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화학실험A+) 식품 중의 유기산 정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화학실험A+) 식품 중의 유기산 정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주제
2.재료 및 기구
3.실험목적과 원리
4.실험방법
5.실험 결과
6.고 찰
7.요 약
8.참고문헌

본문내용

⑤-⑥ 곡선 : 0.1N 약산·약 알칼리의 경우
②-⑤-⑥ 곡선 : 0.1N 강산·약 알칼리의 경우
④-⑤-⑧ 곡선 : 0.1N 약산·강 알칼리의 경우
① 강산과 강염기의 적정
강산을 강염기로, 또는 강염기를 강산으로 적정하게 되면 당량점에서 pH가 급격히 변화하게 되는데 그 범위는 약 pH 4에서 pH 10까지 정도이다. 따라서 이 반응의 당량점을 확인하기 위한 지시약을 선택하기는 쉬운 편이다. 즉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pH 사이에 변색범위가 있는 메틸 오렌지, 페놀프탈레인 등 어느 쪽을 사용해도 좋다.
② 약산과 강염기의 적정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경우, 당량점에서의 pH 변화는 그렇게 크지 않으며 당량점에서의 pH 7보다 크다. 따라서 지시약은 변색 범위가 알칼리성 측에 있는 페놀프탈레인 등을 사용한다. 이때 메틸오렌지는 사용할 수 없다.
③ 강산과 약염기의 적정
약염기를 강산으로 적정하는 경우, 당량점에서의 pH 변화는 위의 약산과 강염기의 경우와 거의 같은 정도이며 당량점에서의 pH는 7보 다 낮다. 따라서 지시약은 변색범위가 산성측에 있는 메틸오렌지 등이 사용된다. 이때 페놀프탈레인은 사용할 수 없다.
④ 약산과 약염기의 경우
약산의 약염기로 적정하는 경우, 당량점에서의 pH 변화가 대단히 작기 때문에 적당한 지시약을 선택할 수가 없어 당량점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며 당량점에서의 pH는 거의 7이다. 그리고 강산과 강염기의 중화반응이라 하여도 그농도가 너무 낮으면 역시 당량점에서의 pH 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당량점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 0.01N에서 1N 농도 사이의 용액이 사용된다.
< 이번 실험에 해당되는 산과 염기의 적정 곡선>
◈ 약산을 강알칼리로 적정한 경우
(식초중의 아세트산, 과일 중의 유기산)
10㎖의 0.1N-CH3COOH 용액을 0.1N-NaOH용액으로 적정하였을 때의 pH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당량점에 있어서의 pH변화는 pH 7보다 크다. 따라서 보통 pH 7-10에서 변색하는 지시약을 사용하여야 한다.
-> phenolpthalein.
7. 요 약
(summary)
이번 실험에서는 부피분석법 중에서도 중화 적정 법을 이용하여 식초중의 아세트산과 과일(오렌지,레몬)중의 구연산(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고, 표준용액으로는 0.1N-NaOH(F=1.011)을 사용하였다.
과일 중에는 여러 가지 유기산이 존재하나 모든 유기산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기기 분석을 하여야 하므로, 이번 실험에서는 레몬과 오렌지의 모든 유기산을 구연산(Citric acid)로 가정하여 실험하였고 그 양을 구연산의 함량으로 표시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1배 식초 중의 아세트산 함량이 6.498% , 2배 식초 중의 아세트산 함량 13.34%, 레몬중의 유기산(구연산) 함량이 4.335%, 오렌지중의 유기산(구연산) 함량은 0.8605% 로 나왔다.
8. 참고문헌
식품 분석 - 효일 문화사, 김경삼, 금종화 외 공 저.
식품 분석 - 유한 문화사, 이근보, 양종범 외 공 저.
수업 참고 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6.08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