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2. 목적
3. 이론
4. 실험 기구 및 시약
5.실험방법
6. 실험장치
7. 결과
8. 고찰
9. 참고문헌
2. 목적
3. 이론
4. 실험 기구 및 시약
5.실험방법
6. 실험장치
7. 결과
8. 고찰
9. 참고문헌
본문내용
려해야할 때 필요한 계산방법을 배웠고 실험 B를 통하여 MV=M'V'공식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웠다. 특히 실험C를 할때는 당량수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하게 되었는데, 당량수가 산-염기의 경우 수소 또는 수산화 이온의 수이고 산화-환원의 경우 주고 받는 전자의 수라는 것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었다.
부피플라스크를 이용할 때는 증류수에 녹여야 하는 용질을 가장 처음에 넣지 않고 증류수를 먼저 넣고 용질을 넣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깔때기를 사용하여 용질을 넣으면서 저울에 측정한 양이 깔때기에 남지 않고 전부 다 들어가야 한다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며 실험을 했다.
2) 오차의 원인
① 용질의 양을 소량으로 하여 실험을 했기 때문에 저울로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② 피펫의 미숙한 사용과 부피 플라스크의 눈금에 증류수를 정확히 담아야하는 실험 방법으로 인해 실수가 생겼다.
3) 생각해볼 사항이나 궁금했던 점
-실험C만 노르말농도를 이용하여 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궁금하였는데, 생각을 통해 이온결합물질은 몰농도 뿐만 아니라 당량수를 이용하는 노르말농도로 용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9. 참고문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81413&cid=42419&categoryId=42419
http://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B%8C%80%EB%AC%B8 (시료에 관한 것)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240&cid=40942&categoryId=32251
★ 과제
1. 황산용액 250mL에 황산 9.8 g이 녹아있다면 몰농도(M)와 노르말농도(N)는?
=0.1
2. 6(mL/mL)% 에탄올 용액(분자량: 46g/mol, 밀도: 0.79g/mL)의 몰농도(M)는?
이므로
이다.
3. 2M 농도의 아세트산(분자량:60g/mol) 용액의 밀도가 1.05g/mL일 때, 이 용액은 몇(wt/wt)% 용액인가?
아세트산 2M에는 1L기준으로 아세트산이 2mol 들어있다.
그러므로 아세트산의 질량(g)은 2mol×60g/mol = 120g 이고,
밀도는 120g÷1.05g/mL≒114.3mL이다.
밀도가 114.3mL 이므로 용매는 1000mL-114.3mL=885.7mL=885.7g이다.
이므로
주어진 식의 질량 백분율은 이다.
4. 1M NaCl 용액을 희석하여 0.2M NaCl 용액 1L 제조하고자 할 때, 1M NaCl 용액과 증류수는 각각 얼마나 취해야 하는가?
NaCl의 몰농도가 1M이므로 용질의 몰수는 용액의 부피와 같다. 그러므로 NaCl 1M에는 NaCl 1몰이 들어있다. 1M의 NaCl에 증류수를 희석하여 0.2M NaCl 1L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0.2몰의 NaCl이 필요하므로 이다.
그러므로 1M NaCl 1L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1M NaCl 용액 0.2L와 증류수 0.8L가 필요하다.
부피플라스크를 이용할 때는 증류수에 녹여야 하는 용질을 가장 처음에 넣지 않고 증류수를 먼저 넣고 용질을 넣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깔때기를 사용하여 용질을 넣으면서 저울에 측정한 양이 깔때기에 남지 않고 전부 다 들어가야 한다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며 실험을 했다.
2) 오차의 원인
① 용질의 양을 소량으로 하여 실험을 했기 때문에 저울로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② 피펫의 미숙한 사용과 부피 플라스크의 눈금에 증류수를 정확히 담아야하는 실험 방법으로 인해 실수가 생겼다.
3) 생각해볼 사항이나 궁금했던 점
-실험C만 노르말농도를 이용하여 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궁금하였는데, 생각을 통해 이온결합물질은 몰농도 뿐만 아니라 당량수를 이용하는 노르말농도로 용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9. 참고문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81413&cid=42419&categoryId=42419
http://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B%8C%80%EB%AC%B8 (시료에 관한 것)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240&cid=40942&categoryId=32251
★ 과제
1. 황산용액 250mL에 황산 9.8 g이 녹아있다면 몰농도(M)와 노르말농도(N)는?
=0.1
2. 6(mL/mL)% 에탄올 용액(분자량: 46g/mol, 밀도: 0.79g/mL)의 몰농도(M)는?
이므로
이다.
3. 2M 농도의 아세트산(분자량:60g/mol) 용액의 밀도가 1.05g/mL일 때, 이 용액은 몇(wt/wt)% 용액인가?
아세트산 2M에는 1L기준으로 아세트산이 2mol 들어있다.
그러므로 아세트산의 질량(g)은 2mol×60g/mol = 120g 이고,
밀도는 120g÷1.05g/mL≒114.3mL이다.
밀도가 114.3mL 이므로 용매는 1000mL-114.3mL=885.7mL=885.7g이다.
이므로
주어진 식의 질량 백분율은 이다.
4. 1M NaCl 용액을 희석하여 0.2M NaCl 용액 1L 제조하고자 할 때, 1M NaCl 용액과 증류수는 각각 얼마나 취해야 하는가?
NaCl의 몰농도가 1M이므로 용질의 몰수는 용액의 부피와 같다. 그러므로 NaCl 1M에는 NaCl 1몰이 들어있다. 1M의 NaCl에 증류수를 희석하여 0.2M NaCl 1L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0.2몰의 NaCl이 필요하므로 이다.
그러므로 1M NaCl 1L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1M NaCl 용액 0.2L와 증류수 0.8L가 필요하다.
추천자료
MgCl2 용액에서의 Mg 정량
0.1N-NaCl 및 0.1N-AgNO3 표준용액
염기 표준용액 만들기(2차 표준용액)
[화학실험](예비)인산의 적정과 완충용액
0.1 N NaOH용액의 표준화
[일반화학실험][예비+결과] 인산의 적정과 완충용액 실험
[화학실험] 과일 중의 총 유기산 정량 - 밀감류(오렌지, 레몬 등)의 과일 중에 함유된 유기산...
[C언어] 정보올림피아드 문제 풀이 (사각형 그리기, 최대값, 윤년, 소수, 용액, 마방진)
[식품분석 실험] 산, 염기 표준 용액의 조제 및 표정 법
[생물학] 지질검정 실험(생체 주요 구성 성분인 지질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지질과 반응...
[화학실험] 아황산나트륨의 정량 : N/10 I2 표준액에 시료인 아황산나트륨 용액을 가한 후 반...
벤젠의 어는점 내림을 이용한 분자량 측정 : 순수한 용매인 벤젠과 나프탈렌을 용해한 용액의...
염색실험보고서 - 울금을 이용한 천연염색 : 염색할 섬유를 염색용액에 담가 전체를 같은 색...
N/10 과망간산칼륨 표준액의 조제와 표정 : 약 N/10 과망간산칼륨 용액을 조제하여 N/10 옥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