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미생물학 발효식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김치란(정의,역사,종류,제조법)

2김치의 효능

3김치의 발효

4김치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

5김치의 소비시장 및 시장성

6김치 업계의 과제

본문내용


김치는 한국인의 기호성을 대표할 만한 중요한 식품 소금의 짠맛과 발효과정 중 생성된 각종 유기산과의 조화된 맛
의미
‘채소를 소금물에 담근다'는 의미 '침채(沈菜)'는 '팀채', 혹은 '딤채'로 발음 구개음화로 인해 '짐치'가 되었다가 오늘날의 '김치'가 된 것으로 추정됨
최초의
기록
중국의 『삼국지」 「위지동이전」고구려조로 ‘고구려인은 술빚기,장담그기, 젓갈등의 발효음식을 매우 잘한다’고려 중엽의 이규보 「동국이상국집」의 시 ‘가포육영에서 장에 담그면 여름철에 먹기 좋고 소금에 절인 김치는 겨울 내내 반찬되네’
김치는 예로부터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모든 채소류(죽순, 해조류, 버섯)를 이용하여 담금했으므로 그 종류는 대단히 많다.
김치의 종류는 총 336종 [최근 각종 요리서, 잡지 등에 게재된 김치자료(1987~1995년)].
김치도 계절별로 또는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담금김치 : 배추김치, 보쌈김치, 깍두기, 총각김치, 갓김치, 오이김치 파김치, 열무김치 등 물김치 : 백김치, 동치미, 나박김치, 열무물김치 등
김치 종류별 빈도: 배추김치>깍두기>동치미> 총각김치

키워드

김치,   발효식품,   미생물,   시장성,   업계 과제,   전망,   ppt,   효능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12.03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40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