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련된 통증
통증과 불편감이 감소한다.
처방에 따라 대상자의 통증 및 불편감 정도를 고려하여 meperidine (Demerol)을 자주 투여한다.
진통제 투여 전·후의 통증수준을 사정한다.
완화되지 않은 통증이나 강도가 증가하는 통증은 보고 한다.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시킨다.
통증이 완화되었음을 보고한다.
움직이거나 체위변경 시에 통증과 불편감이 심해지지 않는다.
편안하게 휴식하고 수면을 취하는 시간이 증가한다.
통증발작, 불편감, 경련 등의 호소가 감소한다.
췌장의 자극이 감소한다.
처방대로 자율신경 차단제를 투여한다.
구강섭취를 금한다.
침상안정시키고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지속적으로 비위관을 흡인한다.
일정한 간격으로 위분비액을 측정한다.
위분비물의 색과 점도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비위관의 개존을 유지해 자연배액이 되도록 한다.
통증, 불편감, 복부경련이 완화되었음을 말한다.
급성기에 수분과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다.
침상안정을 유지한다.
위장 팽창이 감소한다.
비위관 흡인과 관련된 불편감이 제거된다.
콧구멍 주위에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다.
일정 간격으로 체위를 변경시킨다. 비위관에 압력과 긴장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비위관 배액의 이유를 설명한다.
비위관이 삽입된 비공의 피부 및 조직에 손상이 없다.
콧구멍이나 구강인두에 통증이 없다고 말한다.
구강간호로 갈증이 제거되었다고 말한다.
비위관 흡인의 이유를 설명한다.
구토, 설사, 발열, 발한, 수분이동과 관련된 체액부족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유지된다.
수분과 전해질 상태를 사정한다.(피부 긴장도, 점막, 요량, 활력징후)
수분과 전해질의 상실 원인을 사정한다.(구토, 설사, 비위관 배액, 지나친 발한)
금식이 아니면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쇼크를 치료한다.
-처방대로 corticosteroid를 투여한다.
- 소변량을 검사하고, 시간당 50cc를 유지하도록 한다.
처방대로 전해질을 정맥투여한다.(sodium, potassium, chloride)
필요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맥주사용 calcium gluconate를 준비해 놓는다.
복수 여부를 사정한다.
매일 복부 둘레를 측정한다.
매일 섭취량과 배설량, 체중을 측정한다.
점막이 촉촉하고 피부의 긴장도가 정상이다.
체위성저혈압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혈압을 유지한다.
소변량이 정상이다.
지나친 갈증이 없다.
맥바과 호흡수가 정상이다.
동맥압과 혈액가스 수치가 정상이다.
전해질 수치가 정상이다.
칼슘결핍의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
구토, 설사, 발한으로 인한 수분과 전해질 상실이 없다.
체중이 안정되어 있다.
복부 둘레가 증가하지 않는다.
복부 촉진 시 이상소견이 없다.
부적절한 식이섭취, 췌장 분비 손상, 급성질환, 체온 상승 등으로 인한 영양요구의 증가와 관련된 영양부족
영양상태가 증진된다.
최근의 영양상태와 증가된 대사요구량 사정한다.
혈당수치를 검사해 처방대로 인슐린을 투여한다.
처방대로 비경구 영양을 공급하고,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투여한다.
위기가 지나가면 고탄수화물, 저단백, 저지방식이를 제공한다.
대상자에게 알코올을 금하도록 교육한다.
커피와 향료음식을 지나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정상적인 체중을 유지한다.
더 이상 체중이 감소되지 않는다.
혈당치가 정상이다.
구토와 설사의 횟수가 줄어든다.
배변습관과 변의 특성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고탄수화물, 저지방, 저단백식이를 섭취한다.
고탄수화물, 저지방, 저단백식이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식이에서 알코올을 제거한다.
커피섭취를 제한하고, 향료음식을 피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심한 통증, 폐침윤, 늑막삼출, 무기폐 등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호흡회수와 양상이 정상범위 내에 있다.
호흡상태(횟수, 양상, 소리), 폐 기능을 사정한다.
반좌위를 유지한다.
매 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한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
처방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저산소증 시 비강으로 산소를 투여한다.
호흡수와 양상이 정상이며, 폐확장이 충분하다.
호흡음이 정상이다.
동맥혈 가스 수치가 정상이다.
침상에 있을 때 반좌위를 유지한다.
호흡기 합병증이 없다.
자주 체위를 변경한다.
최소한 1시간마다 기침과 심호흡을 한다.
호흡기 감염이나 손상을 의미하는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
(6) 간호
참고문헌
김금순(2014).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573-577
조경숙(2013).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470-474
통증과 불편감이 감소한다.
