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원인
ⅱ. 병태생리
ⅲ. 발작의 종류 및 증상 과 징후
ⅳ. 협동적 관리
ⅴ. 간호
ⅱ. 병태생리
ⅲ. 발작의 종류 및 증상 과 징후
ⅳ. 협동적 관리
ⅴ. 간호
본문내용
ful suboccipital transection)
: 발작을 일으키는 모든 부분과 두 개내의 입체적 용량 측정 고주파 병소에 적절
3) 뇌량절개술 (corpus callosotomy)
: 전통적 외과 접근법으로 다른 수술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긴장성-간대성 발작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
뇌량의 앞쪽2/3를 절제하여 양쪽 대뇌반구 사이에 신경계 방전을 막아줌
ⅴ. 간호
간호진단
비효과적 기도청결의 위험
간호중재
기도유지 위해 목 주위 옷을 느슨하게 해줌
환자를 측위로 돌려 눕힘
입을 억지로 벌리려 하지 않음
처방에 따라 마스크로 산소 공급
경련하는 동안 가족에게 기도폐색 예방법 교육
간호진단
불안
간호중재
염려하는 것이 정상임을 설명
경련으로 인한 사회활동위축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안전한 일상활동에 대해 설명
자조모임에 대한 정보 제공
간호진단
지식결핍
간호중재
간질환자의 간호는 장기간에 걸친 계획을 세워야 함
가능하다면 원인규명 시도, 반복적 발작 예방
대상자와 환경과의 관계 이해
적절한 휴식과 수면제공, 가능한 한 생활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계획 세우도록지지
규칙적으로 정상적 일상생활, 식이, 운동 권장
심한 에너지 소모와 정서적 과잉자극, 알코올 음료 섭취 금함
대상자 가족의 치료에 대한 협조는 매우 중요함.
대상자와 가족이 치료방법에 확신을 가지고 처방된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도록 함
간호 서비스 중 가장 중요한 점 : 대상자나 가족의 간질에 대한 태도 교정
간질환자는 물론 모든 대중에게 간질에 대한 올바른 교육 필요
간질은 조절 가능, 환자와 가족에게 희망을 주고 지속적 지지를 제공해야 함
긴장성- 간대성 발작이나 부분발작 대상자 간호
대상자 침대 곁에 인공 구강기도, 설압자, 흡인장비를 갖춤
손상 받지 않도록 대상자 주변의 위험한 물건을 치우고 특히 머리를 보호함
대발작 시 깨끗한 천이나 손수건으로 싼 설압자를 치아 사이에 넣어 혀를 깨물지 않게 함
설압자를 강제로 넣거나 억지로 턱을 벌려서는 안 됨
대상자의 침대를 가장 낮은 위치로 유지, 침대난간을 패드로 덧대어서 싸줌
대상자를 옆으로 돌려 눕힘
대상자가 죄는 옷을 입었다면 느슨하게 해줌, 특히 목 주위를 느슨하게 하여 호흡을 도와줌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 필요하면 흡인함
구강으로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음
억제대로 인해 손상 받을 수 있으므로 발작 중에 대상자를 억제하지 않음
발작이 끝났을 때
- 완전한 반응을 보일 때까지 대상자 곁을 지킴
-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함
- 신경계 검사를 수행함
- 대상자를 옆으로 눕힘
- 대상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함
- 발작의 양상과 기간을 기록함
간질 중첩증 환자 간호
기도확보 후 산소제공, 흡인예방을 위해 측위를 취해줌. 이를 악물지 않도록 개구기를 삽입하고 마스크로 산소 공급. 발작조절을 위한 약물투여로 호흡억제발생시 기도삽관이 필요할 수 있음
약물 투여하고 수분공금을 위해 정맥 주입로 확보
전해질과 동맥혈가스 측정하고, 원인배제를 위한 독성검사를 위해 혈액체취
발작을 멈추기 위해 benzodiazepine 투여한다. (대개 lorazepam-Ativan이나 diazepam-Valium)
항경련제를 투여 한다. (benzodiazepine 투여시작과 동시에 phenytoin-Dilantin을 투여)
발작의 원인 계속적 탐색
참고문헌
- 김금순외 (2016), 성인간호학 2, 수문사 p. 1281-1284
-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282-1284
-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497-502
-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3, 정담미디어, 1981-1992
네오필 편집 (2015) 간호사 국가시험 문제집
: 발작을 일으키는 모든 부분과 두 개내의 입체적 용량 측정 고주파 병소에 적절
3) 뇌량절개술 (corpus callosotomy)
: 전통적 외과 접근법으로 다른 수술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긴장성-간대성 발작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
뇌량의 앞쪽2/3를 절제하여 양쪽 대뇌반구 사이에 신경계 방전을 막아줌
ⅴ. 간호
간호진단
비효과적 기도청결의 위험
간호중재
기도유지 위해 목 주위 옷을 느슨하게 해줌
환자를 측위로 돌려 눕힘
입을 억지로 벌리려 하지 않음
처방에 따라 마스크로 산소 공급
경련하는 동안 가족에게 기도폐색 예방법 교육
간호진단
불안
간호중재
염려하는 것이 정상임을 설명
경련으로 인한 사회활동위축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안전한 일상활동에 대해 설명
자조모임에 대한 정보 제공
간호진단
지식결핍
간호중재
간질환자의 간호는 장기간에 걸친 계획을 세워야 함
가능하다면 원인규명 시도, 반복적 발작 예방
대상자와 환경과의 관계 이해
적절한 휴식과 수면제공, 가능한 한 생활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계획 세우도록지지
규칙적으로 정상적 일상생활, 식이, 운동 권장
심한 에너지 소모와 정서적 과잉자극, 알코올 음료 섭취 금함
대상자 가족의 치료에 대한 협조는 매우 중요함.
