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
1. 정의적 측면
2. 인지적 측면
II.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역할
1.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역할
2.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
3. 상담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
III.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보고 느낀 점
IV. 참고자료
1. 정의적 측면
2. 인지적 측면
II.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역할
1.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역할
2.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
3. 상담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
III.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보고 느낀 점
IV. 참고자료
본문내용
러므로 교사가 영아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영아들의 마음을 읽어 주는 지도 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다섯째, 격려해 주기이다. 영아들의 작은 언어와 행동에 교사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신의 마음을 읽어 줄 뿐 아니라 격려를 한다면 영아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가는데 있어서 많은 용기를 얻게 된다.
여섯째, 함께 놀아주기이다. 영아들이 자신을 담당하는 교사가 끊임없는 관심을 갖고, 함께 놀아주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교사에 대한 불안이 애착으로 변화되고 안정적인 어린이집 적응단계에 들어서게 된다.
일곱째, 어려움 돕기이다. 적응단계에 있는 영아들이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개인차가 있지만 처음에는 대부분 기본생활습관과 관련되어 있다. 영아들의 경우 기본생활습관이 형성되기 이전에 입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장실 이용하기와 식사하기, 양치질하기, 낮잠 자기, 신발 신고 벗기 등 상기 행동에 어려움을 나타낸다. 어려움을 겪는 영아들을 최선을 다하여 돕는 교사의 태도는 영아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여덟째, 따뜻하게 대하기이다. 영아들이 적응을 시작할 때, 애정을 가지고 변함없이 따뜻하게 대하는 교사의 언어, 표정, 몸짓은 영아들의 적응을 돕는 정서적 지원이 된다.
아홉째, 규칙 알려주기이다. 영아들의 적응을 돕는 교사는 영아들이 단체생활에 적응하고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규칙을 알려주는 역할수행을 해야 하므로 알려주기(모델링, 지시), 혼내기, 기다리기 등의 지도방법을 잘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도방법을 통해 교사들은 영아들이 적응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심리적 손상을 줄이면서 어린이집에 원만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IV. 참고자료
김연숙(2009).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대한 실행연구(20-40개월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유미(2007). 영아의 적응을 위한 교사의 보육활동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혜경(1995). 한국현대유아교육사. 양서원.
양옥승(2001). 유아교육개론. 학지사.
양옥승(2003). 21세기 바람직한 유아교육에 대한 한국유아교육학회의 입장. 정민사.
유명숙(1998). 내일을 여는 유아교육. 한국유아교육정보.
이기숙(2005). 유아교육개론. 양서원.
이정환(2004). 유아교육 교수학습방법. 교문사.
전인옥(2001).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위한 유아 체육활동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다섯째, 격려해 주기이다. 영아들의 작은 언어와 행동에 교사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신의 마음을 읽어 줄 뿐 아니라 격려를 한다면 영아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가는데 있어서 많은 용기를 얻게 된다.
여섯째, 함께 놀아주기이다. 영아들이 자신을 담당하는 교사가 끊임없는 관심을 갖고, 함께 놀아주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교사에 대한 불안이 애착으로 변화되고 안정적인 어린이집 적응단계에 들어서게 된다.
일곱째, 어려움 돕기이다. 적응단계에 있는 영아들이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개인차가 있지만 처음에는 대부분 기본생활습관과 관련되어 있다. 영아들의 경우 기본생활습관이 형성되기 이전에 입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장실 이용하기와 식사하기, 양치질하기, 낮잠 자기, 신발 신고 벗기 등 상기 행동에 어려움을 나타낸다. 어려움을 겪는 영아들을 최선을 다하여 돕는 교사의 태도는 영아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여덟째, 따뜻하게 대하기이다. 영아들이 적응을 시작할 때, 애정을 가지고 변함없이 따뜻하게 대하는 교사의 언어, 표정, 몸짓은 영아들의 적응을 돕는 정서적 지원이 된다.
아홉째, 규칙 알려주기이다. 영아들의 적응을 돕는 교사는 영아들이 단체생활에 적응하고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규칙을 알려주는 역할수행을 해야 하므로 알려주기(모델링, 지시), 혼내기, 기다리기 등의 지도방법을 잘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도방법을 통해 교사들은 영아들이 적응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심리적 손상을 줄이면서 어린이집에 원만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IV. 참고자료
김연숙(2009).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대한 실행연구(20-40개월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유미(2007). 영아의 적응을 위한 교사의 보육활동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혜경(1995). 한국현대유아교육사. 양서원.
양옥승(2001). 유아교육개론. 학지사.
양옥승(2003). 21세기 바람직한 유아교육에 대한 한국유아교육학회의 입장. 정민사.
유명숙(1998). 내일을 여는 유아교육. 한국유아교육정보.
이기숙(2005). 유아교육개론. 양서원.
이정환(2004). 유아교육 교수학습방법. 교문사.
전인옥(2001).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위한 유아 체육활동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추천자료
2010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유아교육개념,유아교사의역할과교수행동)
2011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유아교육의필요성,부모교육)
2011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유아교육의 중요성,보육/교육시설과환경)
2013년 동계계절시험 유아교육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유아교육개론]반편견교육 - 반편견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및 목적과 교육과정, 반편견 교육내...
유아교육개론_ 중국의 유아교육 제도
[유아교육개론] 중국 유아교육 과정 및 실제 _ 조선족 유치원의 교육목표 및 중국의 교육내용...
2016년/1학기/유아교육개론/중간시험과제물/D형/교수학습매체/교재교구/유아교육의필요성
2017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하이, 스코프(high, scope) 프로그램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대중매체의 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