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Date
3. Object
4. Apparatus & Reagents
5. Theory
6. Procedure
7. Data &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2. Date
3. Object
4. Apparatus & Reagents
5. Theory
6. Procedure
7. Data &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진다.
- k이 값이 클수록 반응은 빨리 진행된다.
♡실험적용
→ 과산화수소를 요오드화칼륨 촉매를 써서 분해하면 산소와 물이 생성된다.
반응속도(v) = k[H2O2]m × [KI]n
3% H2O2(㎖)
0.15M KI(㎖)
증류수(㎖)
전체 부피(㎖)
반응 A
5
10
15
30
반응 B
10
10
10
30
반응 C
5
20
5
30
Va = k[5]m[10]n
Vb = k[10]m[10]n
Vc = k[5]m[20]n
log(Vb/Va) = mlog2 ≒ 0.3m
log(Vc/Va) = nlog2 ≒ 0.3n
6. Procedure
1) 기체부피 측정장치를 설치한다.
2) 반응 용기에 0.15M KI 10㎖와 증류수 15㎖를 넣고 흔들어주어서 혼합물의 온도가 물통에 담긴 물의 온도와 같아지도록 한다. 3% H2O2 용액 5㎖를 넣고 마개를 막은 다음 잘 흔들어준다. 이 때 체온 때문에 반응 용기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반응 용기의 끝 부분만 잡는 것이 좋다.
3) 약 2㎖의 산소가 발생될 때부터 시간을 재기 시작한다. 발생한 기체에 작용하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산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수위 조절 용기의 높이를 기체 부피 측정관의 물 높이에 따라서 움직이면서 산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해야 한다. 산소 기체가 2㎖씩 생성될 때마다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일을 산소 기체의 부피가 14㎖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4) 반응 용기를 증류수로 깨끗이 씻은 다음에 0.15M KI 용액 10㎖, 증류수 10㎖, 3%H2O2 용액 10㎖를 가지고 반복한다.
5) 4)와 같이 0.15M KI 용액 20㎖, 증류수 5㎖, 3% H2O2 용액 5㎖를 가지고 반복한다.
7. Data & Result
산소의 부피
(㎖)
반응 A
반응 B
반응 C
0.15M KI 10㎖
0.15M KI 10㎖
0.15M KI 20㎖
증류수 15㎖
증류수 10㎖
증류수 5㎖
3% H2O2 5㎖
3% H2O2 10㎖
3% H2O2 5㎖
2.0
55 sec
12 sec
31 sec
4.0
114 sec
28 sec
60 sec
6.0
192 sec
58 sec
80 sec
8.0
252 sec
77 sec
97 sec
10.0
300 sec
90 sec
157 sec
12.0
358 sec
100 sec
176 sec
14.0
413 sec
114 sec
193 sec
반응 속도
(㎖/sec)
0.0334
0.1129
0.0686
● 그래프[시간(초) - 부피(㎖)]
● 반응차수 m
log(Vb/Va) = mlog2 ≒ 0.3m
● 반응차수 n
log(Vc/Va) = nlog2 ≒ 0.3n
● 속도상수 k
8. Discussion
이번 실험은 목적은 화학반응의 속도식을 나타내는 데에 필요한 속도상수와 반응차수를 실험적으로 결정해보는 것이다. 반응속도는 활성화 에너지, 온도. 반응물의 농도. 반응물이 고체일 경우에는 표면적, 촉매, 압력의 영향을 받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반응물의 농도를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먼저 기체부피측정장치를 설치한 후, 반응 용기에 0.15M KI 10㎖와 증류수 15㎖를 넣고 흔들어주어서 혼합물의 온도가 물통에 담긴 물의 온도와 같아지도록 했다. 3% H2O2 용액 5㎖를 넣고 마개를 막은 다음 잘 흔들어준다. 이 때 반응 용기의 끝 부분만 잡는 것은 체온 때문에 반응 용기의 온도가 올라가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약 2㎖의 산소가 발생될 때부터 시간을 재기 시작했고, 수위 조절 용기의 높이를 기체 부피 측정관의 물 높이에 따라서 움직이면서 산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해야 했는데, 용기의 높이가 변한다면 발생한 기체에 압력이 다르게 가해져 반응속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산소 기체가 2㎖씩 생성될 때마다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일을 산소 기체의 부피가 14㎖가 될 때까지 반복했다. 반응 용기를 증류수로 깨끗이 씻은 다음에 각각 0.15M KI 용액 10㎖, 증류수 10㎖, 3%H2O2 용액 10㎖, 0.15M KI 용액 20㎖, 증류수 5㎖, 3% H2O2 용액 5㎖를 가지고 반복했다.
