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EDH 경막 외 혈종정의
호발연령
병리
증상
치료법
간호내용
(2 SDH 경막 하 혈종급성 경막하 혈종 (Acute subdural hematoma)
1) 병리
2) 증상
3) 진단
4) 치료
5) 예후
만성 경막하 혈종 (Chronec subdural hematoma)
1) 병리
2) 증상
3) 진단
4) 검사소견
5) 치료
6) 예후
(3)참고
1) craniotomy (개두술)
2) Hematoma (혈종)
(1) EDH 경막 외 혈종
호발연령
병리
증상
치료법
간호내용
(2 SDH 경막 하 혈종급성 경막하 혈종 (Acute subdural hematoma)
1) 병리
2) 증상
3) 진단
4) 치료
5) 예후
만성 경막하 혈종 (Chronec subdural hematoma)
1) 병리
2) 증상
3) 진단
4) 검사소견
5) 치료
6) 예후
(3)참고
1) craniotomy (개두술)
2) Hematoma (혈종)
(1) EDH 경막 외 혈종
본문내용
wist drill을 이용한 두개조루술로 혈종을 제거할 수 있다.
① 천공술
- 장기간 관찰결과 혈종 피막은 잔류 혈종과 함께 대개 흡수되므로 반드시 제거 안해도 무방하며 피막을 제거하여도 재발율이 현저히 낮지 않다.
- 혈종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종 피막은 혈종을 흡수하는 기능도 있으며 혈종을 배출함에 따라 피막의 두께와 혈관분포가 감소하게 되고, 혈종속의 항응고인자가 제거되어 신생모세혈관의 반복되는 출혈이 멎게 되고 섬유화가 된다.
- 방법 : 혈종이 가장 두텁게 생긴 부위에 1-2개의 burr hole(천두공)을 만들고 경막과 두껍게 형성된 외막을 절개한 후 혈종강에 도관을 삽입하고 효율적으로 잔류혈종이 배출되도록 두부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수일간 자연배액 시키되 조기에 너무 많은 혈종이 빠지지 않도록 배액 cath.의 높이를 정상두개압에 고정시켜 배액해야 기뇌증, 경막하 및 뇌내출혈의 병발증을 줄일 수 있다.
② 개두술
- 개두술 및 피막제거술은 단순 배출술 후에 재발하였거나, 혈종이 고형성(solid)이거나 또는 뇌팽창이 안되어 오랫동안 경막하강 (subdural space)이 소실되지 않은 경우에 고려하여야 한다.
- 만성 경막하 혈종의 경우는 개두술을 시행하여 응혈을 제거하고 재응집을 예방하기 위해 주위의 말을 제거해야 한다.
③ 부신피질호르몬 (corticosteroid) 투여
- 수술적 방법을 대신하여 시행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경미한 증상만이 있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만성 경막하혈종 환자들에게 사용할 수 있다.
6) 예후
① 약 75%가 치유되어 정상생활
② 수술 당시 의식상태에 비례하는데 Mckissock 등은 수술 당시 의식이 없거나 반혼수 상태일 경우 13%, alert나 drowsy일 경우 5%의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다.
③ 수술 후 간질 발작이 약 10%에서 보고되고 있으므로 수술 후 항경련제 투여를 반드시 하여야 한다.
(3) 참고
1) craniotomy (개두술)
: 두개에 대한 모든 외과적 개방으로 뇌내압감소, 출혈조절, 종양제거를 위해 적용된다. 수술 전에 두개의 X선 촬영을 하고,CT스캔이나 뇌파 검사로 확진한다. 수술 부위는 면도하고 깨끗이 한다. 뇌부종을 감소 시키기 위해 비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 mannitol과 urea는 뇌내압을 낮추기 위해 처방된다. 환자를 마취시키지는 않지만 신경안정제가 국소마취와 병용될수 있고 전신마취를 할 수 있다. 반원형의 피부절개 후 burr hole들이 만들어지고 cut가 연결되어 뼈의 피판(flap)이 제거된다. 이후 수막이 절개되고 뇌가 노출된다. 피판은 수술 후 제자리에 놓거나 뇌부종으로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제거한다. 만약 수술시 대뇌의 영역이 포함되었다면 출혈과 부종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술 후 환자 침대 머리를 45°로 올린다. 소뇌나 뇌간이 영향을 받았다면 환자를 평평하게 누인다. 상처 치료는 뇌척수액이 배약되는지 자주 관찰하고, 모든 젖은 부위는 감염을 막기위해 멸균재료를 사용한다. 의식, 말, 힘의 수준을 포함하는 신경학적 징후를 자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2) Hematoma (혈종)
: 외상또는 수술 후 불완전한 지혈로 인해 피부조직이나 기관으로 혈액이 유출되어 고인 것, 처음에는 공간 내로 출혈이 있게 되나, 공간이 제한되면 압력이 혈류를 느리게 하다가 정지시킨다. 혈액이 응고되고 혈청이 모이며 혈병은 경화되어 덩어리가 촉진되고 환자는 가끔 통증을 느낀다. 초기에는 배액하기도 하며, 압력을 주어 지혈시키거나 필요하면 출혈 혈관의 외과적 결찰을 한다. 다량의 혈액이 손실될 수도 있으며, 감염이 심각한 합병증이다.
