시 지키고자 하는 마음을 갖도록 하고 있다.
새 생명이 탄생하는 과정은 그 자체가 부정한 것이라기보다 그 시기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금기들은 임신부 및 태아와 영아가 부정을 접하지 않기 위해 각별히 신경 쓴 흔적이라 할 수 있다.
(2) 세시풍속에 관련된 여성 금기어
세시풍속은 예로부터 전해지는 농경사회의 풍속으로 농사력에 맞추어 행해지는 전승적 행사를 말한다. 음력의 월별 24절기로 구분되어 있으며 촌락마다 관행에 따라 전승되는 의식, 놀이이기 때문에 그 지역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세시풍속과
관련된
여성 금기어
정월 보름날 아침에 여자가 그릇 깨면 언짢은 일이 생긴다.
정월 초하룻날 놋그릇을 솥 안에 넣어두면 자기 남편이 일년 내 연장에 다친다.
정월 첫 토끼날 새벽에 여자가 먼저 불을 켜면 재수 없다.
칠월칠석날 딸이 논밭에 나가면 흉년이 든다.
정초에 여자가 먼저 방문하면 일 년 내내 재수가 없다.
시작을 뜻하는 정월에 대한 금기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시기에 따라 적절한 일을 할 수 있도록 조심해야할 내용들을 금기로 제시하고 있다. 주로 시작하는 정월에 여성이 소란스럽거나 부정한 일을 하지 않도록 행동에 제약을 두고 있다.
4) 외모와 관련된 여성 금기어
배우자로서 이상적 남성상은 추상적이며 전체적인 측면으로 파악되는 반면 여성상은 구체적 실제적 측면에서 파악된다. 남성에게는 전반적인 기운이나 분위기가 긍정적인가 여부가 중요하다면 여성에게는 구체적인 외향적 특징이나 기술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바보 신랑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만 바보 며느리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없다는 것으로 검증된다.
외모와
관련된
여성 금기어
여자가 입술이 파랗거나 보라색을 좋아하면 일찍 죽는다.
여자 입술이 푸르거나 자색이면 초년 과부가 된다.
눈물 흐르는 줄기 밑에 점이 있으면 어머니가 빨리 돌아가신다.
전통 혼례에서 혼담이 오고가면 ‘간선’이라 하여 신붓감을 선보는 풍속이 있었다. 중매를 통해 신붓감과 신부 집안의 내력은 알 수 있었지만, 신붓감의 인품과 관상은 직접 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위장을 하면서까지 관상을 보고자 한 것은 여성의 외모에 따라 관계된 남성의 건강상태가 달라질 수 있고, 다산의 여부를 알 수 있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정성희, 「조선의 섹슈얼리티:개정판」, 가람기획, 2009, 37면
(가), (나)에서 입술은 성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자색’은 성적인 측면에서 환상적인 느낌을 준다. 여성이 성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중시하게 되면 좋지 못한 결과를 얻을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참고문헌
박정열, 최상진, 「금기어(禁忌語)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심층심리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2, 2003
심재숙, 「금기어(禁忌語)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국학연구 23, 2013
박정열, 최상진, 「금기어(禁忌語)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심층심리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2, 2003
이인혜, 「어촌 여성금기의 변화와 지속」, 한국문화인류학 45-2, 2012
정성희, 「조선의 섹슈얼리티:개정판」, 가람기획, 2009, 37면
키워드
추천자료
[음성학]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대조분석과 발음 오류
세계의 술문화비교분석(한국의 소주와 러시아의 보드카 술 문화 비교)
한국사회의 과시적 문화_명품소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영화산업][영화시장][상업영화]한국영화산업(영화시장, 상업영화)의 구조, 한국영화산업...
[장례][장례풍습][장례문화][이집트][로마][힌두인][유대인][한국]이집트 장례풍습(장례문화)...
스위스의 주거문화(주거생활), 멕시코의 주거문화(주거생활), 프랑스와 독일의 주거문화(주거...
한국의 청동기 문화(논문분석)
한국의 청동기 문화(논문분석)
국어(우리말, 한국어)의 형성과 독자성, 국어(우리말, 한국어)의 풍부성과 의사소통기능, 국...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언어 능력과의 관계 & 보육교사의 유아 언어 교...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교재 분석
문화유산의 개념, 사적지, 유형문화재, 한국의 세계 문화 유산 관광, 창덕궁, 불국사, 석굴암...
한중교류(한국과 중국교류) 의의, 한중교류(한국과 중국교류)와 세계화, 한중교류(한국과 중...
한국인의 뒷담화 문화 (드라마 아내 내용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