엑셀을 이용하여 표에 실험결과에 따라 표시한 점들을 이으면 일직선그래프의 기울기가 반응 속도가 된다. 반응 속도를 구한 결과 가장 농도가 낮았던 혼합물A( 0.15M KI 10㎖와 증류수 15㎖, 3% H2O2 용액 5㎖)의 반응 속도가 제일 낮았고, 혼합물B( 0.15M KI 10㎖와 증류수 10㎖, 3% H2O2 용액 10㎖)의 반응 속도가 제일 높았다. 혼합물C의 경우에는 혼합물A보다는 반응속도가 높았지만 혼합물C보다는 낮았다. 이 결과를 봤을 때, 반응물질의 농도가 높으면 반응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농도가 높아져 단위 부피속의 입자의 수가 증가하면 입자간 충돌횟수가 증가하여 반응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반응물이 두 개일 경우 한 반응물의 농도가 일방적으로 높은 것 보다 두 반응물 모두의 농도가 높은 쪽의 반응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속도 상수K의 값은 혼합물 A, B, C는 14.45, 12,15, 14.84가 나왔다. 속도 상수의 값은 반응속도와 반응물의 농도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값이므로 농도의 영향보다 각각의 특정한 반응, 온도, 촉매의 존재여부에 달라진다. 혼합물 A와 B의 속도상수를 비교해보면 속도상수의 값은 반응물질인 H2O2의 농도가 증가하고 속도상수의 값은 떨어지고 반응속도는 증가했다. 혼합물 A와 C를 비교 했을 때 반응물질인 KI(촉매지만 반응식에 쓰였기 때문에)의 농도가 증가하고 속도상수는 거의 변함이 없고 반응속도는 증가했다. 여기서 농도는 반응속도에 변화를 주지만 속도상수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프에 나온 계산값 R2이 1에 가까울수록 일정한 속도가 유지되는 것이며, 혼합물A.B.C 각각 0.996. 0.9716, 0.9737가 나왔다.
9. Reference
일반화학 / MASTERTONHURLEY / 자유아카데미 / 2002 / P 380 ~ 407
일반화학4th edition / John McMurry 외 1명 / 녹문당 / 2008 / P 444 ~ 482
- k이 값이 클수록 반응은 빨리 진행된다.
♡실험적용
→ 과산화수소를 요오드화칼륨 촉매를 써서 분해하면 산소와 물이 생성된다.
반응속도(v) = k[H2O2]m × [KI]n
3% H2O2(㎖)
0.15M KI(㎖)
증류수(㎖)
전체 부피(㎖)
반응 A
5
10
15
30
반응 B
10
10
10
30
반응 C
5
20
5
30
Va = k[5]m[10]n
Vb = k[10]m[10]n
Vc = k[5]m[20]n
log(Vb/Va) = mlog2 ≒ 0.3m
log(Vc/Va) = nlog2 ≒ 0.3n
6. Procedure
1) 기체부피 측정장치를 설치한다.
2) 반응 용기에 0.15M KI 10㎖와 증류수 15㎖를 넣고 흔들어주어서 혼합물의 온도가 물통에 담긴 물의 온도와 같아지도록 한다. 3% H2O2 용액 5㎖를 넣고 마개를 막은 다음 잘 흔들어준다. 이 때 체온 때문에 반응 용기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반응 용기의 끝 부분만 잡는 것이 좋다.
3) 약 2㎖의 산소가 발생될 때부터 시간을 재기 시작한다. 발생한 기체에 작용하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산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수위 조절 용기의 높이를 기체 부피 측정관의 물 높이에 따라서 움직이면서 산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해야 한다. 산소 기체가 2㎖씩 생성될 때마다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일을 산소 기체의 부피가 14㎖가 될 때까지 반복한다.
4) 반응 용기를 증류수로 깨끗이 씻은 다음에 0.15M KI 용액 10㎖, 증류수 10㎖, 3%H2O2 용액 10㎖를 가지고 반복한다.
5) 4)와 같이 0.15M KI 용액 20㎖, 증류수 5㎖, 3% H2O2 용액 5㎖를 가지고 반복한다.
