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약물치료의 의의와 역사
2. 정신치료 약물의 종류
3. 약물치료와 간호사의 역할
4. 약물치료에서의 정신간호 실제
-참고문헌
2. 정신치료 약물의 종류
3. 약물치료와 간호사의 역할
4. 약물치료에서의 정신간호 실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료교육에 포함시킨다.
약물복용 불이행의 위험요인
환자와의 치료적 동명이 실패하였을 때
치료진행에 의한 약물치료의 평가절하
치료에 대한 환자와 가족들의 부적절한 태도
부작용을 조절하기 힘들었을 때
환자의 믿음, 소망, 불평에 대해 더디거나 약물복용에 대해 반대 입장에 놓여 있을 때
복잡한 일일 투여계획
병합투여
불이행력이 있을 때
사회적 격리
고가일 때
약물치료 시 환자역할 이행이 적절하지 않을 때
간호의 계속성 결여
환자의 생활에 너무 많은 제약이 될 때
중요한 사람들로부터 지지받지 못할 때
표적증상의 재발
의심이 증가되었을 때
비현실적인 기대
낙인 가능성이 있을 때
- 이와 더불어 대상자가 자신의 약물치료절차를 지키지 않는 원인으로 제시한 내용을 조사한 연구도 있다.
- 대상자들의 입장에서 이런 문제를 이해하는 것은 간호사가 대상자들의 문제들을 예측하도록 해주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대상자에게 간호사가 적절하게 관여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예를 들어 많은 대상자들이 기분이 좋아지기 시작하면 약을 복용을 줄이거나 완전히 중단한다. 상태가 나쁜 날이 있으면 며칠 더 약을 다시 복용한다.
- 대상자들에게 인체에서 약물이 어떻게 작용하고 혈액에서 약물이 치료적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 필요성을 설명한다면 대상자들이 자신의 질환을 보다 잘 이해하고 따라서 치료계획을 잘 지키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그리고 어떤 대상자들은 약물의 중독성을 두려워하거나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는 사실을 부끄럽게 생각할 수 있다.
- 약물사용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고 약물치료가 대상자의 모든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 약물복용 문제를 완전히 다른 각도에서 간주하여 대상자가 치료절차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강화 시킬 수 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간호사들은 치료를 변경하기 전에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의문, 두려움, 문제 그리고 약물과 관련된 우려사항을 논의하도록 격려해야한다.
- 마지막으로 대상자가 약물치료계획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대상자의 회복과정을 가능하게 하는데에는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관계와 치료적 동맹관계의 강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간호사는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1) 항정신병 약물
(antipsychotics
혹은 neuroleptics)
전형 항정신병 약물
chlorpromazine(Thorazine)
thioridazine(Mellaril)
perphenazine(Trilafon)
trifluoperazine(Stelazine)
fluphenazine(Prolixin)
thiothixene(Navane)
haloperidol(Haldol)
loxapine(Loxitane)
molindine(Moban)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clozapine(Clozaril)
risperidone(Rispedal)
olanzapine(Zyprexa)
quetiapine(Seroquel)
amisulpride(Solian)
aripiprazole(Abilify)
ziprasidone(Geodon)
paliperidone(Invega)
2) 항우울제
(antidepressant)
삼환계 약물
amitryptiline(Elavil)
doxepin(Adapin, Sinequen)
imipramine(Tofranil)
clomipramine(Gromin, Anafranil)
desipramine(Nrpramin)
nortryptline(Pamelor)
protriptyline(Vivacil)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
moclobemide(Aurolix)
phenelzine(Nardil)
tranylcypromine(Parnaatae)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fluoxetine(Prozac)
