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ubject
2. 재료 및 기구 (material and Apparatus)
3. 실험 목적 (purpose)
4. 이론
4. 실험 방법 (Methods)
5. 실험 결과 (Results)
6. 고찰 (Discussion)
7. 요약 (summary)
8. 참고문헌
2. 재료 및 기구 (material and Apparatus)
3. 실험 목적 (purpose)
4. 이론
4. 실험 방법 (Methods)
5. 실험 결과 (Results)
6. 고찰 (Discussion)
7. 요약 (summary)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약의 색은 종말점으로 보이는 부분에서 급격히 변화하기 때문에 buret의 cock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연습을 해야 하며, 색이 한 번에 변했다고 하더라도 30초 이상 flask를 흔들어보아 색이 다시 흐려지는 등의 변화가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실제로 실험 중 P.P이 Red의 반응색을 나타내어서 그 때의 결과를 그대로 기록하였다가 시간이 지난 후 우연히 표준물질의 Red 색이 흐려진 것을 발견하고 추가로 NaOH 용액을 적정해야 했다.
※ 2) 실험 시 'F = 1000×표준물질 채취량(g) / N×V×1g당량(표준물질)' 공식 사용 결과는 0.1N-HCl (F=0.9636)였고, NVF = N'V'F' 공식에 대입하여 나온 결과는 0.1N-HCl (F=0.6947) 로, 두 결과 사이에 0.0011 정도의 미세한 차이가 생긴 것으로 보아 같은 결과라고도 볼 수 있으나, 산 표준용액에 사용된 두 공식이 각각 어떻게 유도된 것인지 의문이 생겨, 여러 식품 분석 서적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해 보았으나 그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없었다.
결론 적으로 모든 실험과정에서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이 실험의 관건이며 표준용액, 표준물질, 표정에 대한 정확한 개념 이해가 중요하다.
→ 각 실험 시 표준물질의 지시약 반응 색.
* buret 사용법.
숙달 된 실험기구 사용은
실험의 오차를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뷰렛의 정확한
사용법을 인지해야한다.
→ 왼쪽 손의 엄지, 검지, 중지의
3손가락으로 cock를 눌러 낀다는
기분으로(빠지지 않도록) 돌린다.
왼쪽 손바닥이 cock에 닿으면
cock에 눌려서 빠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7. 요 약
(summary)
이번 실험은 식품 분석 시 사용되는 적량분석(용량분석)법 중에서도 산-염기의 특성을 이용한 중화 적정 법을 이용한 실험이다.
각각의 표준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하는 '표정'은 모든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각각의 실험에 P.P와 M.O 지시약을 사용하여 지시약 색이 급격히 변화하는, 적정 반응 종말점에서의 '표준용액 평균 소비량'으로부터 역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험에 사용될 표준용액의 농도를 정확히 알 수 있다.
8. 참고문헌
식품 분석 - 효일 문화사, 김경삼, 금종화 외 공 저.
식품 분석 - 유한 문화사, 이근보, 양종범 외 공 저.
식품 미생물학 실험 -성신여대 식영과 미생물학 교재.
수업 참고 자료.
※ 2) 실험 시 'F = 1000×표준물질 채취량(g) / N×V×1g당량(표준물질)' 공식 사용 결과는 0.1N-HCl (F=0.9636)였고, NVF = N'V'F' 공식에 대입하여 나온 결과는 0.1N-HCl (F=0.6947) 로, 두 결과 사이에 0.0011 정도의 미세한 차이가 생긴 것으로 보아 같은 결과라고도 볼 수 있으나, 산 표준용액에 사용된 두 공식이 각각 어떻게 유도된 것인지 의문이 생겨, 여러 식품 분석 서적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해 보았으나 그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없었다.
결론 적으로 모든 실험과정에서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이 실험의 관건이며 표준용액, 표준물질, 표정에 대한 정확한 개념 이해가 중요하다.
→ 각 실험 시 표준물질의 지시약 반응 색.
* buret 사용법.
숙달 된 실험기구 사용은
실험의 오차를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뷰렛의 정확한
사용법을 인지해야한다.
→ 왼쪽 손의 엄지, 검지, 중지의
3손가락으로 cock를 눌러 낀다는
기분으로(빠지지 않도록) 돌린다.
왼쪽 손바닥이 cock에 닿으면
cock에 눌려서 빠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7. 요 약
(summary)
이번 실험은 식품 분석 시 사용되는 적량분석(용량분석)법 중에서도 산-염기의 특성을 이용한 중화 적정 법을 이용한 실험이다.
각각의 표준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하는 '표정'은 모든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각각의 실험에 P.P와 M.O 지시약을 사용하여 지시약 색이 급격히 변화하는, 적정 반응 종말점에서의 '표준용액 평균 소비량'으로부터 역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험에 사용될 표준용액의 농도를 정확히 알 수 있다.
8. 참고문헌
식품 분석 - 효일 문화사, 김경삼, 금종화 외 공 저.
식품 분석 - 유한 문화사, 이근보, 양종범 외 공 저.
식품 미생물학 실험 -성신여대 식영과 미생물학 교재.
수업 참고 자료.
추천자료
(식품화학실험보고서)단백질정량, kjeldal법 및 다른방법
(식품화학실험보고서)요오드가 및 비누화가
[식품미생물학실험]김치로부터 젖산균의 분리(isolation of LAB from kimchi)
[식품미생물학실험] 요거트제조(yogurt 만들기)
식품화학실험> 시약제조 농도변경
[식품화학실험] 유지의 비누화가, 요오드가 측정
[식품화학실험] 조지방의 정량
[식품가공실험] 우유 신선도 검사 및 치즈제조
식품화학실험A+) 용액 농도 변경 및 시약 제조
식품화학실험A+) 식품 중의 유기산 정량
식품화학실험A+) 식품중의 식염 정량
【식품화학실험】 09 - TLC :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유지의 지방산 측정
【식품화학실험】 10 - 환원당(reducing sugar) : Bertrand법을 이용한 환원당 측정
【식품화학실험】 08 - GC :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유지의 지방산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