7. Data & Result
산소의 부피
(㎖)
반응 A
반응 B
반응 C
0.15M KI 10㎖
0.15M KI 10㎖
0.15M KI 20㎖
증류수 15㎖
증류수 10㎖
증류수 5㎖
3% H2O2 5㎖
3% H2O2 10㎖
3% H2O2 5㎖
2.0
55 sec
12 sec
31 sec
4.0
114 sec
28 sec
60 sec
6.0
192 sec
58 sec
80 sec
8.0
252 sec
77 sec
97 sec
10.0
300 sec
90 sec
157 sec
12.0
358 sec
100 sec
176 sec
14.0
413 sec
114 sec
193 sec
반응 속도
(㎖/sec)
0.0334
0.1129
0.0686
● 그래프[시간(초) - 부피(㎖)]
● 반응차수 m
log(Vb/Va) = mlog2 ≒ 0.3m
● 반응차수 n
log(Vc/Va) = nlog2 ≒ 0.3n
● 속도상수 k
8. Discussion
이번 실험은 목적은 화학반응의 속도식을 나타내는 데에 필요한 속도상수와 반응차수를 실험적으로 결정해보는 것이다. 반응속도는 활성화 에너지, 온도. 반응물의 농도. 반응물이 고체일 경우에는 표면적, 촉매, 압력의 영향을 받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반응물의 농도를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먼저 기체부피측정장치를 설치한 후, 반응 용기에 0.15M KI 10㎖와 증류수 15㎖를 넣고 흔들어주어서 혼합물의 온도가 물통에 담긴 물의 온도와 같아지도록 했다. 3% H2O2 용액 5㎖를 넣고 마개를 막은 다음 잘 흔들어준다. 이 때 반응 용기의 끝 부분만 잡는 것은 체온 때문에 반응 용기의 온도가 올라가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약 2㎖의 산소가 발생될 때부터 시간을 재기 시작했고, 수위 조절 용기의 높이를 기체 부피 측정관의 물 높이에 따라서 움직이면서 산소 기체의 부피를 측정해야 했는데, 용기의 높이가 변한다면 발생한 기체에 압력이 다르게 가해져 반응속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산소 기체가 2㎖씩 생성될 때마다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일을 산소 기체의 부피가 14㎖가 될 때까지 반복했다. 반응 용기를 증류수로 깨끗이 씻은 다음에 각각 0.15M KI 용액 10㎖, 증류수 10㎖, 3%H2O2 용액 10㎖, 0.15M KI 용액 20㎖, 증류수 5㎖, 3% H2O2 용액 5㎖를 가지고 반복했다.
엑셀을 이용하여 표에 실험결과에 따라 표시한 점들을 이으면 일직선그래프의 기울기가 반응 속도가 된다. 반응 속도를 구한 결과 가장 농도가 낮았던 혼합물A( 0.15M KI 10㎖와 증류수 15㎖, 3% H2O2 용액 5㎖)의 반응 속도가 제일 낮았고, 혼합물B( 0.15M KI 10㎖와 증류수 10㎖, 3% H2O2 용액 10㎖)의 반응 속도가 제일 높았다. 혼합물C의 경우에는 혼합물A보다는 반응속도가 높았지만 혼합물C보다는 낮았다. 이 결과를 봤을 때, 반응물질의 농도가 높으면 반응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농도가 높아져 단위 부피속의 입자의 수가 증가하면 입자간 충돌횟수가 증가하여 반응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반응물이 두 개일 경우 한 반응물의 농도가 일방적으로 높은 것 보다 두 반응물 모두의 농도가 높은 쪽의 반응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속도 상수K의 값은 혼합물 A, B, C는 14.45, 12,15, 14.84가 나왔다. 속도 상수의 값은 반응속도와 반응물의 농도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값이므로 농도의 영향보다 각각의 특정한 반응, 온도, 촉매의 존재여부에 달라진다. 혼합물 A와 B의 속도상수를 비교해보면 속도상수의 값은 반응물질인 H2O2의 농도가 증가하고 속도상수의 값은 떨어지고 반응속도는 증가했다. 혼합물 A와 C를 비교 했을 때 반응물질인 KI(촉매지만 반응식에 쓰였기 때문에)의 농도가 증가하고 속도상수는 거의 변함이 없고 반응속도는 증가했다. 여기서 농도는 반응속도에 변화를 주지만 속도상수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프에 나온 계산값 R2이 1에 가까울수록 일정한 속도가 유지되는 것이며, 혼합물A.B.C 각각 0.996. 0.9716, 0.9737가 나왔다.
9. Reference
일반화학 / MASTERTONHURLEY / 자유아카데미 / 2002 / P 380 ~ 407
일반화학4th edition / John McMurry 외 1명 / 녹문당 / 2008 / P 444 ~ 482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sulfite를 이용한 효소반응 억제
[화학실험] 비누화반응
[화학공학기초실험] 3.초산에틸의 비누화 반응
[화학]진동반응,시계 반응 결과보고서
30. 옥살레이트-철 착화합물의 합성과 광화학 반응
[일반화학및실험] 옥살레이트-철 착화합물의 합성과 광화학 반응
열화학 반응-레포트 월드
[일반화학실험] (예비와 결과) 전기분해와 도금 -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서 일어나는 화학 반...
물리화학실험(설탕반전반응)[1][1]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 색깔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착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
[일반화학실험] 반응열 측정 : 화학 반응에서의 엔탈피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헤스의 법칙을 ...
[일반화학실험] 반응열 측정과 헤스(Hess)의 법칙 : 고체 수산화 나트륨과 염산의 중화반응을...
[유기실험2] 광화학 반응 PhotoReaction : 광화학 반응으로 생성된 생성물을 알아본 후, 수득...
[화학 보고서] 산-염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 에너지와 탄화수소, 유기화합물과 고분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