fluvoxamine(Luvox)
paroxetine(Paxil)
sertraline(Zoloft)
escitalopram(Lexapro)
기타 항우울제
amoxapine(Ascendin)
maprotiline(Ludiomil)
bupropion(Wellbutrin)
duloxetine(Cymbalta)
venlafaxine(Effexor)
nefaxodone(Serzone)
mirtazapine(Remeron)
trazodone(Desyrel)
3) 기분안정제
(mood stabilizers)
lithium(Lithane)
carbamazepine(Tegretol)
valproate(Depakene)
4) 항불안제
(antianxiety drugs,
anxiolytics)
alprazolam(Xanax)
hlordiazepoxide(Librium)
diazepam(Valium)
lorazepam(Ativan)
oxazepam(Serax)
5) 진정-수면제
(sedatives-hypnotics)
flurazepam(Dalmane)
triazolam(Halcion)
temazepam(Restoril)
quazepam(Doral)
6) 항파킨슨 약물
추체외로증상 약물
(antiparkinsonian drugs)
Anticholinergics
benztropine(Cogentin)
trihexyphenidy(Artane)
biperiden(Akineton)
Antihistamines
diphenhydramine(Benadryl)
Dopamine agonists
amantadine(symmetrel)
β-blockers
propranolol(inderal)
Benzodiazephines
diazepam(Valium)
lorazepam(Ativan)
xlonazepam(Rivotril)
7) 기타
인지기능개선제
donepezil(Aricept)
rivastigmine(Exelon)
galantamine(Reminyl)
memantine(Ebixa)
참고문헌
- 도복늠 외,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 4판(2016), 정담미디어, p429-463
- 정신간호학(2015), 간호사 국가시험 대비 문제집.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대한간호 협회
- 임미정 외 (2015), 조현병 환자들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삶의 질, 신경정신의학, 54(2), 181~187
약물복용 불이행의 위험요인
환자와의 치료적 동명이 실패하였을 때
치료진행에 의한 약물치료의 평가절하
치료에 대한 환자와 가족들의 부적절한 태도
부작용을 조절하기 힘들었을 때
환자의 믿음, 소망, 불평에 대해 더디거나 약물복용에 대해 반대 입장에 놓여 있을 때
복잡한 일일 투여계획
병합투여
불이행력이 있을 때
사회적 격리
고가일 때
약물치료 시 환자역할 이행이 적절하지 않을 때
간호의 계속성 결여
환자의 생활에 너무 많은 제약이 될 때
중요한 사람들로부터 지지받지 못할 때
표적증상의 재발
의심이 증가되었을 때
비현실적인 기대
낙인 가능성이 있을 때
- 이와 더불어 대상자가 자신의 약물치료절차를 지키지 않는 원인으로 제시한 내용을 조사한 연구도 있다.
- 대상자들의 입장에서 이런 문제를 이해하는 것은 간호사가 대상자들의 문제들을 예측하도록 해주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대상자에게 간호사가 적절하게 관여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예를 들어 많은 대상자들이 기분이 좋아지기 시작하면 약을 복용을 줄이거나 완전히 중단한다. 상태가 나쁜 날이 있으면 며칠 더 약을 다시 복용한다.
- 대상자들에게 인체에서 약물이 어떻게 작용하고 혈액에서 약물이 치료적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 필요성을 설명한다면 대상자들이 자신의 질환을 보다 잘 이해하고 따라서 치료계획을 잘 지키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그리고 어떤 대상자들은 약물의 중독성을 두려워하거나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는 사실을 부끄럽게 생각할 수 있다.
- 약물사용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고 약물치료가 대상자의 모든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 약물복용 문제를 완전히 다른 각도에서 간주하여 대상자가 치료절차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강화 시킬 수 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간호사들은 치료를 변경하기 전에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의문, 두려움, 문제 그리고 약물과 관련된 우려사항을 논의하도록 격려해야한다.
