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오차값을 증가시켰다.
④ 실험에서 필요한 시료를 실험실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공통적으로 사용하는데, 실험하는 시간이 그 실험실을 사용하는 두 번째 실험반이다보니 첫 번째 실험반에서 실험 후의 시료의 반응물을 시료통에 버리는 실수를 한 경우가 발생하여 제대로 된 시료를 사용하지 못하여서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3) 생각해볼 사항이나 궁금했던 점
- 실험을 하면서, 비커로 밀려나온 물의 양이 500~600 mL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시료를 가열하는 것을 멈추는 것이 궁금하여 조교님에게 물어보았는데, 시료의 가열반응이 이상적으로 되었을 때의 발생되는 산소의 부피가 500~600 mL 라는 것을 듣고 실험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였다.
- 이번 실험을 통해 얻은 이상기체 상수와 이론적인 이상기체 상수 사이의 오차율이 굉장히 컸었는데, 이론적인 이상기체 상수의 가까운 이상기체 상수를 구하기 위해 실험 장치에 추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치가 궁금하였다.
9. 참고문헌
서명
출판사
저자
출판연도
참고페이지
일반화학실험
천문각
대한화학회
2011
60-6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5555&cid=40942&categoryId=3225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5263&cid=47337&categoryId=47337
http://blog.naver.com/mclub3?Redirect=Log&logNo=10190551247
실험책 p.63 생각해볼 사항 1번, 3번
1번. 이 실험에서 사용하는 기체에 따라서 시약병에 넣는 액체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기체와 액체의 어떤 성질을 고려하여 액체를 선택해야 하는가?
시약병 안에 넣는 액체의 용해도가 크면 시료가 가열되었을 때 발생되는 기체가 시약병 안의 액체에 의해 용해되므로 용해도가 크지 않는 액체를 선택해야 한다.
3번. 이 실험에서 시약병 속에 산소 기체나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분 압력은 대기압과 수증기의 증기압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이런 계산이 가능한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이며, 어떤 경우에 그런 계산이 가능하겠는가?
용기 내부가 외부와 철저히 단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시약병 속 압력은 대기압과 동일하다. 시약병 안에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함께 들어있으므로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분 압력을 구하기 위해서 물의 온도에서 물의 증기압을 구하여 대기압에서 빼준다.
④ 실험에서 필요한 시료를 실험실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공통적으로 사용하는데, 실험하는 시간이 그 실험실을 사용하는 두 번째 실험반이다보니 첫 번째 실험반에서 실험 후의 시료의 반응물을 시료통에 버리는 실수를 한 경우가 발생하여 제대로 된 시료를 사용하지 못하여서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3) 생각해볼 사항이나 궁금했던 점
- 실험을 하면서, 비커로 밀려나온 물의 양이 500~600 mL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시료를 가열하는 것을 멈추는 것이 궁금하여 조교님에게 물어보았는데, 시료의 가열반응이 이상적으로 되었을 때의 발생되는 산소의 부피가 500~600 mL 라는 것을 듣고 실험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였다.
- 이번 실험을 통해 얻은 이상기체 상수와 이론적인 이상기체 상수 사이의 오차율이 굉장히 컸었는데, 이론적인 이상기체 상수의 가까운 이상기체 상수를 구하기 위해 실험 장치에 추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치가 궁금하였다.
9. 참고문헌
서명
출판사
저자
출판연도
참고페이지
일반화학실험
천문각
대한화학회
2011
60-6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5555&cid=40942&categoryId=3225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5263&cid=47337&categoryId=47337
http://blog.naver.com/mclub3?Redirect=Log&logNo=10190551247
실험책 p.63 생각해볼 사항 1번, 3번
1번. 이 실험에서 사용하는 기체에 따라서 시약병에 넣는 액체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기체와 액체의 어떤 성질을 고려하여 액체를 선택해야 하는가?
시약병 안에 넣는 액체의 용해도가 크면 시료가 가열되었을 때 발생되는 기체가 시약병 안의 액체에 의해 용해되므로 용해도가 크지 않는 액체를 선택해야 한다.
3번. 이 실험에서 시약병 속에 산소 기체나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분 압력은 대기압과 수증기의 증기압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이런 계산이 가능한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이며, 어떤 경우에 그런 계산이 가능하겠는가?
용기 내부가 외부와 철저히 단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시약병 속 압력은 대기압과 동일하다. 시약병 안에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함께 들어있으므로 이산화탄소 기체의 부분 압력을 구하기 위해서 물의 온도에서 물의 증기압을 구하여 대기압에서 빼준다.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 생활속의 산 염기 분석
일반화학실험 예비보고서
[일반화학실험] 고체의 녹는점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일반화학실험]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예비레포트
[일반화학실험] 화학 반응 속도
일반화학실험1 실험과정
일반화학실험_IR
일반화학실험_NMR 실험방법 및 보고서
[일반화학실험] (예비와 결과) 전기분해와 도금 -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서 일어나는 화학 반...
일반화학실험 - 산화, 환원적정
[일반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수소의 산화-환원반응...
[일반화학실험] 시계반응 예비보고서 : 시계반응을 이용해서 반응 속도의 차이가 큰 반응단계...
일반화학실험-산 염기 적정 A+레포트
일반화학실험 -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물감의 색소 분리 A+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