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사학자’인가, ‘실증사학자’인가 - 斗溪 이병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민사학자’인가, ‘실증사학자’인가 - 斗溪 이병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왜 이병도인가
2. 본론
2.1. 이병도의 삶
2.2. 실증사학
2.3. 이병도의 실증사학과 친일논란
3. 결론 - 이병도의 실증사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는 이병도의 학설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배우는 역사학은 전부 식민사학이고, 조작된 것이다. 그러나 필자가 위에서 조사한 내용들로 보아, 이병도는 친일파도, 식민사학자도 아니었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가장 안타까웠던 점은 참고자료를 찾는 것이었다. 이병도에 대한 자료도 많이 찾을 수 없었고, 결국 헌책방을 돌아다니면서 책을 구해야 했다. 그러고도 얻은 소득은 많지 않았는데, 도서관에 가보니 이병도가 쓴 한국사대관 책이 있는 것이 아닌가. 이 책의 제목을 ‘국사대관’이라고 알고 있어서 찾지 못했는데, 이 일을 통해 자료의 수집에 대해서 반성해야할 필요를 느꼈고, 다음 연구에서는 이를 꼭 반영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자료
조동걸한영우박찬승,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하), 창작과비평사, 1996
이기백, 국사신론, 태성사, 1961 이병도, 한국사대관, 동방도서, 1983
진단학회, 한국사(고대편), 을유문화사, 1966
斗溪 이병도박사 약력, 震壇學報. 震壇學會, 29/30호 (1966/12/30)
http://www.breaknews.com/new/sub_read.html?uid=29156§ion=section3§ion2=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7.04.15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