대상자와 가족이 치료방법에 확신을 가지고 처방된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도록 함
간호 서비스 중 가장 중요한 점 : 대상자나 가족의 간질에 대한 태도 교정
간질환자는 물론 모든 대중에게 간질에 대한 올바른 교육 필요
간질은 조절 가능, 환자와 가족에게 희망을 주고 지속적 지지를 제공해야 함
긴장성- 간대성 발작이나 부분발작 대상자 간호
대상자 침대 곁에 인공 구강기도, 설압자, 흡인장비를 갖춤
손상 받지 않도록 대상자 주변의 위험한 물건을 치우고 특히 머리를 보호함
대발작 시 깨끗한 천이나 손수건으로 싼 설압자를 치아 사이에 넣어 혀를 깨물지 않게 함
설압자를 강제로 넣거나 억지로 턱을 벌려서는 안 됨
대상자의 침대를 가장 낮은 위치로 유지, 침대난간을 패드로 덧대어서 싸줌
대상자를 옆으로 돌려 눕힘
대상자가 죄는 옷을 입었다면 느슨하게 해줌, 특히 목 주위를 느슨하게 하여 호흡을 도와줌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 필요하면 흡인함
구강으로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음
억제대로 인해 손상 받을 수 있으므로 발작 중에 대상자를 억제하지 않음
발작이 끝났을 때
- 완전한 반응을 보일 때까지 대상자 곁을 지킴
-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함
- 신경계 검사를 수행함
- 대상자를 옆으로 눕힘
- 대상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함
- 발작의 양상과 기간을 기록함
간질 중첩증 환자 간호
기도확보 후 산소제공, 흡인예방을 위해 측위를 취해줌. 이를 악물지 않도록 개구기를 삽입하고 마스크로 산소 공급. 발작조절을 위한 약물투여로 호흡억제발생시 기도삽관이 필요할 수 있음
약물 투여하고 수분공금을 위해 정맥 주입로 확보
전해질과 동맥혈가스 측정하고, 원인배제를 위한 독성검사를 위해 혈액체취
발작을 멈추기 위해 benzodiazepine 투여한다. (대개 lorazepam-Ativan이나 diazepam-Valium)
항경련제를 투여 한다. (benzodiazepine 투여시작과 동시에 phenytoin-Dilantin을 투여)
발작의 원인 계속적 탐색
참고문헌
- 김금순외 (2016), 성인간호학 2, 수문사 p. 1281-1284
-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282-1284
-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497-502
-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3, 정담미디어, 1981-1992
네오필 편집 (2015) 간호사 국가시험 문제집
추천자료
알코올성 정신병
중증요양시설 생활인의 특성과 지도방법
오정희의 옛우물을 읽고
신경계, SDH(Subdural Hematoma) Case study
경막 외 혈종(EDH) , 경막 하 혈종(SDH)
Febril convulsion 열성 경련 이론적 고찰
[뇌졸중][중풍]뇌졸중(중풍)의 정의, 뇌졸중(중풍)의 유형, 뇌졸중(중풍)의 원인, 뇌졸중(중...
출혈성 뇌혈관 질환
투약. 약물간호. 용법. 용량. 작용. 부작용
임상생리문제 (113문제)
치매 환자 간호 (정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약물, 간호).ppt
발달장애 -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지적장애
91세 골절환자 낙상위험성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