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 or intraamniotic in-fection)
ⅱ 양막파열
ⅲ 인공파막
.참고문헌
ⅱ 양막파열
ⅲ 인공파막
.참고문헌
본문내용
량 높으며, 산후 자궁내막염도 흔히 발생
(4) 치료
① 적극적인 관리
만삭전 양막파열로 자궁수축이 발생되면 자궁수축억제제를 사용함
자궁수축 억제제는 태아 폐성숙도를 고려하여 조산과 저체중과 관련된 신생아 문제 감소를 위해 몇 주 동안이라도 사용하여 임신을 연장시킴
항생제 치료는 자궁경부 세균배양검사 시 B-용혈성 연쇄상구균이나 트리코모나스가 나타났을 때 시행함
클라미디아는 신생아 결막염과 폐렴과 관련 있음
항생제의 예방적 투여는 산부와 태아 및 신생아 감염에 대항하는 예방적 조치로 사용됨
덱사메타손과 같은 스테로이드 약물은 태아의 폐성숙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됨
만삭전 조기양막파열의 합병증으로 감염이 있을 때 또는 자궁수축억제제가 투여되었을 때는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폐부종의 위험을 증가시킴
양수량을 조절하여 양수과소가 제대순환과 폐 성숙에 미치는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식염수 양막내 투여(saline amnioinfusion)가 사용되어 왔음
항생제가 포함된 생리식염수를 양막내에 주입하기도 함
양수의 양이 증가되면 임신기간은 평균 8일가량 연장될 수 있음
② 보존적 관리
- 태아안녕을 확인하는 태아검사로 태아질식이 나타나는지 관찰
보존적 관리방법에는 임부의 침상안정이 포함되고 융모양막염 확인을 위해 산부의 활력징후와 태아심음을 통한 태아상태를 자주 관찰함
(5) 간호중재
-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후 산부의 체온, 맥박, 호흡 수를 2~4시간마다 관찰함
- 호흡과 맥박의 상승은 체온상승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짐
- 태아심음의 사정은 융모양막염을 암시할 수 있으며 태아의 빈맥은 종종 산부의 체온상승이 기록되기 전에 발생함
- 태아심음은 간헐적으로 평가하고 자궁활동감시는 전자태아감시기로 간헐적 혹은 계속적으로 시도함
- 항생제 치료가 감염 예방을 위해 시행되었거나 양수주입(amnioinfusion)이 제대압박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면 간호사는 산부와 태아의 반응을 관찰해야 함
- 간호사는 옥시토신 유도분만, 맥사메타손, 항생제의 투약과 같은 치료를 할 경우 대상자에게 이유, 어떤 위험과 이익이 있는지를 설명하고 확인시켜 주어야 함
ⅲ 인공파막
- 인공 양막파막술(amniotomy, artificial rupture of membrane, AROM)은 자궁경부가 준비되었을 때 진통을 유도하기 위해 혹은 분만 진행이 느릴 때 분만을 촉진하기 위하여 시행함
- 진통은 보통 파막된 후 12시간 내에 시작됨
- 옥시토신 투여가 동반된다면 분만 시간이 2시간 정도 단축됨
- 그러나 파막술이 진통을 자극하지 않는다면 지연된 파막으로 인한 감염 및 태아의 비정상 태위를 유발할 수도 있음
- 다양성 태아심음 감퇴 양상은 제대 탈출이나 감소된 양수양과 관련된 제대 압박의 결과로 발생
- 파막술이 수행되면 분만시기와 방법은 확실하지 않지만 반드시 분만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파막술은 옥시토신 투여와 함께 시도함
- 태아 선진부는 진입되어 있어야 하고 제대탈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부에 잘 맞춰 수행해야 함
- 임부는 생식기계 감염, 포진, HIV 감염이 없어야 함
- 파막 후 양수는 천천히 흘러나오도록 함
- 양수의 색깔, 냄새, 태변 혹은 혈액함유 여부를 사정하고 파막 시간을 기록함
※ 간호 시 주의점
양막파막술 전, 직후 제대압박이나 탈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태아 심박동 수를 측정한다. 일시적인 빈맥은 흔히 발생하나 서맥과 다양성 감퇴 양상은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 양막파막술 사정
시술
양막파막술을 시행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시술을 시작하기 전에 기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태아심음과 양상을 사정한다.
산모의 둔부에 양수를 흡수할 수 있도록 패드를 깔아준다.
침상용 변기를 받쳐주고, 둔부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타올을 말아서 받쳐준다.
내진 시 멸균 장갑과 윤활제를 제공하여 시술을 수행하는 보건의료제공자를 돕는다.
Amniohook이나 allis clamp가 들어있는 멸균 패키지를 풀고, 1차 보건의료제공자에게 기구를 건넨다. 삽입하는 시술자는 손가락을 옆에 둔 채 양막을 찌른 후 찢는다.
태아심음과 양상을 다시 사정한다.
양수의 색깔, 농도와 냄새를 사정한다.
시술 후 2시간마다 산모의 체온을 사정한다.
산모의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평가한다.
의무기록
아래 내용을 기록한다.
