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외부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ion, AED)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동외부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ion, AE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준비물품
2. 환자사정
3. 환자준비
4.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s)
5.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6. 간호기록
7. 주의사항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자는 추후 평가를 위해 응급실로 이송해야한다.)
4.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s)
심박동 회복
자발호흡 회복
5.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 시술자 또는 주변인의 전류전도
피부화상
6. 간호기록
심정지의 형태
환자가 허탈 된 때부터 첫 번째 전기충격이 있기까지의 시간
CPR정보(시작과 종료시간)
AED 적용 전 CPR수행 여부: 예/아니오
AED 적용
AED 작동시간부터 Shock이 전달 될 대까지의 시간
환자에게 제세동이 가해진 횟수
각각 전기충격의 에너지 수준
전기충격전과 후의 rhythm
합병증
소생후의 사정
기대되지 않은 결과들
간호중재
환자와 가족교육
7. 주의사항
AED는 현재 어린이에게 순환의 징후가 보이지 않거나 제세동이 소아에게 쇼크를 일으킬수 있는 리듬에 대한 특이성이 높다고 여겨질 때 1-8세의 소아에게 적용이 추천되고 있다. 한꺼번에 많은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막도록 코드에 감쇠기가 있는 소아용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성인패드를 사용한다면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피부화상, 제세동 에너지가 우회하는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패드가 겹치거나 서로 닿지 않도록 한다. 패드는 적어도 1인치는 떨어져 붙어있어야 한다. 유도 2의 위치에서 소아의 흉부에 패드가 적합하지 않다면 전면과 후면에 위치하는 패드를 사용한다. 소아용 패드의 사용은 전극을 통해 전달되는 에너지를 감소시켜 VF을 치료할 때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절대로 성인이나 큰 소아에게 소아용 패드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참고문헌)
중환자간호 매뉴얼-군자출판사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4.06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