① 천공술
- 장기간 관찰결과 혈종 피막은 잔류 혈종과 함께 대개 흡수되므로 반드시 제거 안해도 무방하며 피막을 제거하여도 재발율이 현저히 낮지 않다.
- 혈종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종 피막은 혈종을 흡수하는 기능도 있으며 혈종을 배출함에 따라 피막의 두께와 혈관분포가 감소하게 되고, 혈종속의 항응고인자가 제거되어 신생모세혈관의 반복되는 출혈이 멎게 되고 섬유화가 된다.
- 방법 : 혈종이 가장 두텁게 생긴 부위에 1-2개의 burr hole(천두공)을 만들고 경막과 두껍게 형성된 외막을 절개한 후 혈종강에 도관을 삽입하고 효율적으로 잔류혈종이 배출되도록 두부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수일간 자연배액 시키되 조기에 너무 많은 혈종이 빠지지 않도록 배액 cath.의 높이를 정상두개압에 고정시켜 배액해야 기뇌증, 경막하 및 뇌내출혈의 병발증을 줄일 수 있다.
② 개두술
- 개두술 및 피막제거술은 단순 배출술 후에 재발하였거나, 혈종이 고형성(solid)이거나 또는 뇌팽창이 안되어 오랫동안 경막하강 (subdural space)이 소실되지 않은 경우에 고려하여야 한다.
- 만성 경막하 혈종의 경우는 개두술을 시행하여 응혈을 제거하고 재응집을 예방하기 위해 주위의 말을 제거해야 한다.
③ 부신피질호르몬 (corticosteroid) 투여
- 수술적 방법을 대신하여 시행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경미한 증상만이 있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만성 경막하혈종 환자들에게 사용할 수 있다.
6) 예후
① 약 75%가 치유되어 정상생활
② 수술 당시 의식상태에 비례하는데 Mckissock 등은 수술 당시 의식이 없거나 반혼수 상태일 경우 13%, alert나 drowsy일 경우 5%의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다.
③ 수술 후 간질 발작이 약 10%에서 보고되고 있으므로 수술 후 항경련제 투여를 반드시 하여야 한다.
(3) 참고
1) craniotomy (개두술)
: 두개에 대한 모든 외과적 개방으로 뇌내압감소, 출혈조절, 종양제거를 위해 적용된다. 수술 전에 두개의 X선 촬영을 하고,CT스캔이나 뇌파 검사로 확진한다. 수술 부위는 면도하고 깨끗이 한다. 뇌부종을 감소 시키기 위해 비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 mannitol과 urea는 뇌내압을 낮추기 위해 처방된다. 환자를 마취시키지는 않지만 신경안정제가 국소마취와 병용될수 있고 전신마취를 할 수 있다. 반원형의 피부절개 후 burr hole들이 만들어지고 cut가 연결되어 뼈의 피판(flap)이 제거된다. 이후 수막이 절개되고 뇌가 노출된다. 피판은 수술 후 제자리에 놓거나 뇌부종으로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제거한다. 만약 수술시 대뇌의 영역이 포함되었다면 출혈과 부종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술 후 환자 침대 머리를 45°로 올린다. 소뇌나 뇌간이 영향을 받았다면 환자를 평평하게 누인다. 상처 치료는 뇌척수액이 배약되는지 자주 관찰하고, 모든 젖은 부위는 감염을 막기위해 멸균재료를 사용한다. 의식, 말, 힘의 수준을 포함하는 신경학적 징후를 자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2) Hematoma (혈종)
: 외상또는 수술 후 불완전한 지혈로 인해 피부조직이나 기관으로 혈액이 유출되어 고인 것, 처음에는 공간 내로 출혈이 있게 되나, 공간이 제한되면 압력이 혈류를 느리게 하다가 정지시킨다. 혈액이 응고되고 혈청이 모이며 혈병은 경화되어 덩어리가 촉진되고 환자는 가끔 통증을 느낀다. 초기에는 배액하기도 하며, 압력을 주어 지혈시키거나 필요하면 출혈 혈관의 외과적 결찰을 한다. 다량의 혈액이 손실될 수도 있으며, 감염이 심각한 합병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