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청동기 문화(논문분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송만영, 2001, 「남한지방 농경문화 형성기 취락의 구조와 변화」『한국농경문화의 형성』, 제25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발표요지.

2. 우정연, 2002, 「중서부지역 송국리복합체 연구」『한국고고학보』47, 한국고고학회.

4. 이진민, 2004, 「중부지역 역삼동유형과 송국리 유형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역삼동유형의 하한에 주목하여-」『한국고고학보』54, 한국고고학회.

본문내용

가장 빠르고 급격하게 변한다는 점 등은 송국리 유형이 역삼동 유형으로부터 점차 발전하였다기보다는 외부로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해준다. 그러나 송국리 유형과 역삼동 Ⅱ유형이 동시대에 존재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송국리가 역삼동 Ⅱ유형에 선행한다는 근거는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송국리 유형이 역삼동 유형과 접촉해서 송국리 유형의 영향으로 역삼동 유형이 변화했다는 논지는 근거가 부족하다. 근거를 더 제시할 수 있는 상황에서야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 같다.
이 논문은 주거지와 토기, 석기 등의 여러 요소를 분석하여 결론을 얻어냈다. 그러나 아직도 고고학적 자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 자료가 나와 우리의 궁금증이 한걸음, 한걸음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 가격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0.12.0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