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수준 역학적 측정지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수준 역학적 측정지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수준
2. 역학적 측정지표
-참고문헌

본문내용

율로 표시
이차발병률 : 환자와의 접촉으로 인해 질병이 발생한 정도를 비율로 나타내는 것, 병원체의 감염력과 전염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데 유용
발병률 = X 1,000
이차발병률 = X 1,000
(4) 유병률과 발생률의 관계
질병의 발생률이 높거나 이환기간이 길면 유병률은 높아짐, 반대로 발생률이 낮거나 이환기간면 회복 또는 사망으로 짧아지면 유병률은 낮아짐
유병률 ∝ 발생률(I) X 이환기간(D)
4) 조율(crude rate)
일정 기간 동안 연구집단 전체에서 실제로 발생한 수를 나타내는 지표
현실적인 산출이 가능하여 종합적인 지표로 사용되나 건강수준을 비교하기 위해선 두 집단의 인구구성이 같아야 함
5) 특수율(specific rate)
비슷한 특성을 지닌 소집단별(성, 연령, 질병, 학력 등)로 나누어 상태를 비교하므로 유용하나 2개 이상의 집단을 특성이 비슷한 소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해야하는 것이 번거로움
자료수집과정에서 항목을 세분화하여 체계적으로 처리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음
6) 표준화율(standardized rate) (정정률 또는 보정률)
인구구성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면서 사망상태나 유병상태를 한 수치로 나타내어 두 지역을 비교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지표
(1) 직접표준화
2개 이상의 지역사회를 비교할 때, 표준이 되는 인구집단을 선정한 후 사망률 또는 발생률을 표준인구에 적용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각 지역의 사망 수 또는 발생수를 계산함으로써 두 지역을 비교 하는 방법
※ 직접표준화 계산방법
1)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연령별 사망률
연령
선진국
개발도상국
사망 수
인구 수
사망률
사망 수
인구 수
사망률
<15
1
100
10
40
1,000
40
15~45
25
500
50
25
500
50
45<
100
1,000
100
35
100
350
계(보통 사망률)
126
1,600
78.8
100
1,600
62.5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지역의 유병률(사망률)을 비교
표준이 되는 인구집단을 선정
본 예에서는 두 지역의 인구수를 합하여 표준인구 집단을 만들어 사용함
<15집단 : 100+1,000=1,100(명)
15~44집단 : 500+500=1,000(명)
45<집단 : 1,000+100=1,100(명)
두 지역의 연령별 사망률을 연령별 표준인구 수에 곱하여 연령별 기대 사망 수를 계산
2)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표준화사망률(연령별 기대 사망 수)
선진국
개발도상국
천명당 사망률
표준인구
기대 사망 수
천명당 사망률
표준인구
기대 사망 수
10
1,100
11
40
1,100
44
50
1,000
50
50
1,000
50
100
1,100
110
350
1,100
385

171

479
4. 두 지역에서 계산된 기대 사망 수를 전체 표준인구로 나누어 연령 보정률을 계산
선진국 : 171.3,200=53.4/1,000(명)
개발도상국 : 479/3,200=149.7/1,000(명)
→ 보통 사망률은 선진국이 높았으나 연령보정사망률은 개발도상국이 3배
(2) 간접표준화
※ 간접표준화 계산방법
1) X-ray 정상 및 비정상 그룹의 연령별 사망률
연령
선진국
개발도상국
사망 수
인구 수
사망률
사망 수
인구 수
사망률
15~34
13,68(55.2%)
35
2.5
23(20.5%)
1
43.5
35~54
8,838(35.7%)
102
11.5
24(21.4%)
5
208.3
55<
2,253(9.1%)
149
66.1
65(58.1%)
14
215.4

24,772
286
112
20
보통사망률(천명당)
11.5
179
위의 표에서 X-ray 정상군의 조사망률(보통사망률)은 11.5/1000인 데 비해 비정상군은 179로 16배나 높은 사망률을 보임. 그러나 두 그룹의 연령분포가 다르므로 간접표준화법으로 계산하여 연령보정률을 계산함으로써 두 지역의 사망률을 비교할 수 있음
여기에서는 정상그룹을 표준인구집단으로 선정하였음
비교하고자 하는 지역사회의 연령별 인구 수를 파악
표준이 되는 인구집단을 선정하여 연령별 사망률을 파악
표준인구의 연령별 유병률을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인구 수에 곱하여 연령별 기대 사망 수를 계산
연령별 유병 수를 모두 더하여 전체 기대 사망 수를 계산
관찰 사망 수를 기대 유병 수로 나누어 표준화 사망비를 계산함(관찰 사망수/기대 사망 수)
2) X-ray 비정상 그룹의 기대 사망 수
연령
비정상 그룹의
인구 수 (1)
정상그룹의 연령별
사망률(천명당) (2)
기대 사망 수
(1)*(2) = (3)
관찰 사망 수(4)
15~34
23
2.5
0.058
1
35~54
24
11.5
0.276
5
55<
65
66.1
4.297
14

112
4.631
20
X-ray 비정상 그룹의 연령별 사망률이 만약 정상그룹의 연령별 사망률과 같았다고 가정할 때, X-ray 비정상 그룹에서 기대되는 사망 수는 4.63
그러나 실제 비정상군에서 관찰 사망 수는 20명이므로 20/4.63=4.3
즉, 표준화사망비(4.3) = 관찰 사망 수(20)/기대 사망 수(4.63)
→ X-ray 비정상 그룹의 사망률은 정상그룹의 사망률보다 4.3배 높았다고 볼 수 있음
※ 조율, 특수율, 표준화율의 장/단점
구분
장점
단점
조율
지역사회의 실제 자료를 요약한 것
제한점이 있음에도 국제적 비교 위해 쉽게 사용
비교하려는 지역사회의 인구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보통률의 차이를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음
특수율
동질성의 그룹에서 나온 율
역학과 공중보건사업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용이
2개 이상의 지역사회를 비교할 때 여러 개 소그룹의 특수율을 비교하기 번거로움
표준화율
요약된 율을 얻을 수 있음
지역사회 간 연구학적 특성의 차이를 통제하여 편견 없는 비교를 가능하게 함
실제 지역사회의 율이 아닌 가상비율임
어떤 표준인가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지역사회간 차이가 달라짐
지역사회 소그룹(연령별, 성별) 특성의 추세를 나타낼 수 없음
참고문헌
- 최연희·이지현 외(2016).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수문사
- 유광수강말순 외(2016).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Ⅰ. 정담미디어
- 유혜정(2015). 필통 간호사 핵심문제지_지역사회간호학 에듀펙토리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7.04.02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