파막 시간
양수의 색깔, 농도와 냄새
시술 전 후 태아심음 및 양상
산모 상태(어떻게 시술을 잘 견뎌냈는지)
.참고문헌
-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4) 치료
① 적극적인 관리
만삭전 양막파열로 자궁수축이 발생되면 자궁수축억제제를 사용함
자궁수축 억제제는 태아 폐성숙도를 고려하여 조산과 저체중과 관련된 신생아 문제 감소를 위해 몇 주 동안이라도 사용하여 임신을 연장시킴
항생제 치료는 자궁경부 세균배양검사 시 B-용혈성 연쇄상구균이나 트리코모나스가 나타났을 때 시행함
클라미디아는 신생아 결막염과 폐렴과 관련 있음
항생제의 예방적 투여는 산부와 태아 및 신생아 감염에 대항하는 예방적 조치로 사용됨
덱사메타손과 같은 스테로이드 약물은 태아의 폐성숙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됨
만삭전 조기양막파열의 합병증으로 감염이 있을 때 또는 자궁수축억제제가 투여되었을 때는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폐부종의 위험을 증가시킴
양수량을 조절하여 양수과소가 제대순환과 폐 성숙에 미치는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식염수 양막내 투여(saline amnioinfusion)가 사용되어 왔음
항생제가 포함된 생리식염수를 양막내에 주입하기도 함
양수의 양이 증가되면 임신기간은 평균 8일가량 연장될 수 있음
② 보존적 관리
- 태아안녕을 확인하는 태아검사로 태아질식이 나타나는지 관찰
보존적 관리방법에는 임부의 침상안정이 포함되고 융모양막염 확인을 위해 산부의 활력징후와 태아심음을 통한 태아상태를 자주 관찰함
(5) 간호중재
-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후 산부의 체온, 맥박, 호흡 수를 2~4시간마다 관찰함
- 호흡과 맥박의 상승은 체온상승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짐
- 태아심음의 사정은 융모양막염을 암시할 수 있으며 태아의 빈맥은 종종 산부의 체온상승이 기록되기 전에 발생함
- 태아심음은 간헐적으로 평가하고 자궁활동감시는 전자태아감시기로 간헐적 혹은 계속적으로 시도함
- 항생제 치료가 감염 예방을 위해 시행되었거나 양수주입(amnioinfusion)이 제대압박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면 간호사는 산부와 태아의 반응을 관찰해야 함
- 간호사는 옥시토신 유도분만, 맥사메타손, 항생제의 투약과 같은 치료를 할 경우 대상자에게 이유, 어떤 위험과 이익이 있는지를 설명하고 확인시켜 주어야 함
ⅲ 인공파막
- 인공 양막파막술(amniotomy, artificial rupture of membrane, AROM)은 자궁경부가 준비되었을 때 진통을 유도하기 위해 혹은 분만 진행이 느릴 때 분만을 촉진하기 위하여 시행함
- 진통은 보통 파막된 후 12시간 내에 시작됨
- 옥시토신 투여가 동반된다면 분만 시간이 2시간 정도 단축됨
- 그러나 파막술이 진통을 자극하지 않는다면 지연된 파막으로 인한 감염 및 태아의 비정상 태위를 유발할 수도 있음
- 다양성 태아심음 감퇴 양상은 제대 탈출이나 감소된 양수양과 관련된 제대 압박의 결과로 발생
- 파막술이 수행되면 분만시기와 방법은 확실하지 않지만 반드시 분만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파막술은 옥시토신 투여와 함께 시도함
- 태아 선진부는 진입되어 있어야 하고 제대탈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부에 잘 맞춰 수행해야 함
- 임부는 생식기계 감염, 포진, HIV 감염이 없어야 함
- 파막 후 양수는 천천히 흘러나오도록 함
- 양수의 색깔, 냄새, 태변 혹은 혈액함유 여부를 사정하고 파막 시간을 기록함
※ 간호 시 주의점
양막파막술 전, 직후 제대압박이나 탈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태아 심박동 수를 측정한다. 일시적인 빈맥은 흔히 발생하나 서맥과 다양성 감퇴 양상은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 양막파막술 사정
시술
양막파막술을 시행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시술을 시작하기 전에 기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태아심음과 양상을 사정한다.
산모의 둔부에 양수를 흡수할 수 있도록 패드를 깔아준다.
침상용 변기를 받쳐주고, 둔부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타올을 말아서 받쳐준다.
내진 시 멸균 장갑과 윤활제를 제공하여 시술을 수행하는 보건의료제공자를 돕는다.
Amniohook이나 allis clamp가 들어있는 멸균 패키지를 풀고, 1차 보건의료제공자에게 기구를 건넨다. 삽입하는 시술자는 손가락을 옆에 둔 채 양막을 찌른 후 찢는다.
태아심음과 양상을 다시 사정한다.
양수의 색깔, 농도와 냄새를 사정한다.
시술 후 2시간마다 산모의 체온을 사정한다.
산모의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평가한다.
의무기록
아래 내용을 기록한다.
파막 시간
양수의 색깔, 농도와 냄새
시술 전 후 태아심음 및 양상
산모 상태(어떻게 시술을 잘 견뎌냈는지)
.참고문헌
-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