- 마지막으로 대상자가 약물치료계획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대상자의 회복과정을 가능하게 하는데에는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관계와 치료적 동맹관계의 강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간호사는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1) 항정신병 약물
(antipsychotics
혹은 neuroleptics)
전형 항정신병 약물
chlorpromazine(Thorazine)
thioridazine(Mellaril)
perphenazine(Trilafon)
trifluoperazine(Stelazine)
fluphenazine(Prolixin)
thiothixene(Navane)
haloperidol(Haldol)
loxapine(Loxitane)
molindine(Moban)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clozapine(Clozaril)
risperidone(Rispedal)
olanzapine(Zyprexa)
quetiapine(Seroquel)
amisulpride(Solian)
aripiprazole(Abilify)
ziprasidone(Geodon)
paliperidone(Invega)
2) 항우울제
(antidepressant)
삼환계 약물
amitryptiline(Elavil)
doxepin(Adapin, Sinequen)
imipramine(Tofranil)
clomipramine(Gromin, Anafranil)
desipramine(Nrpramin)
nortryptline(Pamelor)
protriptyline(Vivacil)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
moclobemide(Aurolix)
phenelzine(Nardil)
tranylcypromine(Parnaatae)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fluoxetine(Prozac)
fluvoxamine(Luvox)
paroxetine(Paxil)
sertraline(Zoloft)
escitalopram(Lexapro)
기타 항우울제
amoxapine(Ascendin)
maprotiline(Ludiomil)
bupropion(Wellbutrin)
duloxetine(Cymbalta)
venlafaxine(Effexor)
nefaxodone(Serzone)
mirtazapine(Remeron)
trazodone(Desyrel)
3) 기분안정제
(mood stabilizers)
lithium(Lithane)
carbamazepine(Tegretol)
valproate(Depakene)
4) 항불안제
(antianxiety drugs,
anxiolytics)
alprazolam(Xanax)
hlordiazepoxide(Librium)
diazepam(Valium)
lorazepam(Ativan)
oxazepam(Serax)
5) 진정-수면제
(sedatives-hypnotics)
flurazepam(Dalmane)
triazolam(Halcion)
temazepam(Restoril)
quazepam(Doral)
6) 항파킨슨 약물
추체외로증상 약물
(antiparkinsonian drugs)
Anticholinergics
benztropine(Cogentin)
trihexyphenidy(Artane)
biperiden(Akineton)
Antihistamines
diphenhydramine(Benadryl)
Dopamine agonists
amantadine(symmetrel)
β-blockers
propranolol(inderal)
Benzodiazephines
diazepam(Valium)
lorazepam(Ativan)
xlonazepam(Rivotril)
7) 기타
인지기능개선제
donepezil(Aricept)
rivastigmine(Exelon)
galantamine(Reminyl)
memantine(Ebixa)
참고문헌
- 도복늠 외,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 4판(2016), 정담미디어, p429-463
- 정신간호학(2015), 간호사 국가시험 대비 문제집.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대한간호 협회
- 임미정 외 (2015), 조현병 환자들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삶의 질, 신경정신의학, 54(2), 181~187
추천자료
정신과 약물 정리
[정신 간호학] 정신과 약물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미술치료의 유용성과 과정, 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동) 미술치료의 ...
정신지체아동 원예치료(원예활동) 필요성과 심리특성, 정신지체아동 원예치료(원예활동) 프로...
정신지체아 원예치료(원예활동) 특성과 실태, 정신지체아 원예치료(원예활동) 직업적응능력, ...
정신지체아 원예치료(원예활동) 필요성, 정신지체아 원예치료(원예활동) 동향, 정신지체아 원...
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동) 미술치료의 특성과 필요성, 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동) 미술치료의 ...
정신건강론,정신분석이론-고전적 정신분석치료, 정신분석의 치료과정, 대상관계적 접근의 정...
★우수자료★[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치료, 정신분석 사례] 정신분석적 치료의 개념, 프로이트,...
★평가우수자료★[정신분석 음악치료]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배경, 음악치료 특성, 정신분석 음...
[약물중독] 약물중독 정의, 약물중독 증상, 금단증상,약물중독 특성, 약물중독 종류, 약물중...
★★평가우수자료★★[약물중독] 약물중독 정의, 약물중독 증상, 약물중독 특성, 약물중독 종류, ...
추천레포트[청소년과 약물 남용] 청소년 약물 남용 특징, 청소년 약물 남용 원인, 청소년 약...
[신지체아 언어치료][정신지체 치료][정신지체아 언어치료] 정신지체 - 정신지체 특징, 정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