처방에 따라 대상자의 통증 및 불편감 정도를 고려하여 meperidine (Demerol)을 자주 투여한다.
진통제 투여 전·후의 통증수준을 사정한다.
완화되지 않은 통증이나 강도가 증가하는 통증은 보고 한다.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시킨다.
통증이 완화되었음을 보고한다.
움직이거나 체위변경 시에 통증과 불편감이 심해지지 않는다.
편안하게 휴식하고 수면을 취하는 시간이 증가한다.
통증발작, 불편감, 경련 등의 호소가 감소한다.
췌장의 자극이 감소한다.
처방대로 자율신경 차단제를 투여한다.
구강섭취를 금한다.
침상안정시키고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지속적으로 비위관을 흡인한다.
일정한 간격으로 위분비액을 측정한다.
위분비물의 색과 점도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비위관의 개존을 유지해 자연배액이 되도록 한다.
통증, 불편감, 복부경련이 완화되었음을 말한다.
급성기에 수분과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다.
침상안정을 유지한다.
위장 팽창이 감소한다.
비위관 흡인과 관련된 불편감이 제거된다.
콧구멍 주위에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다.
일정 간격으로 체위를 변경시킨다. 비위관에 압력과 긴장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비위관 배액의 이유를 설명한다.
비위관이 삽입된 비공의 피부 및 조직에 손상이 없다.
콧구멍이나 구강인두에 통증이 없다고 말한다.
구강간호로 갈증이 제거되었다고 말한다.
비위관 흡인의 이유를 설명한다.
구토, 설사, 발열, 발한, 수분이동과 관련된 체액부족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유지된다.
수분과 전해질 상태를 사정한다.(피부 긴장도, 점막, 요량, 활력징후)
수분과 전해질의 상실 원인을 사정한다.(구토, 설사, 비위관 배액, 지나친 발한)
금식이 아니면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쇼크를 치료한다.
-처방대로 corticosteroid를 투여한다.
- 소변량을 검사하고, 시간당 50cc를 유지하도록 한다.
처방대로 전해질을 정맥투여한다.(sodium, potassium, chloride)
필요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맥주사용 calcium gluconate를 준비해 놓는다.
복수 여부를 사정한다.
매일 복부 둘레를 측정한다.
매일 섭취량과 배설량, 체중을 측정한다.
점막이 촉촉하고 피부의 긴장도가 정상이다.
체위성저혈압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혈압을 유지한다.
소변량이 정상이다.
지나친 갈증이 없다.
맥바과 호흡수가 정상이다.
동맥압과 혈액가스 수치가 정상이다.
전해질 수치가 정상이다.
칼슘결핍의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
구토, 설사, 발한으로 인한 수분과 전해질 상실이 없다.
체중이 안정되어 있다.
복부 둘레가 증가하지 않는다.
복부 촉진 시 이상소견이 없다.
부적절한 식이섭취, 췌장 분비 손상, 급성질환, 체온 상승 등으로 인한 영양요구의 증가와 관련된 영양부족
영양상태가 증진된다.
최근의 영양상태와 증가된 대사요구량 사정한다.
혈당수치를 검사해 처방대로 인슐린을 투여한다.
처방대로 비경구 영양을 공급하고, 수분과 전해질을 정맥으로 투여한다.
위기가 지나가면 고탄수화물, 저단백, 저지방식이를 제공한다.
대상자에게 알코올을 금하도록 교육한다.
커피와 향료음식을 지나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정상적인 체중을 유지한다.
더 이상 체중이 감소되지 않는다.
혈당치가 정상이다.
구토와 설사의 횟수가 줄어든다.
배변습관과 변의 특성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고탄수화물, 저지방, 저단백식이를 섭취한다.
고탄수화물, 저지방, 저단백식이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식이에서 알코올을 제거한다.
커피섭취를 제한하고, 향료음식을 피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심한 통증, 폐침윤, 늑막삼출, 무기폐 등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호흡회수와 양상이 정상범위 내에 있다.
호흡상태(횟수, 양상, 소리), 폐 기능을 사정한다.
반좌위를 유지한다.
매 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한다.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
처방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저산소증 시 비강으로 산소를 투여한다.
호흡수와 양상이 정상이며, 폐확장이 충분하다.
호흡음이 정상이다.
동맥혈 가스 수치가 정상이다.
침상에 있을 때 반좌위를 유지한다.
호흡기 합병증이 없다.
자주 체위를 변경한다.
최소한 1시간마다 기침과 심호흡을 한다.
호흡기 감염이나 손상을 의미하는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
(6) 간호
참고문헌
김금순(2014).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573-577
조경숙(2013).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470-47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