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1) 스펜서 : 어떤 지식이 가장 가치 있는 것인가?
2) 전통적 교과에 대한 다양한 입장
3) 학문 영역으로서의 확립
2. Bobbitt의 교육과정 구성
1) 과학적 교육과정 구성 : 활동분석법
3. 교과와 경험의 대립 : Dewey의 교육과정 이론
1) 19세기의 교육 : 고전 중심의 교육
2) 진보주의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 교과의 새로운 부활
5.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1)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1945~1946)
2) 교수요목기(1946~1953)
3)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 교과중심 교육과정
4)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 생활(경험)중심 교육과정
5) 제3차 교육과정기(1963~1981) - 학문중심 교육과정
6)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 인간중심 교육과정
7)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 통합적 교육과정
8)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 - 통합적 교육과정
9) 제7차 교육과정기(1997~현재) - 통합적 교육과정
10) 특별활동과 재량활동

본문내용

2학년까지의 연계성을 강조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양분
교과군제를 도입, 수준별 교육과정을 다양한 유형으로 적용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 수학 1~10, 영어 7~10학년까지 적용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 국어 1~10, 사회/과학 3~10, 영어 3~6학년까지 적용
선택중심 수준별 교육과정
-보통교과(일반계 고교) : 일반선택(24이상)+심화선택(112이하)을 이수
-교육청과 단위 학교 : 각각 28단위 이상, 학생은 최대 50%까지 선택
-전문교과 : 실업계와 기타계 고등학교에 적용
10) 특별활동과 재량활동
(1) 특별활동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교과활동·특별활동·학교재량시간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4 년 문교부령 제35호로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령’에 의한 특별활동이라 함은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교과 이외의 기타 교육활동으로 규정하고 있다.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학생이 가지는 경험은 학교행사·취미활동·자치회 등을 통하여 가 지는 경험을 교과활동과 함께 학교교육계획에 포함시키도록 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되고 있는 특별활동은 자치활동, 적응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 영역으로 구 분된다.
(2) 재량활동
제7차에서는 학교재량활동이 신설되는데 이는 교과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구분 된다. 교과재향활동은 중등학교의 선택과목 학습과 국민공통 기본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 을 위한 것이며, 창의적 재량활동은 학교의 독특한 교육적 필요, 학생의 요구 등에 따른 범교과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4.15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