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무의식과 실어증 환자의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무의식과 실어증 환자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이와 같 은 말투는 사용하지 말아야 함
-목소리의 높이나 얼굴표정, 몸짓 등을 통해서도 의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함
7. 실어증 환자의 간호
-수용실어증은 외부의 자극을 받는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사물과 인식과 다른 사람의 말 에 대한 이해와 독해력의 측면에 장해가 나타나는 것
-표출실어증은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의 장해로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말, 몸짓, 글로 다 른 사람에게 전하는 것에 문제
-언어치료는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
-언어병리학자가 재활팀의 일원으로 실어증환자를 치료
-언어병리학자는 남아 있는 언어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정확하고 일관성 있도록 원 조
-치료기간은 환자의 능력과 요구에 부응해서 개별적으로 정함
-뇌의 손상 부위가 치유되면 말과 글, 몸짓에 의한 의사소통 능력은 개선
-환자가 자신의 잠재적 의사소통 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잇도록 도와줌
-환자와 가족이 환자의 곤란한 시기를 이겨낼 수 잇기 위한 원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
-환자가 수시로 사용하는 물건을 그림으로 그려서 그 그림 밑에 물건의 이름을 기재한 카드를 이용
-의사소통을 기하기 위해서 작은 칠판이나 magic board를 사용
-실어증 환자가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력과 청력에 대해서도 세심한 주위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
-불필요한 노력을 시켜서라도 환자에게 말하는 동기를 부여
-복잡한 문장보다는 단문으로 하나의 생각을 전달
-대화는 환자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중심
-추상적인 화제와 환자가 잘 모르는 화제는 피하는 것
-환자에게 질문에 응답하는 데 걸리는 충분한 시간을 부여
-칭찬은 환자에게 한 층 더 노력을 기울이게 하는 자극제
-중용을 지키는 태도로 환자를 받아 들이는 것이 중요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 필요
-환자의 언어훈련은 환자상태가 가장 좋은 시간을 이용해서 시행
-환자를 집단 언어치료 활동에 참가
-가족은 환자의 언어치료에 동참
-간호사와 가족은 효과적인 언어에 대한 의사소통의 확립과 유지를 촉진하는 적극적이고 수용적인 분위기 조성
★참 고 문 헌★
전산초(1980), 성인 간호학, 수문사, p.p 569~573.
조유향(1996), 노인 간호학, 현문사, p.p 285~289.
서문자 회 7인(1997), 성인 간호학(하), 수문사, p.p 1476~1482.
대한간호학회 성인간호학회 편(1999), 성인간호학 참고교재, 대한간호협회, p.p 546~548.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04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