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Ⅱ-Ⅰ. 태우고 싶은 사람 또는 집단
Ⅱ-Ⅱ. 태우고 싶은 동물
Ⅱ-Ⅲ. 태우고 싶은 식물
Ⅱ-Ⅳ. 태우고 싶은 무생물
Ⅲ. 맺음말
Ⅱ. 본론
Ⅱ-Ⅰ. 태우고 싶은 사람 또는 집단
Ⅱ-Ⅱ. 태우고 싶은 동물
Ⅱ-Ⅲ. 태우고 싶은 식물
Ⅱ-Ⅳ. 태우고 싶은 무생물
Ⅲ. 맺음말
본문내용
생존과 직결되는 것일 것이기 때문이다. 불은 음식을 익혀 먹을 수 있게 해주고, 더불어 추위를 이겨낼 수 있게 해주기도 하며, 엄청난 고화력으로 광물을 녹여 무기나 농기구를 만들 수 있게도 해준다. 때문에 이러한 불의 이용을 바탕으로 인류는 홍수가 그친 뒤 다시 문명사회로 나아가는 새로운 출발을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Ⅲ. 맺음말
어렸을 적 겪었던 홍수에 대한 트라우마는 이번 글을 쓰면서 감성적인 생각보다 현실적인 대안마련에 치중하도록 도와주었다. 그리고 만약 전 인류대부분이 멸망하고 극소수만 살아남게 되는 이런 비극적인 상황이 벌어진다면 누구보다도 가장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만 인류의 존속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기에 이러한 선택이 최상의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허나 이번 글을 쓰면서 한 가지 씁쓸했는데 내가 가정하는 이러한 상황이 허무맹랑하고 말도 안 되는 상황이 아니라 곧 다가올 지구의 미래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날로 이상기후가 심해져 가는 작금의 현실에 조금 더 경각심을 가지고 재앙이 닥치기 전 현명하게 장밋빛 미래를 준비해 나가는 우리 인류가 되었으면 하는 소망을 품으며 이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8)
박지원, 생태계에 대한 성서윤리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논문
서규선·문종길, 환경 윤리와 환경윤리 교육, 인간사랑.
이은식, 노아홍수의 역사성과 언약의 성취,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
『한국구비전설의 연구』(최래옥, 일조각)
「한국홍수설화의 변이양상」(최래옥, 『한국민속학』 12, 민속학회)
Ⅲ. 맺음말
어렸을 적 겪었던 홍수에 대한 트라우마는 이번 글을 쓰면서 감성적인 생각보다 현실적인 대안마련에 치중하도록 도와주었다. 그리고 만약 전 인류대부분이 멸망하고 극소수만 살아남게 되는 이런 비극적인 상황이 벌어진다면 누구보다도 가장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만 인류의 존속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기에 이러한 선택이 최상의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허나 이번 글을 쓰면서 한 가지 씁쓸했는데 내가 가정하는 이러한 상황이 허무맹랑하고 말도 안 되는 상황이 아니라 곧 다가올 지구의 미래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날로 이상기후가 심해져 가는 작금의 현실에 조금 더 경각심을 가지고 재앙이 닥치기 전 현명하게 장밋빛 미래를 준비해 나가는 우리 인류가 되었으면 하는 소망을 품으며 이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8)
박지원, 생태계에 대한 성서윤리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논문
서규선·문종길, 환경 윤리와 환경윤리 교육, 인간사랑.
이은식, 노아홍수의 역사성과 언약의 성취,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
『한국구비전설의 연구』(최래옥, 일조각)
「한국홍수설화의 변이양상」(최래옥, 『한국민속학』 12, 민속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