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공중보건학 요점 정리 ◉
1. 공중보건학의 개념
(1) 건강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
2. 공중보건학의 정의, 3대 수행요소, 유사용어
3. 질병과 예방
1) 질병발생에 관한 이론
2) 예방의 내용
3) 질병의 발생과 예방의 단계
4. 보건 지표(건강지표, 건강지수)
1) 개념
2) 보건지표
1. 공중보건학의 개념
(1) 건강의 개념과 역사적 변천
2. 공중보건학의 정의, 3대 수행요소, 유사용어
3. 질병과 예방
1) 질병발생에 관한 이론
2) 예방의 내용
3) 질병의 발생과 예방의 단계
4. 보건 지표(건강지표, 건강지수)
1) 개념
2) 보건지표
본문내용
) 보통출생률 = 일반 출생률 = 조출생률
- 출생률은 일정기간에 출생한 사람의 수를 인구에 대해 나타낸 비율이다. 보통출생률은
1년간의 총출생자수를 당해년도의 총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다. 출생률은 출산경향, 건강상태, 인구의 연령구성에 영향을 받는다. 보통출생률에는 출생과 관계없는 인구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출생률을 알기 위해서는 가임연령의 여자인구와 배우자가 있는 여자인구에 대한 출생률을 조사해야 한다.
- 우리나라 출산율: 1.17명
(7) 비례사망지수(Proportional Mortality indicator: PMI)
- 연간 전체 사망자수에 대한 50세 이상의 사망자수의 구성 백분율
- 이 값이 낮을수록 건강 수준이 저조함을 의미
- 이 수치가 높을수록 선진국.
- 출생률은 일정기간에 출생한 사람의 수를 인구에 대해 나타낸 비율이다. 보통출생률은
1년간의 총출생자수를 당해년도의 총인구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나타낸다. 출생률은 출산경향, 건강상태, 인구의 연령구성에 영향을 받는다. 보통출생률에는 출생과 관계없는 인구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출생률을 알기 위해서는 가임연령의 여자인구와 배우자가 있는 여자인구에 대한 출생률을 조사해야 한다.
- 우리나라 출산율: 1.17명
(7) 비례사망지수(Proportional Mortality indicator: PMI)
- 연간 전체 사망자수에 대한 50세 이상의 사망자수의 구성 백분율
- 이 값이 낮을수록 건강 수준이 저조함을 의미
- 이 수치가 높을수록 선진국.
추천자료
제1장. 보건사업 개념과 특성
[건강증진] 건강증진개념, 건강증진행위, 국민건강증진법
[정신건강] 정신건강의 개념(정의)과 특성(특징), 정신건강의 증진 및 관리방법
[스트레스관리] 스트레스의 개념 및 유발요인, 스트레스반응, 스트레스의 관리방안
[환경위생학의 개념] 환경위생학의 정의와 발전 및 영역
[성인병] 성인병의 개념과 특징, 성인병 발생의 위험요인(성인병의 원인)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개념(정의)과 증상, 좋은 스트레스와 나쁜 스트레스
[건강증진] 건강증진의 개념과 접근방법 및 필요성, 건강증진 및 건강관리의 실시방법, 건강...
[산업재해] 산업재해의 개념과 특징, 산업재해 발생원인, 산업재해지수, 산업재해의 예방대책
[모성보건] 모성보건의 개념과 중요성, 임산부의 영양관리, 유산 및 조산의 원인과 예방, 모...
[성인병의 개념과 원인] 성인병의 발생요인(성인병의 유전적 요인,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보건교육의 개념(보건교육의 중요성과 역할), 보건교육의 계획 및 실시, 보건교육방법 및 보...
정신건강의 개념(정의), 정신건강의 조건(정신건강이론)
비만의 개념과 특징, 비만의 종류(유형)와 요인(비만원인), 비만증의 판정(비만검사), 다이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